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6 Download: 0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상태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상태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ATE-ANXIETY UPON THE MENTAL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OF MAJORING A DANCE
Authors
이정분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무용전공 고등학생상태불안정신건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속해 있는 무용전공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및 재수이상인 학생을 대상으로 상태불안과 정신건강의 정도를 파악하고, 상태불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내 예술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207명과 고등학교 3학년 및 재수이상인 학생 248명으로 총 455명을 대상으로 1991년 10월 1일 부터 15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Spielberger의 상태불안 척도를 김 정택이 번역한 19개 문항 Derogatis등이 만든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를 본 연구자가 무용전공자에게 적용되는 문항을 가려서 74개 문항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정신건강 조사결과 연구대상자의 3.1%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강박증(1.47)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우울증(1.36), 대인예민성(1.33)의 순위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검증결과 입시준비 기간(F=3.39, P<0.01),종교(F=-2.7359 P<0.001), 형제순위(F=3.03 ,P<0.05), 부모에 대한 태도(F=3.14, P<0.05), 고민의논 여부(F=5.23, P<0.001)에서 통제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상태불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태불안수준이 낮을수록 정신건강이 좋은 정적관계를 나타내었다(r=0.52, P<0.001). 4. 대상자의 상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입시준비 기간(F=-4 4704, P<001), 종교(F=-2. 4013, P<0.05), 사회경제적 수준(F=3.69, P<0.05), 고민의논 여부(F=5.543,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rehend and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1st grade, 2nd grade and 3r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in terms of State-Anxiety and Mental Health,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Anxiety and Mental Health in those students. A convenient sample of 455 students(207 1st, 2nd grade and 248 3rd grade students) was selected from high schools located in Pusa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5,1991 to Oct. 1,1991.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19 questions of the State-Anxiety Inventory by Spielberger, and 74 questions derived from the SCL-90 by Derogati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mental health assessment scale (Symptom Check List-90)showed that 3.1% of the total respondents had mental health problem. The most prevalent one was obsessive-compulsive reaction, the 2nd and 3rd were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2. The test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the status of mental health revealed that there see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inds of preparing university examination, religion, order of brother, attitude on parents and whether to counsel the problem or not. (p<0.001) 3. Between the state-anxiety and mental health of the subjects, there was correlation that the lower score of state-anxiety was, the lower score of mental health.(r=0.52, p<0.001) 4.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the kinds of preparing university examination, religion, socioeconomical level, attitude on parents and whether to counsel the problem or no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