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기하학적 이미지에 의한 직물조형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SHAPING OF GEOMERTIC IMAGES INTO THE TEXTILE
- Authors
- 김지영
- Issue Date
- 1992
- Department/Major
-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직물디자인전공
- Keywords
- 기하학; 이미지; 직물조형; 연구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본 논문은 대부분 민족들의 인간 생활 문화에 항상 자극을 불어 넣어온 자연 발생적인 기하학적 형태에 주로 관심을 두었다. 직물 디자인의 경우, 씨실과 날실에 의해 기본적으로 구성된 기하학적 형태는 기계적인 대량 생산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이용되어 왔다. 한편, 자연에 대한 미묘한 느낌 또는 심층적인 무형의 특성들 또한 기하학적 형태와 우리 주변에서 발견되는 래그와 같은 소재들의 질감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하학적 형태가 주는 시각적 단순성, 합리적인 질서, 그리고 감각적 친근감을 자연의 이미지들과 통합하려 하였으며 그 이미지들을 실제로 직물 조형에 적용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관련 문헌들을 조사하고 자연에 대한 기하학적 형태의 이미지를 표방한 직물을 제작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기하학적 형태는 이원론적 세계관의 산물로서 산업적인 그리고 형이상학적인 의도들을 위해 사용됨으로써 우리의 일상생활의 전체적인 변화들에 영향을 미쳐왔으며, 기하학적 이미지는 실용적인 사고와 외관에 대한 만족감의 측면에서 텍스츄어와 같은 재질감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작품제작에 있어서, 첫째로, 자연의 정신, 상징성, 생명력을 추구하기 위해 자연, 숲, 새벽 산, 대지 등을 서정적으로 해석하였고, 둘째로, 섬유 예술에서 실제로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 구성되는 사각형을 중심형태로 자연의 내적 이미지들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기성 제품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패턴, 그리고 천을 찢었을 때 자연스럽게 우연적으로 형성되는 조화 및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려 기하학적 이미지들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복잡한 자연의 내재적인 이미지들을 단순화된 기하학적 형태로 감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소재의 촉각적 질감 뿐 아니라 시각적 질감도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고, 또한 패턴과 기하학적 형태와의 상관성은 재료들의 다양성, 색채의 대비, 그리고 기하학적 단위형들의 반복, 변형 및 배열을 통해 창출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기하학적 이미지들은 우리의 정신과 사회, 곧 인류 문화의 초월적 차원과 현실적 차원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들을 우리 주변의 다양한 재료들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고 하겠다.;This study was mainly concerned with the geometric shape that has been spontaneously generated and always has stimulated the human culture in all nation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assumptions that, in the textile manufacture, the construction of geometric shape which naturally yielded by weaving warps and weft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machanical mass production and that, on the other hand, even the subtle feelings or the deeper invisible quilities of nature can be unfolded by the geomertic shape and the texture of materials, such as rags which found around 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mbine the charateristics of the geometric shape, such as the visual simplicity, the reasonable order, the emotional intimacy, to the images of nature, and (2) to apply pratically the unified images to the interweaving work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review the related literatures and manufacture the textile works that represented the images of geometric shape in the nature.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eometric shape, as the production of the dualistic world view, affected the whole changes of our daily life style by being used for the sakes of the industrial and metaphysical intents, and that the geometric image had to do with the sense of materials, such as texture, in the pragmatistic thought and the satisfaction of those external forms.
In making textiles, the researcher manifested the geometric images of the nature, the forest, the mountain at dawn, and the earth, by means of (1) lyrically interpretating those motives to inquiry into the spirituality, symbolism, and vitality of them, (2) analyzing those inner images with rectangle, the significant unit shape which does actually consist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in the fabric art, and (3) expressing them through the harmony and effect of texture, sometimes accidentally given by tearing the rags, and the various patterns in the ready-made as best the researcher coul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representation of the complicated immanent images of nature as the simplified geometric shape had to require the visual texture as well as the tactile textu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and the geometric shape could be described by the variety of materials, the contrast of colors, and the repetition, the transform, and the arrangement of geometrical unit shapes.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geometric images display the close connections between our mind and our society, the transcendent dimension and the practical dimension of human culture by means of the various materials in our neighborhood.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디자인대학원 > 직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