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초등학교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Title
초등학교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Other Titles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Scale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uthors
박희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에서 행하는 교육활동 중에서 수업은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며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이기에 학교장의 여러 지도성 중 수업지도성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업지도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는 기존의 것을 반복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학교 현장에서 요구하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뿐더러 최근의 학교장 수업지도성 이론과도 차이가 있다.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효과적으로 측정될 때 이와 관련된 연구의 결과에 대한 정확하고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기에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고 있는 수업지도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학교장의 수업 지도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의 이론적 배경 및 측정도구 타당화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론에 근거하여 수업 지도성의 구성요인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수업 지도성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이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을 구성하는 요인과 요인 내 문항은 어떠한가? 2.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3.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학교장의 역할, 학교장의 수업 지도성 이론,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행위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내용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학교장의 수업 지도성의 하위 요인을 5개로 구성하여 하위 변인별 문항을 작성한 후 설문지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높였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총 11개 학교에 재직하는 220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SPSS 12.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번과 3번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총 15개 학교에 재직하는 310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AMOS 5.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및 SPSS 12.0을 이용하여 C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는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각 요인은 전문성 개발, 학교 비전 제시, 교수-학습 환경 지원, 교수-학습 목표 평가, 협력적 관계 조성으로 명명되었으며, 하위 요인별 문항 수는 각각 7문항, 5문항, 4문항, 5문항, 5문항이었다. 요인별 문항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문성 개발은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을 구성하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인이었다. 이는 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전문성 향상 기회를 각종 연수 및 모범사례 제시 등을 통하여 부여하며, 학교장 자신은 교사들의 수업 참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수업지도성을 갖추기 위하여 노력한다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 학교 비전 제시는 학교장이 학교의 미래상에 대한 뚜렷한 비전과 기대를 가지는 것, 학교 구성원들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구성원들이 학교의 목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교수-학습 환경 지원은 학교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면학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수-학습과 관련된 교육 자료의 구비, 교사와 논의를 통하여 수업 개선을 위한 환경적인 지원을 하는 것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교수-학습 목표 평가는 학생에 대한 평가, 교사에 대한 평가와 평가 결과에 따른 교수-학습의 목표 및 수업 방식의 개선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협력적 관계 조성은 교사들과 상호 협력적이고 인간적인 관계를 조성하는 것, 교사들의 인간적 성장에 관심을 기울여 교사의 자기 개발과 전문적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 이와 같은 지원을 통하여 교사들이 자신의 직무에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려는 것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처음에 가설적 변인이었던 학교 비전제시, 교수-학습 과정 관리, 교수-학습 지원 활동, 교수-학습 목표 평가, 교사 전문성 개발과 구성 변인의 차이가 있었는데, 요인분석의 결과로 나타난 새로운 결과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하나는 교사의 전문성 개발 변인이 수업지도성을 구성하는 비중이 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난 것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협력적 관계 조성이 새로운 하나의 변인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이 두 가지 변인은 학교장이 효과적인 수업지도성을 발휘하고자 할 때 학교장과 교사와의 관계가 가장 중요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초등학교의 수업은 한 학급을 맡고 있는 담임교사에 의해서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만큼 수업을 실제적으로 행하는 교사의 역량에 많이 달려있다. 그러므로 나름대로 독립성과 자율성과 자기영역을 주장하면서 행하는 수업에 학교장이 수업지도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개별 교사와의 협력적인 관계를 갖고, 교사의 전문성 개발의 기회를 통해 전문적인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가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할 수 있는가, 즉 검사도구의 목적에 얼마나 충실하게 값을 측정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요인부하량은 .40이상의 값을 보임으로써 측정도구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초등학교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 도구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x²/df, RMR, GFI, AGFI, NFI, CFI의 값이 모두 권고 기준치 이상이므로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또, 경로 모형을 통하여 각 하위요인 간의 상관을 보았는데, 전반적으로 .75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전문성 개발과 학교 비전 제시, 교수-학습 환경 지원, 교수-학습 목표 평가는 .854이상의 아주 높은 상관을 보여 학교장이 효과적인 수업지도성을 발휘하는데 있어서 개별 교사들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문성 개발과 협력적 관계조성, 학교 비전 제시와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교 비전제시와 교수-학습 목표 평가, 학교 비전제시와 협력적 관계조성, 교수-학습 환경 지원과 교수-학습 목표 평가, 교수-학습 환경 지원과 협력적 관계조성, 교수-학습 목표 평가와 협력적 관계조성, 협력적 관계 조성과 전문성 개발이 .756 이상의 값을 보여 이 역시 높은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을 구성하는 5개의 요인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업지도성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각 요인들이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으므로 학교장은 수업지도성을 발휘할 때 어느 한 요인만이 아닌 여러 측면에서 각 요인간의 상호관련을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본 연구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산출하였을 때 Cronbach α값이 모두 .749이상으로 나타나 전체 항목을 하나의 척도로 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문제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집대상의 문제이다.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교장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이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초등학교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측정하는 도구의 타당화 연구로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여러 지역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둘째, 표집의 어려움 때문에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장이 남교장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여 교장의 지도성에 있어서의 차이를 연구한 연구 결과 중 수업지도성 발휘에 있어서 여자 교장이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가 남여 교장 모두에게 활용이 가능한지에 관한 타당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하여 주로 양적인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측정도구의 각 요인에 대한 더 정확한 의미 파악을 위해서는 면담과 같은 질적인 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있어서 교사변인과 관련한 교사 전문성 개발과 협력적 관계 조성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측정도구가 기존과는 달라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교사변인과 관련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이론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를 좀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factors to assess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such a scale. While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s becoming more important, many studies have used the assessment scale of Noh(1994) and Lee(1997), although slightly modified. The existing scale assesses leadership in general and thus is not adequate enough to appraise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toda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right factors to construct the specific scale to assess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validate the scal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factors and questions should constitute the scale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2. Is the scale with such factors and questions valid? 3. Is the scale with such factors and questions reliable?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factors to assess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lthough the existing scale is composed of four factors, one more factor should be included as there has been growing emphasis on developing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leadership. Thus, this study considers five factors to be included in the assessment scale: vision presentation,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and developing the expertise of teachers. For research question 2, 220 teachers in 11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on the 45 questions concerning the five factors mentione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ve factors of the scale. After the factor analysis, questionnaires based on the five factors were answered by 310 teachers in 15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answers were then analyzed with AMOS 5.0 and SPSS 12.0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ve factors constitute the scale of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The factors are named as expertise development, vision presentation,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and promotion of cooperative relationship. This result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expertise development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nd that promoting cooperative relationship is included. Second, the factor analysis reveals that the factor loading of four factors is higher than 0.40, which confirms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proves that the scale is suitable for assessing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s the values of x2/df, RMR, AGFI, NFI, CFI are higher than standard poi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75 shows the close 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Third, the scale proves to be reliable as the Cronbach α value is above .749. In conclusion, the scale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should be composed of five factors. This scale with five factors proves to be valid and reliab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ample more data nationwide and apply the scale to assess female principals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