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해석학적 청년교육방법에 관한 일 연구

Title
해석학적 청년교육방법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One Study To Hermaneutical Method For Young People Education
Authors
박정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Keywords
해석학청년교육방법종교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효과적인 청년교육을 통해 청년들이 그들의 삶에서 기독교적 가치와 진리를 만남으로써, 전인적 인격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해 나가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므로 기독교 청년교육을 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근본적인 청년들의 실존적 문제와 신앙에 관한 정립 및 청년들의 본질에 관한 이해를 하고 나서, 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하나로 해석학적 교육모형인 T. H. Groome의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Shared praxis)"의 모형을 인용해 기독교 청년 교육의 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 1장에서는 지금까지의 교육현장에서 강조되어온 성서의 내용 전달과 기독교적 가치를 수용하도록 설득하는 교사중심의 주입식 전달식의 교육형태는 청년들로 하여금 과거의 말씀과 현재의 삶을 연결시켜 그들의 행동을 변형시켜 가도록 촉진하는데는 미흡하다는 상황을 설정하고, 새로운 교육모형을 통해 교육방법을 개선해 나가야 함을 지적하면서, 논문의 목적과 내용을 밝혔다. 제 2장에서는 기독교 청년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되는 기독교교육의 해석학적 접근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해석이란 특수한 능력을 지닌 소수의 사람에 의해서 수행되어지는 과업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그들의 삶 속에서 필연적으로 요청 받고 있는 존재론적 과업이므로, 기독교 청년교육을 함에 있어서도 기독교 전통이 청년들의 경험을 의미있게 만드는 원천이 되는 동시에 청년들의 경험은 기독교 전통이 지닌 의미를 재해석하게 하는 원천이 된다고 믿으며, 청년들이 자신들의 존재 자체를 의식하게 하고 그 의식으로부터 미래에 대한 책임을 나아가서 존재로서의 가능성을 성서적 의미와의 연결과 더불어 발견하도록 촉진하는 해석학적 이론이 요청되므로, 해석학적 접근이론의 개관과 해석과정으로 본 기독교교육의 이해를 통해 전반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나아가 해석학적 접근이 수용되어질 수 있는 필요성과 이 이론이 줄 수 있는 역기능인 제한성에 대해서도 논해 보았으며, 현재의 삶의 갈등에서 출발하는 교육방법(from below)을 제시한 Groome과 성서적 의미의 오해에서 생겨난 갈등에서 시작하는 교육방법(from above)을 제시한 Walter Wink의 교육모형을 밝혔다. 제 3장에서는 여러 인간의 발달이론은 인간을 하나의 성장하며 발달하는 개체로 보고 인간의 다양한 신체적, 인지적, 정의적, 행위적 측면의 발달양상을 밝혀 주고 있으므로, 이러한 이론들은 교육의 과정을 예측하고 계획하는 노력에 있어서 그 노력을 효과적으로 하고 교육의 목적을 적절히 실현시키기 위해서 유용한 이론들이기 때문에 기독교교육의 한 기초가 되는 기독교교육의 과정의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기독교교육의 노력을 위해서 인간성장발달에 관한 이론을 그 기반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인간발달의 제 양상을 설명해 주고 있는 E.H.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이론과 James Fowler의 신앙발달의 이론을 도입하고, 그들이 본 청년기에 대한 정의를 토대로 청년기의 정체성 및 신앙발달의 이해를 도모했다. 제 4장에서는 청년기의 본질 및 청년기의 정체성 위기와 신앙발달에 관해서 개별적으로 규정해 보고, 정체성의 위기와 신앙발달의 관계를 살펴 봄에 있어서, 모든 위기가 다 신앙발달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지에 관해, 또 신앙발달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기독교교육은 청년들이 경험하는 위기를 신앙발달로 까지 어떻게 이끌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에 의문점을 갖고 정체성의 위기라는 청년기의 실존적 문제가 신앙발달과 어떤 관계 속에 있는지 그 관계성을 기독교 교육적 노력과 함께 연구해 보았다. 제 5장에서는 기독교 청년교육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므로서, 청년 자신과 현재의 상황, 그리고 전통적인 성서해석과 종교적인 규범, 지식, 내면화된 가치들은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새로운 비젼을 향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본 논문의 핵심이 되는 해석학적 교육모델을 구성하였다. 해석학적 교육모델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변화되어야 할 몇 가지 전제조건들이 있다. 첫째, 존재론적 사건으로서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주입식 교육에서 대화적인 교육방법으로서의 전환이 필요하고, 셋째, 이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따뜻하고 허용적인 개방공동체의 형성이다. 이 교육모델은 청년들의 현재 경험에서 출발하여 현재 청년들의 삶과 과거 기독교 전통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청년들의 이야기들과 기독교의 이야기, 그리고 청년들의 비젼들과 기독교의 비젼 사이의 변증법적인 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비젼을 발견하고 실천적인 결단을 하도록 하는 제 5단계의 해석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 교육모델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별히 Groome의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모형"이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다. 마지막 제 6장에서는 논문 전체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보고, 기독교 청년교육을 위한 해석학적 교육모델을 교육적 상황과 연결시켜 보면서 그 제한점을 지적하며, 해석학적 교육모델 개발의 중요성과 의미를 강조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for the whole people and the desirable sense of value by getting the Christian value and truth through the effective young people education. Therefore it is to provide the method for the Christian young people education by quoting the "Shared praxis" by T. H. Groome, which is an hermeneutical educational model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models, after understanding the existential problems and faith or the young people natures basically required in the Christian young people education. So for the cramming-delivery education form consentrating on teachers, who persuade the young people to accept the Bible contents and Christian values has caused the situation having the lacking promotion of the behavioral change in connection with the past Words and the present living. So in section 1, the study explained the purpose and content pointing out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method through the new educational model. In section 2, the study investigated the hermeneutical approach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is fundamental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young people education. The interpretation is not the task of a few people having the special ability, but the existential task which is essentionally requried by every human. Thus this study examined, as a whole, the Christian education with a general survey and process of hermeneutical to approach theory. Also the necessity of its approach acceptability and its limitations, possible disfunction, were discussed, and further the "from below" by Groome derived from the conflict of present living and the "from above" by Walter Wink starting from the conflict of misunderstanding of Bible meaning were explained. In section 3, the various developmental theories of man provided the many developmental aspects in physical,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areas by seeing human as a growing individual. Thus, for the desirable Christian education, we must consider the developmental theory a basis, and attempt to understand the stagnation or faith development of adolescence based on the definition of it by introducing the faith developmental theory by James Fowler and the psychological-social developmental theory by E.H. Erickson which explain every aspect of human. In section 4, the nature and stagnation crisis of adolescence and the faith development were prescribed respectively. In addition, whether every crisis has a role which can cause the faith and if not, how the Christian young people must make an effort to get the faith from crisis experience were studied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tial problem and the faith development of adolescence. In section 5, by suggesting the concrete direction of Christian young people education, the young themselves, the present conditions, the traditional Bible interpretation, and the religious norm, knowledge and internalized values were critically introspected. In this way, the hermeneutical educational model, key point of this study was constructed for new vision. This model started from the present experience of young people, introspected the present living and the past Christian tradition critically, and consisted of 5 stages as the hermeneutical process for founding new vision and its practical determination through the dialectical explanation among young people stories, Christian stories and their vision and Christian vision. In the last section 6, the whole content of this study was united and the educational situation was connected with the hermeneutical model for the Christian young peoples education. Thus a conclusion was drawn referring to the tasks with which the deducation model can be used effectively pointing out its limit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