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 국악 내용 분석

Title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 국악 내용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Korean Creative Traditional Music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점내용으로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한 국악교육’이라는 항을 두어 전통 음악 문화를 창조하고 이끌어나가기 위한 국악 교육을 강조함과 동시에 국악 교육의 비중 또한 매우 높게 편성하였다. 그러나 대다수 음악 교사들은 대학에서 서양 음악을 전공한 이들로 국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면서도 국악 지도에 상당한 부담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들도 국악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악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선현장에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국악 교육을 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좀 더 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새롭게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것이 바로 창작 국악이다. 창작 국악은 현대인의 삶의 형태가 반영된 음악으로 학생들이 쉽게 공감하고 친숙해 질 수 있다. 이처럼 창작국악이 기존의 전통국악에 비해 접근성이 뛰어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는 요소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제재곡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부재로 인해 실제 수업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실린 창작 국악 제재곡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에 연계된 학습목표 및 학습활동 내용을 살펴보며, 제시된 창작 국악 악곡을 제7차 음악과 교육 과정 중 이해 영역의 리듬, 가락,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인 6가지 요소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창작 국악이 보다 많이 학교 현장에서 학습되기 위해서는 그 내용이 정확하게 서술되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이를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길 기대해 본다.;The 7th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in its chapter titl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Promotion of Our National Music Culture' that the music education should serve to create the traditional music culture. According to this basic principle, mor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music are organized into the music textbooks for the secondary education. Nevertheless, the absolute majority of our music teachers who majored in the Western music during their college days feel much burden for teaching students about the traditional music, although they recognize importance of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students feel much difficult for the traditional music, too. In such circumstances, those music teachers who did not major in the traditional music should be adequately trained to teach their students about the traditional music in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ways, while students should be given chances to gain an easier access to it. In this regard, the creative traditional music is featured more importantly. Students may well be familiar or sympathized with the creative traditional music because it reflects our modern men's life styles. Despite the creative traditional music is far more accessible than the conventional Korean music and it has various elements that could be reorganized into the curriculum in a creative way, it is not well used in the classroom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and research into its material piec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material pieces of creative traditional music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thereupon, examining the relevant learning goals and activities and thereby, analyzing the creative traditional music pieces in terms of 6 elements for its understanding: rhythm, melody, form, dynamics, tempo and tone quality. If the creative traditional music should be learned more in the classrooms, its contents need to be described more precisely.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