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체육수업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비교연구

Title
체육수업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ison Research of Physical Self-Efficiency and Satisfaction Level in Specialized and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Authors
하명남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esent helpful fundamental materials in developing effective physical education(P.E) class methods that encourage progressive participation, increase appropriate operation in P.E. classes of schools, and increase the female high-school students’ satisfac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P.E. class and physical self-efficiency of the participating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specialized P.E. class and general P.E. class. In this research, as there is no relative academic terminology in specialized P.E. class, it is implied that specialized P.E. class be consisted of teaching only one type of specialized athletics per semester based on school’s various facility and its environment, and that general P.E. class be consisted of teaching three types of athletics per semester with their textbook as foundation.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by focusing on total of 360 female high-school students, 180 actively participating female high-school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s that offer specialized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180 actively participating female high-school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s that offer general P.E. class. Of 360 students, 334 students were used in actual research material. In order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P.E. clas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revised and supported through the materials provided in the "Examination & Research of High-School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by Dongeun Park (2005) for physical, and "Research of High-School Female Student’s Physical Self-Efficiency and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Relative to Academic Substantiality" by EunJoo Jung (2005) for self-efficiency. Manova, Anova, and correlational analysis methods were used with Survey Analysis Program (SPSS) in order to finalize the gathered data and research material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through the above methods and procedures is as the following. Firstly,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specialized and general P.E. class, the specialized P.E. class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in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ecialized P.E. class. Especially, a significant increase in difference showed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sub variable class and class effectiveness. The construction of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is considered to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e maintenance of personal health, producing the founda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mind for everlasting education practice, helping to manage a wholesome livelihood after graduating, and playing a righteous and positive role in helping to prepare the practice of everlasting fitness. Secondly, as for the physical self-efficiency of specialized P.E. class and general P.E. class, the femal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ecialized P.E. clas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ifference and higher level in their perceived physical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re showed no increasing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self-presentation. Third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 class satisfaction level of the specialized and general P.E. class, and physical self-efficiency, the perceived physical ability as a sub variable of the participating female student’s physical self-efficiency in the specialized and general P.E. class gives sta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E. class satisfaction level, P.E. instructor satisfaction level, P.E. effectiveness satisfaction level, and P.E. class evaluation satisfaction level in providing the P.E. class satisfaction level; hence, was able to predict to have affirmative impact on the P.E. class satisfaction level as their perceived physical ability increased. As to the above results, the construction of the special P.E. class is considered to have great significance by showing higher perceived physical ability which gave increasing affirmative impact on the P.E. class satisfaction level, and having higher satisfaction level in the specialized P.E. class compared to the general P.E. class. However, although the specialized P.E. class showed higher scores by number when measured mathematically,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as not significantly high when measured reflectively by the students. Therefore, if perceived physical ability were increas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lass instruction method by content profile and methodical profile that were to increase the femal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it is considered that a more efficient P.E. class can be expected.;본 연구는 특성화 수업과 일반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체육 수업의 바람직한 운영과 여학생들의 만족을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체육수업 방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특성화 체육수업이란 체육수업을 단위학교별 상황과 환경에 따라 한 학기에 한 가지의 특정한 스포츠 종목을 가르치는 체육수업을 의미한다. 반면에 일반 수업은 체육 교과서를 토대로 한 학기에 세 가지 종목을 가르치는 체육수업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여자고등학교 중 특성화 체육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3개교에 재학 중인 1학년 여학생 180명, 일반 체육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3개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80명, 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에서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334명 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업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동은(2005)의 “고등학교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와 정은주(2005) “학교유형에 따른 중학교 여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태도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단변량 분산분석(ANOVA),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통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은 일반체육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보다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변인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효과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학교체육이 개인의 건강을 유지, 평생교육 활동을 위한 기초체력과 지식을 제공하고 졸업 후 건전하고 적극적인 평생체육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특성화 수업이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특성화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은 일반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된 신체능력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성화 체육수업과 일반 체육수업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면, 특성화 수업과 일반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이 체육수업 만족도를 나타내는 체육수업 만족도, 체육교사 만족도, 체육수업효과 만족도, 체육수업 평가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된 신체능력이 높을수록 체육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특성화 수업은 일반 수업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갖고 인지된 신체능력이 체육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지된 신체능력이 높게 나타나 특성화 수업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특성화 수업에서 점수자체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면 수치상 높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학생들이 느끼는 실질적인 만족도의 의미에서 살펴보았을 때 그다지 높은 만족도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체육수업장면에서 여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내용적 측면, 방법론적 측면에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 인지된 신체능력을 높여준다면 보다 효율적인 체육수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