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임-
dc.creator김경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552-
dc.description.abstract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교육은 자율적인 교육 방법으로 창의성이 최대한 보장되며 미래의 정보·지식사회에 대비하는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은 교육에 있어서 기존 지식의 전수나 정보 획득보다는 사고력과 탐구능력의 배양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과학교과에서는 탐구수업과 전통 수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영양소와 소화」 단원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특히, 오늘날 정의적 영역의 하나인 불안도가 학습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과학 불안도를 고려한 소집단 구성이 과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방법을 전통적 학습방법과 탐구학습 방법으로 실시하였을 때 과학 불안도 및 학업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159명으로, 과학 불안도 결과를 고려하여 비슷한 불안수준으로 조를 편성한 동질소집단, 불안수준이 다른 학생으로 조를 편성한 이질소집단, 불안도를 고려하지 않은 소집단의 전통수업과 불안도를 고려한 동질소집단, 이질 소집단의 탐구수업인 5집단으로 나누어 수업하였다. 연구 단원은 고등학교 생물 Ⅰ「영양소와 소화」 단원으로 5주간 10차시에 걸쳐 수업처치를 하였다. 수업처치 전·후에 과학 불안도 검사, 학업 성취도 검사,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과학 실험활동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탐구수업은 전통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며, 학업성취도 및 과학 실험활동 태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p< .01). 전통수업 집단에서는 불안수준이 동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이 불안수준을 이질적으로 구성한 소집단과 불안수준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적으로 편성한 소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과학 실험활동 태도 면에서 의미 있는 상승 효과가 나타났으나(p< .05), 탐구수업 집단에서는 과학 불안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실험활동 태도 영역에서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탐구수업 집단 중 불안수준이 낮은 불안도 동질소집단은 불안수준이 높은 불안도 동질소집단이나 불안수준이 이질적인 소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 .05). 이것은 불안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업전략이 학업성취도 향상도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수업방법과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편성의 상호 작용 효과는 과학 실험활동 태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p< .05). 즉, 전통수업 집단과 탐구수업 집단 모두에서 불안수준에 따른 실험활동태도 점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일한 수업 방식이라도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형태에 따라 실험활동 태도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탐구수업방법은 전통수업방법에 비해 과학 불안도, 학업성취도, 과학 실험활동 태도에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며, 대부분 전통수업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을 고려할 때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 수업은 전통수업에서 어느 정도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related anxiety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s in science, as well as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laboratory work. Also, this study examines if the inquiry instruction reduces anxiety in that is related to science. The research classifies 5 groups out of 159 girls attending high school, second year, which are divided into the inquiry instruction group (experimental group) and the expository instruction group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done by using high school biology unit I , which is unit related to nutritive substance and digestion, for roughly 10 hours during 5 weeks. Before and after the class, students science-related anxiety, their science achievement in science,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attitud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laboratory work were measur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10.0 statistics program. The overall conclusion of my study is as follows; 1. The Inquiry instruction i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expository instruction teaching strategy method in reducing science-related anxiety(p< .0l>. 2. Inquiry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in improving students' achievement toward science and their attitudes towards laboratory work. 3. In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expository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hievement toward science and their attitudes toward laboratory work when the science-related anxiety level was considered and less effective when it was not(p< .05). 4.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inquiry instruction was used, consideration of science-related anxiety was found to hav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science-related anxiety,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ir laboratory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s affective domain after due consideration is should be made the teaching strategy for sc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과학 불안의 개념 = 5 1. 불안의 정의 = 5 2. 과학 불안에 대한 정의 = 6 3. 불안에 관한 이론 = 7 가. Freud의 정신분석학적 측면 = 7 나. 학습·행동이론 = 8 다. Spielberger의 상태-특성불안이론 = 9 4. 시험불안과 학업불안의 성질 = 10 가. 시험불안 = 10 나. 학업불안 = 11 B. 과학적 탐구 학습 = 12 1. 탐구와 탐구능력의 의미 = 12 2. 과학교육에서의 탐구학습 = 13 가. 과학교육과 탐구학습 = 14 나. 탐구로서의 과학교육 = 15 3. 과학 교육과 탐구 실험 활동 = 16 C. 선행 연구 = 17 1. 과학 불안과 학습에 관한 연구 동향 = 17 2. 과학 탐구 학습에 관한 연구 동향 = 18 Ⅲ. 연구 방범 및 결차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단원 = 21 C. 연구 설계 = 21 D. 연구 절차 = 24 1. 검사도구의 개발 및 선정 = 25 가. 과학 불안도 검사도구 = 25 나. 학업성취도 검사도구 = 27 다.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 27 라.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 27 2. 사전 검사 실시 = 29 3. 수업 처치 실시 = 29 4. 사후 검사 실시 = 33 E. 자료처리 분석 = 3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5 A. 탐구수업의 효과 분석 = 35 1. 탐구수업 에 따른 과학 불안도 분석 = 35 2. 탐구수업 에 따른 학업 성취도 분석 = 37 3. 탐구수업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38 4. 탐구수업에 따른 과학 실험활동 태도 분석 = 40 B.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의 효과 분석 = 41 1.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 불안도 분석 = 41 가. 전통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불안도 분석 = 41 나. 탐구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불안도 분석 = 43 2.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 44 가. 전통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 44 나. 탐구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 46 3.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49 가. 전통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49 나. 탐구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50 4.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 실험활동 태도 분석 = 51 가. 전통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 실험활동 태도 분석 = 52 나. 탐구수업에서의 소집단 구성에 따른 과학 실험활동 태도 분석 = 53 C. 탐구수업과 불안수준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의 효과 분석 = 56 1. 탐구수업과 불안도 소집단별 과학 불안도 분석 = 56 2. 탐구수업과 불안도 소집단별 학업 성취도 분석 = 57 3. 탐구수업과 불안도 소집단별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58 4. 탐구수업과 불안도 소집단별 과학 실험활동 태도 분석 = 58 Ⅴ. 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3 부록 1 학업 성취도 검사지 = 71 부록 2 학업 성취도 검사 문항의 타당도 의뢰서 = 79 부록 3 과학 불안도 검사지 = 81 부록 4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 = 84 부록 5 과학 실험 활동에 대한 태도 검사지 = 87 부록 6 탐구 실험 활동지 = 90 부록 6-1 침의 작용 탐구 실험 활동지 = 91 부록 6-2 영양소 검출 탐구 실험 활동지 = 101 부록 6-3 소화작용의 필요성 탐구 실험 활동지 = 108 부록 7 탐구 수업 (가치 탐구 모형) 학습지도안 = 116 부록 8 학생 활동지 - 나의 비만도 지수 알아보기 = 118 부록 9 학생 활동지 - 비만과 다이어트에 관한 우리들의 견해 = 119 부록 10 학생 활동지 - 청소년의 음주 = 122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29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과학 불안-
dc.subject집단구성-
dc.subject탐구수업-
dc.title과학 불안도를 고려한 집단구성이 탐구수업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Inquiry Instruction After due Consideration to Science-related Anxiety Levels-
dc.format.pageix,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