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부모의 아동의 문해 발달에 대한 총체적 언어 신념

Title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부모의 아동의 문해 발달에 대한 총체적 언어 신념
Other Title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first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on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Authors
홍은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치원초등학교총체적문해발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부모들의 문해발달에 대한 총체적 언어 신념과 부모의 연령과 학력, 취업유무, 자녀의 성별과 현재 문해 발달 수준, 그리고 부모가 바라는 자녀의 문해능력 형성 시기에 따라 총체적 언어 신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의 언어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의 신념 변화와 개선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부모들의 아동의 문해 발달에 대한 총체적 언어 신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연령과 교육정도, 취업유무에 따라 아동의 문해 발달에 대한 총체적 언어 신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자녀의 성별과 현재 문해 발달 수준에 따라 아동의 문해 발달에 대한 총체적 언어 신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부모들이 바라는 문해능력 형성 시기에 따라 아동의 문해 발달에 대한 총체적 언어 신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13곳에 다니는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 327명과 같은 학교내의 병설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어머니 2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문해 발달에 대한 부모의 언어 교육 신념을 알아보기 위해서 Yoo(1996)가 개발한 유아 문해 능력에 대한 교사 신념 (Teachers'Beliefs Related to Children's Literacy)을 부모 대상으로 하는 질문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체적 언어 신념을 묻는 문항 23문항과 전통적 언어 신념을 묻는 문항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의 전반적인 총체적 언어 신념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점수와 표준편차 비교를 통한 t검증을 하였다. 부모의 변인(연령, 교육정도, 취업 유무), 자녀의 변인(성별과 현재 자녀의 문해 발달 수준), 부모가 생각하는 자녀의 문해능력 형성시기가 부모의 총체적 언어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사후비교를 위하여 Scheffe검증을 하였다. 변인에 따른 두 집단간 총체적 언어 신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어머니의 경우 초등학교 어머니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총체적 언어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부모들은 자녀들의 문해 발달을 위해서 어릴수록 총체적 언어 접근(whole-language approach)에 기반을 두고 자녀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능 접근(skills approach)의 사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의 연령과 취업유무는 어머니들의 총체적 언어신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유치원 어머니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더 높은 총체적 언어신념을 나타내고 있으며 30대에서, 대학교 졸업자, 취업모 경우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총체적 언어 신념을 가지고 있다. 셋째, 어머니의 총체적 언어신념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지 않으며 현재 자녀의 문해 발달 수준은 유치원의 경우 읽고 쓸 줄 아는 경우가 읽고 쓰기가 조금 되는 수준의 자녀보다 더 높은 총체적 언어 신념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자녀가 읽고 쓰기가 조금 되는 경우에 유치원 어머니가 더 높은 총체적 언어신념을 가지고 있다. 넷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의 총체적 언어신념은 어머니가 바라는 자녀의 문해 능력 형성 시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모든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이 취학전 유치원 시기에 문해 능력이 형성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유치원 어머니가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보다 총체적 언어 신념 수준이 높았다.;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first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on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was examined in this study. Also, differences in the beliefs were looked into according to parents' age and scholarly achievements, employment, their children's sex and current literacy levels, and parents' recognition of the time of their children's literacy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change and improvement of parents' beliefs to uplift the quality of language education in hom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difference in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between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first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on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2. What is difference in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according to parents' age, scholarly achievements and employment on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3. What is difference in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current literacy levels on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4. What is difference in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according to parents' recognition of the time of their children's literacy formation on children ' s literacy developmen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7 mothers of first year students of 13 elementary schools and 244 mothers of six year preschool children of the kindergartens annexed to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To look into parents' beliefs o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heir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the questionnaire of Teachers' Beliefs Related to Children's Literacy(developed by Yoo(1996)) was used for the subjects through revision and complemen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23 questions asking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literacy and 12 questions asking conventional beliefs on a 7-point scal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general factors of the subjects, and mean value was obtained. t-test was used to compare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literacy with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o find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between the two groups by variables as well. And, ANOVA(F-test) was used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parent variables(age, scholarly achievements and employment), children variables(sex and current literacy levels), and parents' recognition of the time of their children's literacy formation on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and when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 Scheffe test was conducted for post compariso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than those of first year students. The younger was their children's age, they focused on whole-language approach, while the older was their children's age, the more skills approach they used gradually for their literacy development. Second, age and employment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first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did not influence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However, for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the higher was scholarly achievements, the higher was their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and at their thirties, the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eliefs than parents of first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and are in employee status. Third,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was not influenced by children's sex. For children's current literacy levels, they showed higher beliefs when their children had fluent literacy levels compared to when their children had moderate literacy levels, for preschool children. When their children had moderate literacy levels, they had higher beliefs. Fourth, parents' beliefs related to whole language was not influenced by their recognition of the time of their children's literacy formation. Most of them expected their children to form literacy in preschool. And,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had higher beliefs than those of first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