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Quantitative evaluation of anatomical thickness of cortical bone and soft tissue
- Title
- Quantitative evaluation of anatomical thickness of cortical bone and soft tissue
- Other Titles
- 피질골과 연조직의 해부학적인 두께를 위한 정량적 평가
- Authors
- 이수경
- Issue Date
- 2007
- Department/Major
-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Introdu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an anatomical map of cortical bone and soft tissue thickness, to suggest a new design of mini-implant, and to guide mean attached gingival width in Korean people.
Methods: 15 males and 15 females participated in our study. After the plaster casts were fabricated, the stents were made. The radiopaque markers were bonded to the position of alveolar crest and mucogingival junction of stents. After the stent was put into the mouth, CT 3D scan images were taken. Cortical bone and soft tissue thickness were measured at 2, 4, 6, and 8 mm from the alveolar crest of inter-radicular spaces from central incisor to first molar. Attached gingival width was calibrated.
Results: Cortical bone thickness showed no change to the apical direction for all inter-radicular spaces in the maxilla and increased from anterior to posterior teeth at all levels in the mandible. Soft tissue thickness in the maxilla was regular to the apical direction between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between canine and first premolar, and between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and in the mandible was regular to the apical direction for all inter-radicular spaces. Total thickness showed no change to the apical direction between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between canine and first premolar, and between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in the maxilla and increased from anterior to posterior teeth at all levels in the mandible. Attached gingival width in the maxilla was wider than in the mandible, and in anterior teeth was wider than in posterior teeth. The widest value was within 6mm.
Conclusions: These results may reduce the length of mini-implants within cortical bone thickness. It is suggested that mini-implants be inserted in the anterior area that receives little occlusal force and has a wide attached gingival width.;이 논문의 목적은 피질골과 연조직 두께를 측정하여 해부학적인 지도를 만들고, 새로운 미니 임플란트의 형태를 고안하며, 한국인의 평균 부착치은의 넓이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자원한 남자 15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7세 3개월이었다. 피질골, 연조직, 부착치은의 넓이를 동일 조사자가 측정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post hoc test로 통계처리 하였다. 유의수준은 P = 0.05였다.
본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상악에서의 피질골 두께는 모든 부위에서 치근단 쪽으로 내려가면서 두께가 변하지는 않으나, 하악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진다.
2.상악에서의 연조직 두께는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는 치근단 쪽으로 내려가면서 두께가 변하지 않고, 하악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치근단 쪽으로 내려가면서 두께가 변하지 않는다.
3.상악에서의 전체 두께는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는 치근단 쪽으로 내려가면서 두께가 변하지 않고, 하악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진다.
4.부착치은의 넓이는 상악이 하악보다 전체적으로 넓으며, 전치부가 구치부보다 넓고, 특히 제1소구치 부위에서 가장 좁다. 가장 넓은 부위도 6mm를 넘지 않는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피질골내에서 기계적 결합을 얻는 비교적 길이가 짧은 미니 임플란트를 고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저작력을 덜 받고 부착치은의 넓이가 풍부한 전치부에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 된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