View : 936 Download: 0

스타일 분석에 따른 인테리어 트랜드 연구

Title
스타일 분석에 따른 인테리어 트랜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ior Design Trend Based on Style Analysis: Focusing on Color Images of Living Magazines
Authors
이수미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에서의 소비자들은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 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시각적 자료와 필요성이 증가 되고 있고 급속하게 발전하는 기술의 진보는 시대의 흐름과 우리의 삶을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외부 환경적 정보 외에도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화적 현상이 우리 주거 문화 및 인테리어 스타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신의 트랜드를 반영한 인테리어 스타일을 행하기 위하여서는 과거의 트랜드의 흐름과 인테리어 스타일에 있어서 여러 가지 요소를 조사해보고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의 예측되는 트랜드에 부응하는 보다 명확한 정보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테리어 스타일의 트랜드의 이해, 예측, 분석에 있어서 체계적인 원리에 입각한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 내용으로 이끌 수 있는 분석 방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2003년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리빙잡지의 화보 이미지를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인 상황에 따른 트랜드 용어와 대표적 인테리어 스타일, 소재, 패턴, 패브릭, 형용어휘 등을 조사함으로써 좀 더 구체적인 트랜드의 변화를 분석하며 또한 화보의 색채 분석을 통해 인테리어 스타일의 색채 트랜드에 대한 변화 추이를 추적 하고자 한다. 색채 분석에서는 인테리어 스타일의 정보와 트랜드를 주로 다루고 있는 리빙 잡지 4종류( 메종, 까사리빙, 인테르니 & 데코, Interior Design)을 선정하여 가장 대표적인 트랜드 화보의 색상(Hue)의 분포와 색조(Tone), 단색 Image Scale과 형용사의 Image Scale을 중점적으로 분석 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화보와 연관된 트랜드 용어, 인테리어 스타일, 소재, 패브릭, 패턴의 출현 빈도수를 조사하여 인테리어 트랜드의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 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과거 3년간의 인테리어 스타일 트랜드의 변화 추이를 분석해 보면 2003년도의 믹스 앤 매치 스타일이 2004년, 2005년, 2006년에 지속 적인 트랜드로 제시되었고 인테리어 스타일 뿐 만 아니라 가구에서도 서로 이질적인 소재의 믹스 앤 매치 트랜드로 제시되고 있다. 2003년도의 오리엔탈리즘이 2005년도, 2006년도에도 대표적 트랜드로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2003년의 미니멀리즘 스타일은 2006년에 다시 재등장 하였다. 2004년도의 빈티지 스타일은 2006년도에 , 2004년도의 모던 스타일은 2005년도에 지속적으로 제시되었고, 2005년도에 새로이 등장한 인테리어 스타일의 유형인 네오 클래식 스타일이 2006년도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06년에는 맥시멀리즘 스타일과 빅토리안 스타일, Urban-chic 스타일도 새로이 출현되어진 인테리어 스타일로 조사되었다. 패브릭의 트랜드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2003년도의 리넨이 2004년도에 다시 재 등장 하였고 2004년의 레이스는 2006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대표적인 패브릭으로 제시되고 있다. 패턴의 트랜드 흐름은 2003년의 옵티컬 패턴이 2005년에 다시 등장하였고 2003년의 지오 메트릭 패턴이 2005년도, 2004년도의 추상적 패턴이 2005년도 다시 출현되며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졌다. 2005년의 다마스크 패턴은 2006년도에도 계속적으로 지속되는 대표적인 패턴으로 분석되고 있다. 2007년 인테리어 스타일 예측으로는 절제와 단순함이 강조 되며 과도한 장식은 사라진 미니멀함이 나타나고 따뜻하고 온화한 요소가 가미된 스타일로 표현 하며 장식을 배제하고 심플한 요소가 강조되어 직선이 아닌 유기적인 형태 곡선의 온화한 형태가 첨부된다. 가구의 형태는 모서리의 각을 없앤 유기적인 라인과 매끈하고 덩어리적인 형태의 가구가 활용될 것이다. 또한,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소박하고 편안한 인테리어와 손때 묻고 오래된 것들로부터 추억을 떠올리며 향수를 느낄 수 있는 바래고 퇴색된 컬러, 귀엽고 사랑스런 체크 패턴, 수공예 적 느낌의 핸드 메이드 감각이 강조 되며 다양한 문화를 거부감 없이 수용하며 동서양의 문화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수용하여 활용 하여 예술성이 강조된 오브제와 공간이 강세를 보이며 소재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 듯한 갖가지 종류의 재료인 크리스털, 철망, 레이스, 루프, 가죽 등 이질적인 조합이 공간에 악센트로 작용 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하학적 옵티컬 아트, 판화, 회화의 이미지를 차용한 프린트, 풍경화나 동식물 도감을 떠올리게 하는 패턴, 낙서 같은 문자나 그림의 그래피티 패턴이 2007년도에 대표적인 패턴으로 나타나며 자신만의 예술적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소비자 들을 위한 벽지인 수채화 기법으로 채색한 동양적인 느낌의 플라워 패턴과 그래픽 작업으로 표현한 모던한 느낌의 플라워 패턴을 믹스 앤 매치 하여 공간을 표현 할 것으로 예상된다.;As interests among consumers in interior styles have been rising recently, there is increasingly the need of various visual data on interior design, and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leading our life to a new direction. As well as the information on new exterior environment, the social, cultural trends within our society have huge influence on our living cultures and interior styles. Against this backdrop, for interior design reflecting the newest trends,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stream of trends