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예술 중,고등학교 교사행동이 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예술 중,고등학교 교사행동이 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arts middle & high school dance education teacher's teaching behavior on students' learning flow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arts middle & high school dance education teacher's teaching behavior on students' learning Flow. It made random sampling of total 402 people out of students who specialize in dance at the arts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Jeonbuk region as of 2006.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ree variables: survey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s background variables, the recognition of dance teachers' behavi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tudying flow as dependent variables. Inquiries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dance teachers' behavior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made from questionnaire of Jo Jai-gi(1992) based on the Leadership Scale for Sport (LSS) developed by Chelladurai & Saleh(1980). Inquiries concerning studying flow as dependent variables was made from questionnaire Kim Jin-ho(2003) based on the FSS developed by Jackson and Marsh (2003). For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2.0(ver). For the sake of the verification after the study,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as also executed. I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above study methods and processe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major, dance career, and training time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in democratic behavio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evels and grade, and dance career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in positive indemnification behavior. A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in exercise and indication behavio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and dance career. Finally,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in authoritative behavio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on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evels, grade, major, dance career, and training time in case of ‘the consolidation of studying and assignment’ of variables of learning flow. It is reveal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 lower grade, students who major in dancing, the shorter dancing career, and the shorter training tim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consolidation of studying and assignment.’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dance career, and training time in case of ‘the consolidation of studying behavior and thinking’ of variables of learning flow. It was revealed that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horter dancing career, and the shorter training tim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consolidation of studying behavior and thinking.’ Third, the dance teacher's teaching behavior like democratic behavior, positive indemnification behavior, exercise and indication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studying and assignment’ of variables of learning flow.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eacher’s teaching behavior is a meaningful variable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flow. The order of priority was revealed in sequence of democratic behavior to authoritative behavior to positive indemnification behavior to exercise and indication behavior accordingly. Also, all other behaviors except authoritative behavior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studying behavior and thinking’ of variables of learning flow.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eacher’s teaching behavior is a meaningful variable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flow. Also, the order of priority was revealed in sequence of positive indemnification behavior to exercise and indication behavior to democratic behavior accordingly.;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 중‧고등학생의 무용교사 교수행동 인식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특별시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예술 중․고등학교의 무용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예술 중학교 학생 170명, 예술 고등학교 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02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배경변인인 개인적 특성을 묻는 문항, 독립변인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 인식을 묻는 문항, 종속변인은 학습몰입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 인식은 Chelladurai & Saleh(1980)가 개발한 스포츠 교수행동 척도(Leadership Scale for Sport : LSS)를 근거로 하여 조재기(1992)의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 하여 연습과 지시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민주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권위적 행동으로 구분하였고, 종속변인인 학습몰입은 Jackson과 Marsh(1996)가 개발한 몰입상태척도(FSS)를 근거로 김진호(2003)의 설문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학습과 과제에 대한 몰두, 학습과정에의 통합, 학습 행동‧사고의 통합, 자의식의 상실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ver.)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t-test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 적률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post hoc 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먼저 '민주적 행동'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학년, 전공, 무용경력, 그리고 연습시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긍정적 보상행동'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는 학교급, 학년, 무용경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연습과 지시행동'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학년과 무용경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권위적 행동'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 중에서 학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몰입은 먼저 ‘학습 및 과제에 대한 통합’의 경우 학교급, 학년, 전공, 무용경력, 연습시간 등 모든 일반적 변인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학년은 낮을수록, 한국무용 전공집단일수록, 무용경력이 짧고, 연습시간이 짧은 학생일수록 학습 및 과제에 대한 통합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학습행동 및 사고에 대한 통합’의 경우 학년, 무용경력, 연습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중3 학생이, 무용경력이 짧고, 연습시간이 짧은 학생일수록 학습행동 및 사고에 대한 통합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무용교사 교수행동에 대한 인식이 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인 민주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연습과 지시행동, 그리고 권위적 행동이 학생의 학습몰입 중 ‘학습 및 과제에 대한 통합’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교사들의 교수행동이 학생의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 데에 의미 있는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 우선순위는 민주적 행동>권위적 행동>긍정적 보상행동>연습과 지시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권위적 행동을 제외하고 다른 무용교사들의 교수행동은 학생의 학습몰입 중 교수행동이 ‘행동 및 사고에 대한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교사들의 교수행동이 학생의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 데에 의미 있는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 우선순위는 긍정적 보상행동>연습과 지시행동>민주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