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방과후 활동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Title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방과후 활동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Other Titles
(the) condition of after school activ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and 1st grader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mothers' conception on the after school activities
Authors
한정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치원초등학교활동실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방과후 활동실태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바람직한 방과후 활동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방과후 활동실태는 어떠한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의 공립병설유치원 만5세아 어머니와 공립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 6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에서 회수된 506부를 자료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효선(2001)의 논문에서 사용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을 조사하였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x^(2)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방과후 학습활동실태를 학습활동과 여가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유치원 유아의 경우 방과후 평균 2가지의 가정학습지를 하고 있으며, 종류로는 국어, 수학, 영어관련의 순으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초등학교 1학년 유아는 방과후 평균 3가지의 가정학습지를 하고 있으며, 수학, 국어, 영어관련의 순으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과후 학원활동의 경우도 유치원 유아는 평균 2가지, 초등학교 1학년 유아는 방과후 평균 3가지의 학원을 다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활동의 내용으로는 피아노, 미술, 영어의 순으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과후 학습활동비 부담은 유치원 유아의 경우 5∼10만원,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경우는 20만원 이상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과후 학습시간은 유치원 유아의 경우는 1시간 미만,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경우는 1∼2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과후 학습결정권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 모두 자녀와 부모가 상의하여 결정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과후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유치원 유아는 하루 평균 4∼5시간, 초등학교 1학년 유아는 하루 평균 3∼4시간의 여가시간을 갖고 있으며, 주된 여가활동으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유아 모두 형제나 친구들과 놀이터, 집등에서 놀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활동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간에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은 유치원 어머니들 보다 학습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방과후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인지적인 발달을 도모하고 초등학교 학업에 도움이 되는 방과후 활동을 주로 선호하였고 자녀의 반응에 대해서도 즐겁게 학원이나 학습지를 한다는 인식과 방과후 학습활동이 유치원 어머니들보다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원을 보내지 않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은 유아기에는 자유로운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교육 과열현상에 대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은 사회분위기상 유아에게 형식적인 교육과 재능교육을 강요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방과후 학습활동의 부담감 정도에 대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의 대다수는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과후 학습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방과후 여가활동에 대해 대다수의 어머니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가활동의 시간활용에 대해 그저 그렇게 지낸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여가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해서 유치원 어머니들은 많은 시간을 놀게 하면 학습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된다는 인식을 하였고,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은 학습활동으로 여가시간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desirable after school activities by identifying the conditions of after school activities of kindergarteners and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mothers' perceptions on those activities. To conduct this study, the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after school activities of kindergarteners and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s on the after school activities between kindergarteners' mothers and 1st graders' mothers? 506 mothers out of 600 whose children are 5-year-old kindergarteners in public kindergartens annex to the elementary schools and 1st grad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rea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 were analysed.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research by Hyosun Kim(2001) was applied after the correction by the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are employed as data analysis tools. The digestiv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viding the after school activities of kindergarteners and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to academic related activities and non-academic related activities , it is found that kindergarteners were taking two home-visit study programs in average after school and the high ranked lessons in order were Korean, math and English. On the other hand, 1st graders were taking three home-visit study programs in average after school and math, Korean and English were highly ranked in order. Kindergarteners were taking two lessons in average in private institutes while 1st graders were taking three. The most popular lessons for both groups were piano lesson, art and English. 1st graders were taking more lessons than kindergarteners were. The educational expenses the kindergarteners spent on the activities, between 50,000- 100,000 won monthly, ranked the highest number, and the 1st graders who spent more than 200,000 won monthly were ranked first. Less than an hour by kindergarteners and between 1-2 hours by 1st graders respectively, the time they spent on the academic activities after school, were first ranked. The highest number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of both groups, consulted each other about decision making for academic activities. Between 4-5 hours a day in average were spent by kindergarteners for non-academic related activities. The activities were playing with siblings and their friends in the play grounds and in their houses. 1st graders spent between 3-4 hours a day in average and they played with siblings and their friends in the play grounds and their houses.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much differences between the mothers of kindergarteners and mothers of 1st graders were about the perceptions on the activities. More mothers of 1st graders than of kindergarteners preferred the after school activities that directly assist academic activities. the after school activities that helped the children develop cognitive growth and studies in the class were more taken. They answered that their children, 1st graders,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with happiness and more 1 st grader mothers than kindergartener mothers thought that these after school activities were highly helpful to their children. Those mothers of kindergarteners and 1st graders who did not sent their children to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hought that providing free environment to their children was more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kindergarteners and 1 s t graders perceived that overheated educational phenomenon compelled the children to have formalized education and special ability education. Most mothers of both graders answered that academic activities after school gave burdens to their children but also the activities were needed. By and large, they answered non-academic activities were also important. As of the utilization of th non-academic activities, the mothers of both graders answered the children spent the times neither so good nor so bad and they blamed the ineffectiveness use of the time on the lack of helping hands to take care of the children. More than half of the mothers answered that they guided their children on making friends and play during non-academic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