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세부문항의 개발과 적용

Title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세부문항의 개발과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elf Evaluation Test sub-Items for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uthors
정연수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를 위한 자기평가를 통하여 과학 교사가 최소한으로 갖추어야 할 자질을 알고, 과학 교사 평가 기준에 비추어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는 잣대로 사용함으로서, 과학 교사로서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개발된 평가 도구를 토대로 관련 선행 연구와 과학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문항별 세부 기준 개발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는 교과 지식, 교수 전략, 교수 기술, 실험실 경영, 평가, 전문성의 6개 하위영역, 총 7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 당 세부문항을 두어 평가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였다. 각 세부 문항은 3점 Likert 척도의 형식을 취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 문항에 적합하며 전체 점수가 높을수록 과학교사로서 자질이 갖추었음을 나타낸다. 세부 평가 문항 개발에 대한 내용 타당도는 85.05%로서 평가 목표에 세부문항의 내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는 하위 영역별로 0.68~0.82의 범위에 있었고, 전체 검사의 신뢰도는 0.89로 양호하다. 하위 영역과 전체 검사간의 상관계수는 0.10~0.58로 나타났다. 교수전략 영역이 0.78점으로 교사의 자질을 나타내는 전체점수와의 상관이 높게 나타나, 교수전략이 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교사를 위한 평가도구를 적용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등 과학교사 186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적용해 보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성별, 경력, 학위, 전공에 따라 어떤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경력별로는 경력이 많은 교사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교과지식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5). 3. 학위별로는 실험실경영 영역에서만 석사 이상, 학사인 집단과 석사과정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4. 전공별로는 교수 기술 영역에서는 지구과학 전공인 교사와 화학, 생물전공인 교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전문성영역에서는 물리 전공인 교사와 생물 전공인 교사인 교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경력 및 학위에 따라 전 영역에 걸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일부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 교사를 위한 보편적인 평가 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의 의견수렴과 평가영역에 대한 가중치 연구를 통해 더욱 신뢰성이 높은 평가 도구의 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tudy, through the self appraisal test sub-items for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er knows the quality as a teacher and can compare his/her place in the scene of education with evaluation criteria for science teacher. Therefore, the self appraisal test for science teacher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mpetence of them. For this study, I analyzed of the precedent researches related to teacher assessment and surveyed on the opinions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self appraisal test sub-items.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objective and concrete evaluation criteria. This test includes 6 subfield which are subject knowledge, teaching strategies, teaching skills, assessment, laboratory manage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70 items. Each item includes sub-items. He/She can self-evaluate his/her quality as a science teacher based on a 3 point Likert scale. Using this test, he/she can perceive fields that he/she shows the most highest and lowest score among the 6 subfield. and the higher the total score, the more quality as science teacher. Goodness of the test sub-items was evaluated by assessing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coefficient.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is 85.05 %, The range of reliabilities of subfield is 0.68 - 0.82. and reliability coefficient of total test is 0.89.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subfield is 0.10 - 0.58 and that of between subfield and total is 0.57 - 0.78.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eaching strategies and total is 0.78, which is the highest. Through this result, we can know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strategies and quality as a science teacher. As a result, self appraisal test sub-items were acquired. To apply this items to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 186 subjects were sampled. and I analyzed those results as SPSS statistical program. I approved that there are some statistical difference though using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areer. Teachers having more career had higher scores in the subject knowledge(p <.05). 3. Acoording to degree, teachers having a bechelor and master had higher scores in the laboratory management(p <.05). 4. Earth science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chemistry and biology teachers in teaching skills. and Physics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biology teacher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 <.05). It was contrary to my expectations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areer and degree, in all fiel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 part subfield. To be used as a popular evaluation test for science teachers, we should try to keep developing more reliable evaluation test through gathering teachers' opinions and more weight research on evaluation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