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원-
dc.contributor.author공선영-
dc.creator공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87-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ims to help a single-mother family maintain healthy life as one type of families by exploring the exprience and adjustment of the sinfle-mother family generated by divorce or bereavement.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explores the ways for supporting them by recognizing how much change the single-mother family experiences, how they copy with the change, and how much they adjust to the change, and further, throw light on their healthy life. In order to clarify this purpose, this thesis tries to explore the weakness of single-mother family as well as the potential strength based on the premise that all single-mother families are not affected by the life event of divorce in a same degree, but the degree of negative effect can be varied depending on how they overcome it, and even positive effect can be given on them.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case study by in-depth interview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29 single-mothers aged between 30 to 59 who experienced the bereavement or divorce from husbands, and who live with more than 1 child now. The conclusion and point of argu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single-mother experienced rather negative change after their bereavement or divorce. Among 5 domains of economy, emotion, children, role-perform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change in economic domain was most negative, while the positive change was shown in a children-related domain. This implies that to overcome the economic hardships is the most important task in the adjustment of single-mother family, and that the existence of their children acts as an important resource in adjustment of the single-mother even in a difficult situa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of help for coping-strategies to the change was little below the average. As for the types of coping-strategy, the best support was the family coping-strategies in which the single-mother discusses or cooperates with family, or spends time with family. Out of a total of 23 types, most effective coping-strategy was participation in religion group , demonstrating that religion practically provides the psychological composure to the single-mother and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of single-mother family. Third, the single-mothers are more or less dissatisfied with their present life, while they think that their family members are relative healthy and second. The more positive their emotional change, the higher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active coping-strategy, and the more they used more coping-strategy using alll social network,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life was higher. The higher the average family income, the more positive the change in the children-related domain, the more they utilized the family coping-strategies, the degree of family health was high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active application of various coping-strategies utilizing their social network, and to create the active coping-strategies for them to aggressively cope with the change in their life by facing and accepting the situation of divorce or bereavement in ter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 Fourth, their demand of welfare was relatively high, and especially in economic and social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ocial welfare alternatives to the single-mother family to provent the further dismantling of single-mother family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and to give considerable economic aids for them to secure the minimum economic st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negative bias of society on the single-mother family is big hinderance for their sound and fair life, it is required to accept the ever-increasing single-mother family as a strict reality, and to devise a proper measure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admit the single-mother family not as a defect family, but an equal type of family, and to change our awareness to think that those family can also make up the healthy family. Fifth, the degree of change and the coping-strategies had biggest influence on the adjustment of single-mother family, consisting with the theoretical argument of precedent studies on the western family stress. However, since there are variables that shows statisically meaningful influence in the adjustment of single-mother family, and those no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theory frame and related