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韓國傳統紋樣을 이용한 스크린 날염 디자인에 관한 硏究

Title
韓國傳統紋樣을 이용한 스크린 날염 디자인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extile pattern design using Korean traditional decorative patterns
Authors
陳惠榮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한국전통문양스크린 날염디자인작품제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의 일반적 전통 미술에 있어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점이 있다면, 그것은 自然主義的 경향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對象物을 표현함에 있어 정리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나타내는 태도이다. 물론 이러한 태도는 너무 반복될 경우, 금방 싫증이 나서 특정한 선이나 면을 강조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해버리는 表現主義및 抽象主義的 경향으로 바뀔 수 있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 그러한 自然主義的 경향으로부터의 탈피는 대부분 단기간에 끝나버리고 곧바로 自然主義的 경향으로 다시 回歸하는 현상을 반복하고 있다. 일반적 전통 미술에서의 이러한 경향은 전통 紋樣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되어 우리 민족이 주로 사용하였던 紋樣은 대부분 植物紋, 動物紋 등의 모티브(motive)가 기본이었다. 이러한 전통 문양은 일반 공예 미술 분야에서 발견되는 紋樣외에 직물에 응용된 예는 거의 없다. 직물에서 사용되는 紋樣이 다분히 象徵的이고 抽象的이며 表現性이 강조되는 것이라는 속성에 감안하면, 우리 민족의 의복에 거의 문양이 없었고, 색도 흰색이나 단색조의 의복을 즐겨 입었던 근본적인 이유를 前述한 自然主義的 경향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민족의 의복에의 문양의 발달이 없었던 또 한가지의 이유는 전통적인 고유 문양의 체계적인 정리 및 활용, 직조 및 염색 등의 의복 기술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하는 연구나 노력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라 하겠다. 한편, 이러한 自然主義的 경향으로 인해 우리의 전통 미술, 특히 紋樣은 전체적으로 섬세하고 화려하기보다는 부드럽고 평화롭고 정직하고 소박하며 가식이 없고 따뜻하고 원만하다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민족 고유의 그러한 독창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전통 문양중 동물 문양을 소재로 하여 현대적 감각과 기법으로 변형하여 의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의 審美感에 맞는 민족 문양의 재창출을 시도하였다. 다시 말해서, 象徵性과 抽象性을 다소간 가미시켜 현대적인 감각 요소를 지니면서도 우리 민족 고유의, 독창적인 문양의 패턴을 발견하고자 하였고 실제의 작품 제작을 통해 産業美術로서의 응용을 시도해 보았다. 우리의 전통 문양 중에서 동물을 소재로 한 문양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연구를 통해 동물 소재의 문양을 수집, 정리하여 주제 문양으로 선정한 다음(호랑이 문양, 봉황새 문양, 나비 문양, 물고기 문양, 학 문양), 이를 직물 염색의 산업적 활용도가 높은 텍스타일 디자인(textile pattern design)형태로 재구성하여, 스크린 捺染(screen printing)기법을 통해 실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천은 綿(40수)으로 하였으며, 천의 질감 및 작품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顔料를 사용하였다. 작품 제작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傳統 紋樣의 現代化는 가능하며, 그것은 우리의 審美的 感性에 맞는다. 2. 본 연구에서는 動物 素材의 紋樣을 위주로 하여 現代化를 시도하여 보았으나, 民族 고유의 傳統 紋樣을 現代化할 수 있는 범위는 실로 무한하다. 3. 國際化 시대일수록, 自記一體感(identity)이 분명한 국가와 민족만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인류 문화의 창조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자기자신의 문화를 탐구하고, 定型化하여야 한다는 것은 시대적 요구이자 의무이다. 4. 民族 고유의 傳統 紋樣을 現代化하여 특징적으로 산업적 생산을 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며, 특히 아직 섬유계가 산업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는 우리의 實情에서, 韓國的 고유의 感性을 가지는 紋樣의 개발은 시급하며, 중요한 意味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재정리하여 보면, 韓國의 傳統 紋樣을 이용하여 연속 프린팅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 본 결과 우리의 전통 문양 중에는 얼마든지 현대적 감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소재가 다양하게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시도와 연구의 확산이 국제화 시대에 한국의 이미지와 위상을 높이는데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호랑이 문양의 경우, 우리의 情緖에 맞는, 우리 민족의 생활 문양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동물이라는 점에서 韓國을 상징할 수 있는 상징 동물이 될 수 있도록 많은 디자인의 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 본 연구에서는 綿과 안료를 사용하였으나, 綿에 직접 염료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거나, 실크(silk)에 산성 염료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해서 스크린 捺染을 하여 실제적인 산업 생산품과 동일한 작품 제작을 함으로써 우리의 전통 문양을 이용한 스크린날염 디자인의 시도 및 고급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It is the trend of "Naturalism" that can be found commonly in the general Korean traditional arts. In other words, it means not changing or modifying an object in the case of describing it. Of course, the repetition of such an attitude can make one to be bored, and can cause a transition into the trend of "Expressionism" and "Abstractionism" or something like that, which lays some emphasis on specific lines of faces of the object, omitts needless parts of it. In the case of Korea, the greater part of such a break from the trend of "Naturalism" soon came to an end and had done over again returning to the trend of "Naturalism". This sort of trend in the general Korean traditional arts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one of traditional ornaments of decorative patterns. As a result, the basical motive of those which had become popular was, as a rule, one of a flora and an animal with the type of one point design. There was practically no example that the ornaments and decorative patterns was used in clothes and textiles except for general industrial arts. When we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that those used in clothes and textiles are quitely simbolic, abstratical and emphasized one in the aspect of expression, we can easily find the reason and answer about the question "Why there was pratically no ornaments or decorative patterns used in our traditional clothes and textiles?" and "Why our peoples of the past are eager to wear only the clothes of white or single color?" So, it is possible and reasonable that that was due to the trend towards "Naturalism". And, we can a1so pick up the fact that the lack of systematical try or efforts for arranging traditional ornaments or decorative patterns and research to develop technology of clothes and texitiles as one more reason and answer about above question. In a way, owing to this trend of "Naturalism", our traditional art, especially traditional ornaments or patterns cause to have, on the whole, mild, peaceful, frank, plain, artless, warm and harmonious features. In this research, choosing the ornaments of an animal for subject matter, trying the re-creation of racial decorative patterns fit our sense of beauty through modifyng those by using modern sense of design and technique. It means the some sort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traditional, inherited, unique Korean decorative patterns. In this reasearch, adopting "a Tiger, a chinese Phoenix, a Butterfly, a Fish and Crane" as a subject matter, modifying those by the modern technique of textile pattern design which utility towards textile dyeing is highest, and making works using silk screen printing technique. Texture used in this works was cotton fabrics and dye was some sort of a paint. Finally,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rough making this experimental works are as follow. 1. It is possible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ornaments or decoraive patterns, and those fit our modern sense of beauty. 2. In this research, though the category was limited to the area of the patterns using an animal, however we have broad and large amount of relics can be used as a subject matter. 3. As a point of view only people who has self-identity can participate in the creation and dedication of mankind's culture, it is really important to make a pursuit of one's own culture and to set a fixed form.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need of an age. 4. It is possible to make an industrial manufacturing of our modernized unique traditional decorative patterns. In our country where textile industry is still the one of leading whole industry, it is urgent and meaningful to modernize and to develop unique decorative patterns of our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identification of Korean arts and making this understood to peoples of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