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지식의 구조에 따른 지역지리와 계통지리의 내용분석

Title
지식의 구조에 따른 지역지리와 계통지리의 내용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contents between regional geography and systematic geography : Focusing on the Physical Geography in High School
Authors
김부선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효현
Abstract
제 7차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교과서가 편찬되었다.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의 방향과 범위를 결정하는 교과서는 학습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학습 교재이다. 교과서에 포함된 ‘내용’은 학생들의 지식과 이해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학교 교육 전반에서 교과서가 취급되는 ‘방식’과 이에 더하여 교과서가 학습 내용을 취급하는 ‘방식’은 학생들이 학습하는 방식과 사물을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배움의 과정을 통하여 사고의 폭과 깊이를 심화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이 지식의 구조에 따라 체계적인 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7학년(지역지리)과 10학년(계통지리)의 자연지리 영역인 지형부분과 기후부분을 지식의 구조인 사실, 개념, 일반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지역지리와 계통지리의 수직적 연계성에 의한 계열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좀 더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의 지역지리 서술방식으로 이루어진 7학년과 계통지리 서술방식으로 이루어진 10학년의 동일 출판사를 채택하여, 7학년과 10학년 자연지리 내용을 각각 지식의 구조인 사실, 개념, 일반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내용이 어느 수준까지 이루어 졌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분석이 이루어진 7학년(지역지리)의 사실, 개념, 일반화와 10학년(계통지리)의 사실, 개념, 일반화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7학년(지역지리)에서 다루는 지리적 사실, 개념, 일반화와 10학년(계통지리)에서 다루는 지리적 사실, 개념, 일반화의 수직적 연계에 의한 계열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셋째,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지식의 구조를 실제 교실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자연지리 내용의 연계성 조직방안을 제시하여, 자연지리 교수-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지식의 구조에 속하는 사실, 개념, 일반화의 용어를 정의내리고, 자연지리 구성 원리, 지역지리와 계통지리의 접근방법, 연계성의 개념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문헌조사 내용을 토대로 7학년(지역지리)과 10학년(계통지리) 교과서의 자연지리 내용이 중등지리교육과정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7학년(지역지리)의 사실, 개념, 일반화에 의한 지식의 구조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7학년은 지역지리의 서술방식에 의해 지역의 특성을 우리나라와 세계지역으로 나누어 설명해 주기 때문에 사실위주의 내용이 많다. 그러나 그 내용이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지역에 치중되어 서술 되고, 세계지역부분에서는 특징적인 몇 개의 사례들만 기술하고 있어 지역전체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또한 중부지방의 많은 사실과 세계지역의 특성들이 개념과 일반화로 연계되지 않고 각각의 현상에 대한 사실이 나열되어 있다. 이처럼 많은 내용분량은 적은 수업시간으로 인해 암기위주의 수업으로 이어져 학생의 흥미유발을 어렵게 한다. 둘째, 10학년(계통지리)의 사실, 개념, 일반화에 의한 지식의 구조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10학년의 경우, 계통지리라는 서술방식의 특성에 맞게 개념과 일반화 위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개념으로부터 논리적으로 일반화가 유도되지 못하고, 개념과 일반화가 각기 다른 차원에서 서술되고 있어 지식의 체계적인 전이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많은 개념과 일반화를 암기하게 되고 지리과목은 암기과목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사고력 증진을 어렵게 만든다. 셋째, 지역지리인 7학년과 계통지리인 10학년의 사실, 개념, 일반화의 수직적 연계성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계열성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지형영역의 산지와 기후영역의 기온은 사실, 개념, 일반화의 수직적 연계성인 계열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부분인 지형영역의 하천과 평야, 해안지형과 기후영역의 강수부분은 사실에서 개념으로의 비약이 심해 일반화 도출이 어려웠다. 특히 기후영역의 강수부분은 내용 분량이 적어 비교 분석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이는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지식의 구조를 형성시키지 못하고, 암기위주의 수업이 진행될 수 밖에 없는 원인이 된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자연지리 내용의 연계성 조직방안을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급 학교의 자연지리 교육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7학년(지역지리)과 10학년(계통지리)의 통합적 성취목표를 제시 하여야 한다. 이미 1-10학년은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기간‘ 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7학년(지역지리)과 10학년(계통지리)이 학년과 교과서의 접근방식의 차이가 있지만 하나의 통합적 목표를 제시하는 것에는 무리가 없다고 사료된다. 