variables considering the Korean characteristics. Finally, given that the adjustment degree of single-mother family varies depending on the various and unique situation of each family, this thesis points out the diversity of single-mother family focusing on the bereavement and divorce, and illustrated the sound and healthy single-mother family. In conclusion, the single-mother family experiences complex difficulties along with shock of divorce and bereavemen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o live without father or husband may not inflict the real life of the single-mothers and children, or rather they may find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life than before. That is,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he existence of father or husbands, but what kinds of father or husband he is. Based on these, this thesis has explored the ways to help the single-mother family 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and form the healthy family in terms of emotion as well as the physical status.; 본 논문은 이혼이나 사별로 인하여 모자가족을 형성한 여성가장들을 대상으로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을 살펴봄으로써 모자가족이 하나의 동등한 가족형태로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모자가족이 경험하는 변화가 어느 정도이며 어떻게 대처하고 어느 정도 적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모자가족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또한 건강하게 살아가는 모자가족을 통해 그들의 건강한 모습을 밝혀주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서 "모든 모자가족이 이혼이나 사별이라는 생활사건에 동일하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그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가 달라지며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전제하고, 모자가족의 취약점 뿐만아니라 그들이 갖는 잠재적 감정(strengyths)을 동시에 모색하려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모자가족의 변화 정도, 대처전략, 적응(삶의 만족도, 가족건강도) 그리고 복지요구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심층면접에 의한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사별 또는 이혼으로 남편과의 이별을 경험하였고 초소한 1명 이상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30대, 40대, 50대 모자가족 여성가정 229명이었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와 논의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인 모자가족 여성가장들은 이혼이나 사별로 모자가족이 된 후 다소 부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경제적, 정서적, 자녀 관련, 역할수행, 대인관계 등 5가지 영역 중에서 경제적 영역에서의 변화가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자녀 관련 영역은 오히려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모자가족의 가장 큰 어려움이 경제적인 문제라는 것은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 모자가족의 적응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하는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혼이나 사별 이후 오히려 자녀 관련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고 지적한 모자가족 여성가장들에게 자녀 존재 자체가 경제적으로는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할지라도 적응에는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자녀의 존재가 적응에 부정적이라고 보는 서구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자녀가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적 특수성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母)-자녀의 친밀한 관계는 종단적 연구 차원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둘째, 모자가족 이후의 변화에 대한 대처전략의 도움 정도는 중간을 약간 밑도는 것으로 보인다. 대처전략 유형으로 보면 가족과 의논, 협조를 하거나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는 가족적 대처전략이 가장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 23가지의 전략 중에서 가장 도움이 된 효율적인 대처전략은 종교모임 참여 로 나타나 종교가 모자가족 여성가장들에게 실질적으로 심리적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모자가족 이후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교기관에서 이들을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리라 본다. 셋째, 모자가족 여성가장들이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어느 정도 적응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삶의 만족도와 가족건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현재의 삶에 대한 약간 불만족하고 있는 반면, 자신들의 가족이 비교적 건강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삶의 만족도는 정서적 변화가 긍정적일수록, 개인적 적극적 대처전략과 사회연결망동원 대처전략을 활용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건강도는 월평균 가족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관련영역의 변화가 긍정적일수록, 가족적 대처전략을 활용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모자가족의 적응에 정서적 영역의 변화 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정서적 상태는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느냐 또는 부정적으로 수용하느냐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되며,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모자가족에게 발생되는 문제해결에 주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모자가족 여성가장의 정서적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아직까지 우리사회에는 가족에 어려움이 생기면 가족 내부적 해결방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가족 외부의 사회적 지원체제가 제대로 발달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심리적으로 육체적으로 이혼과 사별을 직시하고 받아들임으로써 새로운 모자가족 생활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처전략과 다양한 사회연결망동원 대처전략의 적극적인 활용을 