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조직 내 세대차이 극복을 위한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조직 내 세대차이 극복을 위한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Authors
김미성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난 한 세기에 걸쳐 급격한 변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겪어온 정치, 경제적, 그리고 사회사적 경험은 특유한 사회․문화적 상황을 조성하기에 충분한 것이었고, 그 문화적 특성의 일면이 ‘세대 간의 문제와 갈등’이라는 이름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사실 세대 간의 문제와 갈등은 어느 시대, 어느 장소를 불문하고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 조직 내의 조직문화에도 나타나는데, 특히 기업 조직에서의 세대 차이로 인한 문제와 갈등은 조직의 생산성이나 조직성과 저하, 조직 내 원활한 의사소통 저하, 창의성 저해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조직 문화 속에서 존재하는 세대 차이를 극복하고 세대 간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기업 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직 구성원들의 화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세대 차이 극복을 위한 교육이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세대 차이 극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교육을 실시한 뒤,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또한 교육 여건, 교수 기법, 교육 내용의 적절성에 따른 교육 효과를 측정해 보는 것을 1차적 목적으로 했으며, 차후 교육 훈련 과정에서 실제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교육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로는 여성이 교육의 인지 효과는 남성보다 좋았으나 학습 효과는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연령별로는 인지 효과에 대해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학습 효과에 대해서는 40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만족도가 비교적 낮았다. 또한 교육의 만족도를 인지 효과와 학습 효과로 구분하여 그 상관성 및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육 여건이나 교수 기법보다는 교육 내용이 인지 효과에 영향력을 많이 미치고 있으며, 적절한 인원 배치 등으로 인한 적극적인 교육 참여가 학습 효과를 높이는데 작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조직 내 세대 차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게 하기 위한 교육에서는 짜임새 있는 교육으로 학습자들에게 세대 차이를 인지하고, 세대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동기 부여를 해야 하고, 적극적인 동참을 위해 적절한 학습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교육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Over the past century, during the torrent of rapid changes in Korea, Koreans have had sufficien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to produce unique socio-cultural situations. The cultural aspect of these situations often takes the form of ‘problems and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a universal phenomen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Such a phenomenon is also observed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business. In particular, it manifests itself in problems and conflicts in a corporate organization caused by a generational gap that can reduce the productivity or performance of an organization, prevent effective communication across the organization, and decrease creativity. Therefore, many companies today have made extensive efforts to enhance productivity and unite employees by overcoming the generation gap present in the organization through ensuring systematic communications between generations. A part of these efforts is education that seeks to surmount issues involving the generation gap.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measuring the effect of such education based on not only demographic variables but also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methods and content after the presentation of a program designed to the overcome a generation gap in an organization. The study also aims at improving the applicability of future instances of the tra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ducation effects by demographic variables, cognitive effect by gender was higher for female participants than their counterparts, while satisfaction of learning effect was lower. In terms of the cognitive effect by age,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 for all the age groups, while level of satisfaction on learning effect was relatively low for all age groups, except for the 40s. To provide better education services,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and influences on the aspects of education satisfaction wa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level of education into cognitive effect and a learning effect of the educational cont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education being processed to recognize and reduce the generation gap in an organization, education content had a stronger impact on the cognitive effect than education conditions or teaching methods. Besides, the posi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 brought by proper personnel allotment and so forth can result in increment of the learning effect.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effects for overcoming generation gap successfully can be raised by motivating trainees to recognize and to overcome generation gap with the help of well-designed educations and setting appropriated learning conditions for active parti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