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도시환경내 외부공간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Title
도시환경내 외부공간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Other Titles
Design study model outdoor space analysis consideringurban environmen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Authors
정순안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현대 도시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으나 그로인한 인구집중, 교통난, 환경오염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인간성 상실과 인간 소외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수많은 도시민들이 각박한 도시에서 비인간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다. 도시의 모든 공간은 인간의 공간이어야 하며, 인간의 생리적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공간이어야 한다. 현실의 메마른 각박함에서 보다 풍부하고 여유있는 다양한 정서를 가지며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충족해 주는 도시환경이 요구되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서적 심리적 여유를 주는 공간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업적, 업무적 기능을 갖는 도시 중심지역의 고층 건물들의 외부공간은 접근성과 효율성에 있어 도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써 쾌적하고 다양한 용도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주차공간으로 사용되거 있거나 쓸모없는 공간으로 버려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자는 도심 건축물 주변의 외부공간에 대한 기능적 특성을 중심으로 적절한 물리적 환경들을 제공하여 인간의 행태를 지원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환경의 외부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현대 도시환경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도시내의 외부공간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해 봄으로써 도시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써 도심 건축물 주변의 외부공간 조성에 대한 타당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외부공간에 대한 형태 분석을 통해 도시내에 존재하는 외부공간 형태들에 대한 각각의 특징과 잠재력을 파악하였으며, 외부공간의 구성요소들을 분류·정리하여 이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디자인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외부공간의 실질적 이론 분야를 다루었다. 외부공간의 기능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공간 활용면에서 좀더 효율적이며, 공간과 공간의 관계성을 높일 수 있는 외부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기능적 특성들에서 추출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분류하여 디자인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외부공간에 적용된 사례들을 선정하여 외부공간의 기능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외부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대상지를 정하고 대상지 선정의 타당성과 디자인 전제를 밝힌다. 그리고 외부공간 디자인을 위한 대상지 현황 분석 자료들과 4장의 기능적 특성을 토대로 공간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쳐 도시환경의 외부공간에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 과정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와 기능적 특성을 근거로 한 종합·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6장에서는 도시환경의 외부공간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모형사례의 평가를 내리고 연구 과정을 통해 내린 결과와 의의를 정리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환경의 외부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지리적인 요소의 분석과 공간별 기능 분석 및 공간내의 인간 행태 분석 등 철저한 환경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외부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자연친화적인 디자인은 각종 도시환경문제들의 해결 방안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자연과의 공존·공생을 목표로 자연의 물성을 이용함으로써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모형사례를 제시하여 도시민에게 쾌적한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의의를 두고 이러한 공간 제시가 시대적·사회적 요망에 충족하기를 기대한다.;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greatly influence lifestyles and daily activities of individuals. Theconnection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is a major issue in the urban-planning debate today. However, Urban space should satisfy not only human's physiological needs but also human's mental or emotional needs. Recently, the need for more pertinent analyses of urban space is widely recognized. Urban area in Korea, the high-rise buildings can be utilized for variety purposes of a delightful space because of its accessibility, but mostly the space is utilized for parking lot or ignored.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utilization of urban space that makes better life quality to citizen with studying of urban space's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o: In chapter 1, the object, scope, and approach of the article is described In chapter 2, the problems of urban space utilization are reviewed. The major elements of urban space utilization are analyzed. The basic methodology of urban space design is addressed. In chapter 3, the framework of urban space design analysis is described In chapter 4, the examples of urban space design are analyzed In chapter 5, the model space is selected. Space design methodology is applied for the model space and analyzed its workability In chapter 6,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This study gives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geographical, functional analysis and human behavior analysis in space design. With given model space analysis, the workability of space design methodologyis t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