조성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따라 모자가족을 위한 프로그램내용과 방법에 있어서도 이러한 대처전략에 대한 훈련과 정보전달이 더 강조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모자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복지요구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자가족 여성가장들은 경제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 있어서의 지원을 더욱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모자가족이 최소한의 경제적 안정을 확보하도록 실질적인 경제적 도움을 지원하고 경제적 부담으로 인하여 모자가족이 2차로 가족해체되는 것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모자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안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 사회는 아직까지 정상 이라는 선을 그어놓고 거기서 일탈한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대하는 경향이 있어 모자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상당히 심감하다. 이러한 모자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모자가족의 당당하고 건강한 삶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제는 모자가족을 단순히 부정적으로만 보고 덮어둘 것이 아니라 증가하는 모자가족을 엄연한 현실로 인정하고 그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이혼은 불행한 결혼생활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더 나은 삶 을 위해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길이며 이혼가족의 자녀들을 결손가족 의 자녀로 보지 않고 도 하나의 가족형태로 인정해 주는 배려, 그리고 그러한 가족도 건강한 가족을 이룰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결과에서 변화 정도와 대처전략이 모자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사별이나 이혼과 같은 생활사건들과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서구의 가족스트레스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주장들과 일치한다고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모자가족의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는 변수들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변수들도 있다. 즉 우리나라는 가족가치관, 가족구조, 가족의 개념, 사회적인식 등 많은 부분에 있어 서구와는 다르므로 서구의 연구틀을 그대도 받아들이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우리 실정에 맞는 이론틀과 모자가족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관련변수들의 파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는 이론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모자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도 적용된다. 다시말해 미국이나 유럽에서 이미 실시되고 있는 복지프로그램들을 참고할 수는 있으나, 모자가족 특히 이혼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큰 한국의 문화적 특수성에 맞도록 수정, 보완해야 함을 인식해야 한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모자가족의 다양성과 건강성을 제시하였다. 개별 가족이 처한 다양하고 독특한 상황에 따라 모자가족의 적응양상은 다양할 수 있다고 보면서, 모자가족 형성원인에 따른 이혼과 사별을 중심으로 모자가족의 다양성을 지적하고, 건강한 모자가족의 모습을 그려보았다. 종합해 보면, 모자가족은 이혼이나 사별로 인한 충격과 함께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한다. 하지만 사별이나 이혼에 의한 모자가족의 여성가장과 자녀들에게 남편 그리고 아버지가 없거나 함께 살지 않는다는 것이 실제 삶에서는 어려움으로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오히려 이전 보다 나은 생활의 만족과 안정을 찾을 수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실제적으로 남편이나 아버지가 있거나 혹은 없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아버지, 어떤 남편인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모자가족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편견에서 벗어나 모자가족 특히 이혼으로 인한 모자가족이 증가하는 현실을 수용하면서 보다 균형 잡힌 시각으로 모자가족과 그들의 가족관계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이혼이나 사별로 인해 경험하게 되는 변화 정도가 개별 가족에 따라 어떻겡 다른가를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 그 가족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적을을 할 것인가, 또 그 관정에서 어떠한 대처전략이 적응을 더 촉진할 것인가에 대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이를 기반으로 모자가족이 사별이나 이혼에 의해 야기되는 변화를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정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보다 건강한 가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B. 가족 관점의 변화 및 개념 정의 6 1. 가족에 대한 관점의 변화 : the family에서 families로 6 2. 연구대상에 대한 개념 정의 : 한부모가족, 모자가족 9 C. 통계로 보는 한부모가족, 모자가족 12 1. 통계로 보는 한부모가족 12 2. 통계로 보는 모자가족 19 Ⅱ. 모자가족에 관한 연구 검토 25 A. 모자가족에 관한 선행연구와 한계점 25 1. 모자가족 연구의 흐름 25 2. 모자가족 연구의 다양성에 관한 논의들 28 3. 모자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35 4. 선행연구의 한계점 45 B.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47 1. 연구모형 47 2. 연구방법 49 Ⅲ. 모자가족의 일반적인 내용 64 A. 연구대상장의 일반적 특성 64 1. 사회인구학적 특성 64 2. 이별 관련변수의 특성 69 B. 연구대상자의 결혼과정, 이별 이후, 그리고 재혼관 74 1. 결혼과정 74 2. 이별 (이혼·사별) 이후 75 3. 재혼관 78 Ⅳ. 모자가족의 변화 정도 및 대처전략 81 A. 모자가족의 변화 정도 81 1. 일반적 경향 81 2. 변수와의 관계 114 B. 모자가족의 대처전략 118 1. 일반적 경향 118 2. 변수와의 관계 126 Ⅴ. 모자가족의 적응 및 복지 요구 129 A. 모자가족의 적응 129 1. 일반적 경향 129 2. 일반적인 배경변수와의 관계 132 3. 변화 정도와 적응과의 관계 136 4. 대처전략과 적응과의 관계 138 5. 모자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관계 140 B. 모자가족의 복지요구 146 1. 일반적 경향 146 2. 변수와의 관계 150 Ⅵ. 결론 및 논의 153 A. 요약 및 논의점 153 1. 연구결과 요약 153 2. 연구의 논의점 154 3. 연구의 한계점 164 B. 모자가족의 다양성과 건강성 166 1. 모자가족의 당양성 : 이혼과 사별을 중심으로 166 2. 건강한 모자가족의 특성 169 참고문헌 172 부록 187 Abstract 2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675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변화정도,대처전략,적응 및 복지요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erienc and adjustment of single-mother family-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