모든 교과서는 목표에 맞는 내용구성이 이루어지고, 내용은 교수학습방법을 결정짓는 바탕이 되듯이 통합적 성취목표의 제시는 체계적인 교육의 첫 단계가 될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사고가 심화ㆍ확대될 수 있도록 7학년(지역지리)와 10학년(계통지리)지리교과서의 내용이 수직적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조직 편성 되어야 한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개정의 가장 큰 특징은 심화ㆍ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3학년부터 10학년까지 내용의 계열성과 계속성을 유지하며 지식을 확대하고 통합적 인식을 바탕으로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사회과 안에서 자연지리 영역은 7학년에서 지역지리 서술방식으로 중부, 남부, 북부로 나누어 서술하고 아시아, 유럽, 미국, 아프리카로 지평확대법에 따라 지역의 특성을 배운 후, 8학년에서는 국사와 세계사를 배우고, 9학년에서는 국사와 일반사회를 배우게 된다. 그 다음으로 10학년에서 계통지리방식으로 산지와 고원, 하천과 평야, 해안, 기온, 바람, 강수 등의 지리 지식을 다시 배우게 된다. 즉, 7학년에서 지역지리로 배운 내용을 10학년에서 계통지리로 반복ㆍ심화하여 다시 배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7학년(지역지리)과 10학년(계통지리)의 수직적 연계성에 의한 계열성이 없다면 7학년에서 배운 자연지리 내용이 10학년에서 방식만 다를 뿐 또다시 단순 반복, 비약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셋째, 교사의 역할로 교수-학습 시 ‘본 단원과 관련하여 우리가 배운 내용은?’ 이라는 재량시간을 통하여 교사가 학생들에게 전 학년에서 배운 내용들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는 지리교육이 7학년(지역지리)과 10학년(계통지리)에서 이루어 질 때 발생하는 시간적 격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의 시작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에서 미약하나마 지역지리와 계통지리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단순한 교과서 분석만이 아니라 연계성 조직방안에 따른 실태 조사나 현장에서 실험수업이 이루어진다면, 자연지리 수업을 어렵다고 느끼는 교사와 학생들의 지리는 암기과목이라는 인식과 낮은 흥미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The new textbook will be published with the notice of revision plan of the 7th Geography curriculum. The textbook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for learners because it indicates the direction and scop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highschool. Most of all, the connectivity of textbook contents is very important for learners to deepen and widen their thought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the methods for organizing the connectivity of the knowledge of geography. First of all, I divide the contents of geomorphology and climate part in the textbook for 7th(regional geography) and 10th(systematic geography) grade learners into facts, concepts and generalization by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educational experience, which is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Then, I divide the contents into the geomorphology part (mountainous, hydrology and plains, coasts) and climate part(temperature and rainfall). After a Study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contents between regional geography and systematic geograph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studying in the textbook for 7th(regional geography) grade learners into facts, concepts and generalization resulted in the lowest Knowledge Structure. Second, the content of studying in the textbook for 10th(systematic geography) grade learners into facts, concepts and generalization resulted in the lowest Knowledge Structure.. Third, the content between of studying in the textbook for 7th(regional geography) and 10th(systematic geography) grade learners a mountain into facts, concepts and generalization , a temperature into concepts and generalization resulted in the highest connectivity. But a hydrology and plains, coasts and rainfall into facts, concepts and generalization resulted in the lowest connectivity. Suggestion resulting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increase the articulation of education on Physical geography at each level of schools, it is advisable to reduce the rate of simple repetition and gaps for a better articulated into facts, concepts and generalization. Second, the connectivity between regional geography and systematic geography of the repetition of important contents, deepening and expansion shouid be made appropriat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