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한국의 암각화를 재해석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 연구

Title
한국의 암각화를 재해석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ecktie Textile Design that re - interpreted Korean petroglyph
Authors
전다혜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경숙
Abstract
Prehistoric people believed that abundant harvest and posterity bleeding was to be supervised by God. It is a petroglyph that they represented what they wished for by scratching a rock. At last, it can be said that a petroglyph is what a wish cherished deep down in the heart of a human being was depicted actually or symbolically. A petroglyph in the prehistoric period can be said to be not a simple form of art but synthetic art which represented the consciousness, social structure, life customs, religious ceremonies, culture, etc. of the current mem through variously carved forms. . The author, through a petroglyph of the prehistoric period, discovered that the pure artistic feeling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uman being is maintained through all ages. So, the author tried to represent the first human emotion, unpolluted and pure, as a textile design. Also, the author sought the possibility of representing primitive materials in a modern style by re-interpreting patterns visible from Korean petroglyphs and re-constructing the image. Also, with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etroglyphs as theoretical background, the author attempted to have an access to the original relation between a man and art by applying an artistic value of an petroglyph to meet the cultural flow and by just not blindly imitating but designing the symbolic meaning of a petroglyph through a necktie. A necktie is a method by which modern men represent their personalities and appropriately shows the culture and an aesthetic feeling of a person wearing it, and the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day by day. So to speak, it is possible to represent a variety of emotions and the self through a necktie. But in existing neckties, importance was only attached on arrangement of stripe or all-over, so it failed to show various compositions. People are forced to select a necktie depending on brand, s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usual design materials are required. Accordingly, the author got to have an interest in a petroglyph and applied these patterns to a necktie as new materials. First, the author examined patterns variously indicated in Korean petroglyphs by classifying them, re-interpreting the typical patterns which can be applied to modern art to represent them through a necktie. Second, the author studied, as means for representing male's personality, the meaning of a necktie in male's fashion and its psychological aspect. Third, the author analyzed the trend of a necktie such as the color, materials, patterns, styles, technique, etc. Fourth, the author added her subjective interpretation to the symbolical meaning the patterns of a petroglyph has to represent it by a necktie textile, and, attaching importance to a pattern such as all over and stripe, designed the patterns in two technique, that is, Jacquard weaving and Digital printing. As a material of a necktie, silk having both functionality and beauty was selected, and with regard to the type of a necktie, Four-in-hand tie which was most universalized among modern neckties was practically manufactured. Fifth, the author made a necktie so that the intent of making a work can be enough revealed and the color, patterns, materials, technique, etc can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differentiating it from existing neckties in design.;선사시대 사람들은 풍성한 수확과 자손번식을 신이 주관하는 영역이라고 믿었다. 그러한 그들의 소망하는 바를 동굴이나 바위에 긁거나 파서 새긴 것이 암각화(岩刻畵)다. 암각화는 결국 인간 심연으로부터 나오는 기원을 사실적 또는 상징적으로 묘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선사시대 암각화는 단순한 형태의 예술이기 보다는 다양하게 암각 된 형상들을 통해 당대인들의 의식과 사회구조, 생활풍속, 신앙의례, 문화 등이 표현된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선사시대의 암각화를 통해서 인간의 내면에 흐르는 예술적 감각은 시대를 초월하며 오히려 순수함을 유지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그 오염되지 않고 순수했던 선사인들 내면의 정서를 넥타이 직물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암각화에서 볼 수 있는 문양들을 재해석하여 그 이미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원시적인 소재의 현대적 표현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한국의 암각화의 유형과 특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예술적 가치를 적용시키면서 문화적 흐름에 부응하고, 맹목적인 모방이 아닌 암각화가 담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를 넥타이에 담아 디자인함으로서 인간과 예술의 근원적인 관계에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현대의 남성들에게 있어 넥타이는 개성표현의 한 수단으로서 착용자의 교양 및 미의식에 대한 감각이 잘 나타나는 부분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넥타이로 다양한 감성과 자기표현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기존의 넥타이 디자인을 보면 스트라이프(stripe)나 올 오버( all over )의 배열이나 색상에만 치중하여 다양한 구성을 보여주지 못한다. 거의 대부분이 브랜드에 의존해서 선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색다른 디자인 소재의 발굴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자가 암각화를 접하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 문양들을 새로운 소재로 넥타이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첫째, 한국의 암각화에 다양하게 나타난 문양들을 분류하여 고찰하였고, 그 중 대표적이면서 현대예술에 접목시킬 수 있는 문양을 재해석하여 넥타이 직물로 디자인 하였다. 둘째, 남성의 개성 표현 수단으로 남성패션에 있어 중요성을 더해가는 넥타이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넥타이의 색상, 패턴, 소재, 문양, 형태 등 넥타이의 트랜드를 분석하였다. 넷째, 암각화의 문양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에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담아 넥타이 직물로 표현하였고, 올 오버, 스트라이프의 패턴에 중점을 두어 자카드(jacquard) 제직과 디지털 프린팅(digital printing)의 두 가지 기법으로 디자인하였다. 넥타이의 소재로는 기능성과 심미성을 고루 갖춘 실크를 선택하였으며, 넥타이의 형태는 현대 넥타이 중 가장 보편화 된 ‘포 인 핸드 타이’ (four in hand tie)로 실용성 있게 제작하였다. 다섯째, 작품제작 의도를 최대한 살리고 색상, 문양, 소재, 기법 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넥타이와 디자인 측면에서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