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韓國의 土地生産力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Title
韓國의 土地生産力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Other Titles
(A) GEOGRARHICAL STUDY OF AGRICULTURAL LAND PRODUCTIVITY IN KOREA
Authors
張性順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Keywords
한국도기지리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attempt to stud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land productivity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o impact the change of agricultural land productivity from 1960 to 1980. For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technique of statistics such as least square method and correlation coefficie. For the analysis agricultural production of rice, barley, wheat, naked barley, red bean, soybean, millet was collected from Statistical year book of agriculture, in 1960. An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of the land productivity of 1960 with that of 1980, the production of rice, wheat, naked barley, corn, chestnut, raddish, cabbage, potato, sweet potato, gralic, red pepper, onion sesame, wild sesame was collected from the Census of agriculture and to find out change of the land productivity from 1960 to 1980. The data for the acreage sale price of agricultural production, fertilizer and equipment were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year book of agriculture, Census of agriculture and statistics on prices in rural areas. The result may be summerised as follows. 1. High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land in 1966,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especially, in the plain, those in 1980 have similiar pattern as 1960.. Low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land distributed in the area of Kangwon-do and northern part of Kyungsang but-do in 1960, but those af 1980 scattered toward northeast. 2. Land productivity of agriculture is related to the agricul-tural region such as paddy rice region particularly in the days of 196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region has been declined in 1980, because of great development of agicultural equipment and changing preference toward the upland. 3. The increase i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result from the irrigation of arid land, reclamation of swamps, new strategy of plant and increaed use of fertilizer and pes-ticide. 4.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land productivity is much slower than those of GNP. ;本 硏究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실시되기 이전인 1960년과, 농업부문에 역점을 둔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실시 이후인 1980년의「農業센서스」資料와「농촌물가총람」에 의거하여 郡別 土地生産力의 分布와, 土地生産力과 農業地域과의 關係 및 關係의 變化, 土地生産力의 變化와 그 原因을 밝히는 데 目的을 두었다. 農業地域의 區分은 田畓의 構成關係를 表示한, 經營地帶의 區分에 의하였다. 硏究 資料는, 1960년의 경우는 「농업국세조사」와 「농촌물가총람」에 의하였고, 1980년의 경우는「농업조사」와「농협연감」「농촌 물가총람 」에 의하였다. 土地生産力을 평가하기 위한 資料는 1960년의 경우, 미곡, 대맥, 나맥, 소맥, 대두, 소두, 조 등 7種에 국한하였고, 1980년의 경우는 미곡, 대맥, 나맥, 소맥, 대두, 소두, 옥수수, 땅콩, 엽채류, 김장무우, 김장배추, 감자, 고구마, 마늘, 고추, 양파, 참깨, 들깨, 과채류 등 19種으로 확대하였다. 이들 資料를 分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韓國의 土地生産力 分布는, 1960년의 경우 高位生産力地域은 南部 平野地域에 塊狀으로 分布하고, 低位生産力地域은 北東部의 강원도 및 경상북도 북부지방에 集中分布한다. 1980년의 경우는高位生産力地域이 南部 平野地域에 塊狀으로 分布하는 것은 1960년의 경우와 같으나, 低位生産力地域은 北京部 地域에 分散分布하는 경향이 있다. 土地生産力과 農業地域과는 相關關係에 있으며, 1960년의 경우, 土地生産力과 畓率의 相關係數는 0.87로 높은 상관을 보이나, 1980년의 相關係數는 0.52로 낮아졌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시설작물을 비롯한 田作物의 土地生産力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1960년과 1980년 사이의 土地生産力은 全國的으로 向上되었으나, 地域的으로는 큰 變化가 없었고, 이것은 主穀爲主의 농업구조가 근본적으로 變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20년 동안(1960~1980년), 土地生産力은 실질적으로 2.6배로 증대되었는데, 그 원인은 주요 농작물의 농가판매가격 상승, 단위 면적당 수확량의 증대와 농작물의 다양화 및 시설작물재배에 기인한다. 그리고 韓國의 土地生産力 變化는 主穀과 地域特化作物의 價格 競爭에 의해 이루어져 가고 있다. 土地生産力의 증대(2.6배)는 같은 기간의 국민총생산의 증대(4.9배)에 비하면 훨씬 뒤떨어진 것으로, 앞으로 土地生産力의 향상을 위한 정책적인 노력과 아울러 農業總生産性에 관한 硏究가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