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른 영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Title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른 영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Authors
유정화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놀이상상놀이교사개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of patterns of teache rs' intervention about infants' pretend play by teachers' efficacy belief.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is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2. How is pattern of teachers' intervention in infants' pretend play? 3. What are differences of pattern of teachers' interventio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of the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2 teachers, who took infant classes of the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eoul and Kyeongkido Province. Young Hee, Jo's (1999) tool for efficacy belief about play of kindergarten teacher was taken to see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And also. Ae Yul, Yu's (1994) observation tool for teachers' intervention pattern in imaginary-play was used to see teachers' intervention pattern in pretend play after reinforcing Yu 's study. Whenever teachers' intervention was happened in infants' pretend play, it was recorded on the checking list for 50 minutes of free-playing time. The teacher answered the questionnaire after being observ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post hoc comparison analysis (Scheff)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play was investigated, and differences of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play were examine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was mostly answered in the affirmative, general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higher than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belief. Teachers '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ces by educational level,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man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over 5 years) were higher in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Second, patterns and degrees of teachers' intervention were examined about infants' pretended play. When teachers intervened in infants' pretend play, they used the method of maintaining imaginary play in most, then transferring from starting action or express of infants to imaginary play, helping role play and extending play through linguistic mutual action, bringing other infant, passive observation, reconstructing environment for imaginary play and commanding infants behavior and expression for imaginary play, encouraging infants tool usage in imaginary play in order.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environment for imaginary play, irrelevance behavior, helping unconditionally, blaming, over-leading were used less. Third, differences of teachers' intervention in play were examined by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retended play. Teachers with high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play used the method of maintaining imaginary play, helping role play and extending play through linguistic mutual action, transferring from starting action or express of infants to imaginary play in most, on the other hand, teachers with low teachers' efficacy belief used the method of irrelevance behavior in most.;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라 영아의 상상놀이에 교사의 개입유형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어떠한가? 2. 영아의 상상놀이 시 교사의 개입유형은 어떠한가? 3.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라 영아의 상상놀이 시 교사개입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만 2세 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42명이었다.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서 조영희(1999)의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효능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상상놀이에서의 교사의 개입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애열(1994)의 상상놀이에서의 교사개입 유형 관찰 도구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자유 놀이 50분간 영아의 상상놀이에 교사의 재입에 일어날 때마다 관찰지에 기록하였고, 관찰 후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 질문지를 교사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일원분산분석, 사후 검증(Scheffe),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을 알아보고 개인적 변인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 효능감이 개인적 교수 효능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경력에 따라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이 높은 교사(5년이상)가 경력이 낮은 교사보다(5년미만)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의 개입유형과 정도를 알아보았다. 영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들은 '영아의 상상놀이 유지시키기(26.1%)'로 상상놀이에 가장 많이 개입하였고, '상상놀이 형태로 전화시키기(16.8%)',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역할수행에 도움을 주고 놀이 확장시키기(14.0%)', '다른 영아 참여시키기(9.3%)', '소극적으로 관찰하기(7.3%)', '상상놀이를 위한 유아의 행동이나 표현 지시하기(7.3%)', '영아가 상상놀이 소품을 사용하도록 격려하기(6.1%)' 순으로 나타났고 '무관한 행동하기(3.1%)', '과잉 주도하기(2.4%)', '상상놀이를 위한 환경 재구성하기(2.8%)', '비난하기(2.1%)', '무조건 도와주기植.1%)'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른 영아의 상상놀이에 교사개입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상상놀이 유지시키기',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역할수행에 도움을 주고 놀이 확장시키기', '영아가 시작한 행동이나 표현을 상상놀이 형태로 전환하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