in the past and various elements regarding interior styles are essential to get solid information to predict the future trend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come up with the analysis method by which specific, objective data can be drawn based on systemic principles in understanding, predicting, and analyzing the trends of interior styles. For this, centering on the illustrations of pictorial magazines from 2003 up to now, by analysing trend terms, representative interior styles, materials, patterns, fabrics, and describing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ocial, cultural conditions, more specific trend changes will be sought,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images' color, the changes of color trends in interior styles will be traced. For color analysis, four living magazines covering information on interior styles and trends(Maison, Casa Living, Interni & Decor, and Interior Design) were chosen, and especially hue distribu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trend images, tones, gray image scale, and describing expressions' image scale will be analyzed. In addition to that, frequency of trend terms related to images, interior styles, materials, fabrics, and patterns will be examined to analyze the changes in interior trends more distinctively. In conclusion, th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on the changes in interior style trends for the last three years shows that 'Mix & Match Style' in 2003 was presented in 2004, 2005, and 2006 too as a continuous trend not only regarding interior styles but also in furniture with different materials. Orientalism in 2003 was presented in 2005 and 2006 as well as the representative, continuous trend, and minimalism in 2003 was brought back out in 2006. 06' Vintage style was presented in 2006, and 04' Modern style in 2005 continuously, and Neo Classic style, a interior style emerging in 2005, has been presented up to now 2006 continuously. In 2006, Maximalism style, Victorian style, and Urban-chic style were found as newly emerging interior styles. The analysis on fabric trends shows that linen in 2003 reappeared in 2004, while lace in 2004 has been presented up to now 2006 as the representative fabric. As for pattern trends, Optical Pattern in 2003 reappeared in 2005, 03' Geo-matric pattern in 2005, and 04 Abstract Pattern in 2005 respectively. 05' Damask Pattern was found to be the representative pattern up to 2006 continuously. It is predicted that the 07' interior style will emphasize moderation and simplicity with minimal, warm, mild elements without excessive decoration, and connected, mild, and curved shapes rather than straight lines will be attached. As for the shape of furniture, flexible lines and sleek, solid shapes with smooth corners will be utilized. Besides, humble and comfortable interior designs arousing nostalgia, worn and tarnished color to recall memories from the worn and old stuff, cute and lovely check patterns, and hand-made feelings like handicrafts are emphasized. Pursued are Objet and space emphasizing artistic nature by embracing various cultures without repulsion, and accepting cultures from both East and West with modern senses. As for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kinds of materials that seem not well matched to one another such as crystal, wire mesh, lace, roof, and leather will be combined to make accent in the space. As for patterns, prints that adopt images of geometrical optical art, engraving, and landscape paintings, patterns recalling illustrated books of plants and animals, letters like doodle, and graffiti patterns are expected to appear as a representative patterns in 2007. Moreover, for consumers who want to express one's own artistic feelings, Mix & Match space expression is expected to feature flower patterns bearing oriental emotions through watercolor techniques, and flower patterns with modern feelings expressed through graphic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