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여진-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13-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Grand Fugue for Orchestra by Eunjoo Lee with Analysis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with a formal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nd its structure based on pitch progression. The second part, the Grand Fugue for Orchestra is a composition of medium sized orchestra in one movement lasting approximately 15 minutes. The primary object of composing the Grand Fugue is an improvement of the concept in regard to linear, horizontal, and harmonic relationships of traditional Fugue. Traditional Fugue has had three basic drawbacks: (1)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Answer resulting from functional harmony was imperfect because the real Answer changes tonality and the tonal Answer transforms melodic line; (2) There is lack of relationship between pitch and rhythmic concept in the Subject; and (3) The Subject of the traditional Fugue is basically monophonic despite of its polyphonic texture. In order to remedy those three defects in the traditional Fugue, this Grand Fugue for Orchestra has taken the following new alternatives: (1) New complementary relationship is developed between the Subject and Answer in twelve-tone theory; (2) Pitch function is applied to rhythmic organization; and (3) Subject is constructed polyphonically. The theory which is used in this composi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resent composition only, but also can be served as a generalized theory applicable to any fugal composition with twelve-tone. This Grand Fugue for Orchestra attempts to remedy drawbacks exsisting in the traditional Fugue with the payment of special attention to maintaining the basic principle and theory found in the Fugue and to develop Fugue for twentieth century based upon twelve-tone theory. ; 이은주의 Grand Fugue for Orchestra 및 분석은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부는 Grand Fugue for Orchestra에 대한 분석이고 제2부는 Grand Fugue for Orchestra이다. 제2부의 Grand Fugue for Orchestra는 3관 편성의 단악장으로 구성된 약 15분 길이의 오케스트라 곡이다. 제2부 분석부분의 본론은 다시 2부분으로 세분되며 1부에서는 작품분석에 앞서 작품전체의 형식을 제시하고 2부에서는 부분별로 선율진행과 음 조직에 대한 이론을 서술하고 논의한다. Grand Fugue for Orchestra는 현재의 관점에서 전통 조성 Fugue에서 사용되어온 조성적(tonal) Answer와 진정(real) Answer라는 2중적 사고를 하나로 통일하기 위해 12음 체계 안에서 폴리포니(polyphony)개념에 의한 Fugue를 구성한 작품이다. 전통 조성 Fugue의 Subject와 Answer는 조성화성의 타닉(tonic)과 도미난트(dominant)의 complement(補)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타닉 리전(tonic region)에 의하여 주제를 제시하고 도미난트 리전(dominant region)에 의하여 응답하여 조성 화성의 complement관계를 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ubject를 Real Answer로 응답할 경우 조성의 완전한 변화로 인해 조성적 Fugue의 성격을 유지할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하므로 Tonal Answer로 대치하여 조성이 완전히 변화되는 것을 보완한다. 그러나 그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조성을 유지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Answer의 선율이 Subject의 그것과 일치되지 못함으로 대위적인 선율조직이 훼손되는 또 다른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전통 Fugue의 Subject와 Answer간에는 논리적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Subject 선율이 더 이상 조성의 한계에 머무르지 않고 반음계적 변화음들이 더 이상 변화음으로 취급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Answer를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이론적 필요성 또한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Fugue의 Subject와 Answer개념이 근본적으로 폴리포니에 근거함에도 불구하고 전통 Fugue에서는 단선적 개념으로 구성되었으며 리듬은 음조직과 별개로 처리되어왔다. 따라서 Grand Fugue for Orchestra는 현재의 관점에서 전통의 Fugue를 한차원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12음에 의한 Subject에 대해 새로운 complement관계를 이루는 Answer를 구성하였고 리듬조직 역시 음 조직에 따라 역행과 전위가 모두 적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Subject의 선율을 복합선율 개념으로 확대, 발전시켰다. 또한 이 작품에 적용된 이론은 이 작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일반화된 이론으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 작품은 전통적으로 폴리포니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 되어온 기법인 조성 Fugue의 논리들을 새로운 음 이론으로 구성한 12음의(dodecaphonic) Fugue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Ⅱ. 본 론 3 A. 형식 3 B. 분석 4 1. Introduction (mm. 1-11) 4 2. Statement I (mm. 12-28) 22 3. Episode I (mm. 29-47) 31 4. Statement II 37 5. Episode II (mm. 58-91) 47 6. Statement III 56 7. Episode III 60 8. Statement IV 67 9. Episode IV 74 10. Stretto (mm. 179-222) 83 C. Orchestration 103 Ⅲ. 결론 108 A. Subject와 Answer 사이의 Complement 관계를 이루는 이론적 방법 109 1. Subject의 구성 109 2. Answer의 구성 110 B. Subject와 Answer로 부터 polyphony 구조의 추출방법 112 C. Subject의 리듬이론 적용방법 114 D. Subject의 articulation 적용방법 115 후 서 117 참고문헌 118 ABSTRACT 119 2부 Grand Fugue for Orchestra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678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은주의 Grand fugue for orchestra 및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grand fugue for orchestra by Eunjoo Lee with analy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