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목표설정 방법에 따른 운동학습의 효과

Title
목표설정 방법에 따른 운동학습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fferent Ways of Goal Setting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Balancing Task
Authors
김정혜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설정(goal setting) 방법에 따른 운동학습과 수행의 효과를 알아보고 또한 목표성취율의 차이를 실험적으로 구명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의해 E여자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대학원생 40명을 대상으로 목표설정 방법을 달리하여 4집단의 조건(비 목표설정 집단, 자의 목표설정 집단, 타의 목표설정 집단, 상호 목표설정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배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과제는 평형성 유지 과제로 하였고, 기자재는 평형계(stabilometer)였다. 평형계는 판(floor)에서 양발을 놓고 서서 균형 잡는 시간(time on balance)을 측정하는 실험실 과제이다. 각 피험자는 습득단계에서 각 수행은 5회를 1분단으로 하여 10분단으로 총 50회를 수행하였고 24시간 후에 목표설정 없이 파지검사를 하였다. 통계분석은 연습단계에서 4집단과 반복연습 10회에 따른 반복측정 실험 설계에 대응하는 이원변량분석을(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est)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설계에 따라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파지단계에서는 집단별로 5번 시행을 실시하여 얻어진 수행점수를 자료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목표 성취율에 대한 결과는 목표가 없는 비 목표 설정집단을 제외하고 목표설정 방법(3)과 연습분단(9)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목표 설정방법과 연습 분단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분단별로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별로 분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목표 성취율에서는 각 목표 설정방법에 따라 세 집단 간의 목표 성취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에서의 분단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과 분단의 상호작용에 따른 목표 성취율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목표설정 방법에 따른 목표 성취율에서는 자의집단은 100%를 넘는 과 성취율을 보였고, 타의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일정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80%이하의 목표 성취율을 보였다. 그러나 상호작용 집단에서는 집단내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80%이상의 일정한 목표 성취율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운동학습효과의 결과 각 집단의 분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수행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집단과 분단 간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파지단계에서는 목표설정 방법에 따라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데 목표설정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목표설정 방법을 달리하는 것은 운동학습의 효과의 차이를 유발할 만큼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motor learning of the methods of goal setting. For this purpose, 40 female volunteer university students have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4 groups i.e., non goal setting, self-willed goal setting, goal setting done by others, and mutual goal setting consisting of 10 subjects each. The experimental task was to keep as long balance as possible for 30 seconds on and stabilometer (Lafeyette model # 16020IR/PS). Subjects performed a total of 10 blocks of five practice trials, followed by a five-trial retention test. The data of was analyzed with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 with retention data being subjected to a one-way ANOVA. As a resul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as a function of the increase of practice trials along with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and block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groups(the group of non goal setting, self-willed goal setting, goal setting done by others, and mutual goal setting group), suggesting that different ways of goal -setting did not influence the learning effect differentially as practice continues. Results were also discussed in terms of performance effects due to different methods of goal-setting in relation to previons research findings. To summarize, goal setting is effective in task performing but the differentiation of goal setting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on increasing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