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오예진-
dc.creator오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원평가제를 이미 경험한 학생들과 서울ㆍ경기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원평가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에 있는 H고등학교 학생 200명, J고등학교 학생50명, A 고등학교 학생 50명 등 총300명과 서울ㆍ경기도 소재에 있는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 68명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학생299명, 교사 6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설문지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발간한 ‘교원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화주(2002)가 만든 설문형태를 참고로 하여 교육인적자원부(2005)가 공표한 ‘교원평가제도 개선안’에서 내용을 발췌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평가제 실시에 대한 전체 교사들의 인식은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에 있어 그 응답비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원 평가제 실시 여부에 따라서는 교원평가제를 실시하고 있는 학교의 체육 교사들이 실시하지 않고 있는 학교의 체육 교사들 보다 긍정적으로 이 제도를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원평가제 확대 실시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를 살펴보면 전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확대 실시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교육경력과 실시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별, 직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원 평가제가 체육교수학습 활동 준비 및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은 성별, 직위,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원평가제 실시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교원평가제의 주된 목적을 묻는 문항에 학생들은 수업 내용과 교사의 자질 향상을 교원평가제의 가장 주요한 목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교원평가제 실시에 대한 학생들의 전체 응답은 긍정적인 인식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교원평가제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문항에서는 전체 응답을 보면 부정적 응답에 비해 긍정적 응답이 과반수에 가깝게 응답했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교사의 경우에는 교원평가제 실시 자체에 대한 인식에 있어 교원 평가제를 경험한 교사들은 교원평가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은 실시 자체를 반대하는 교사들도 합리적이고 공정한 교원평가제도가 마련되어 그것을 경험하게 된다면 교원평가제의 긍정적인 기능에 대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전반적으로 교원평가제에의 확대 실시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많은 교사들이 교원평가제에 대해 생각보다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미 교원평가제를 경험한 학생들의 교원평가제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교원평가제의 역할과 기능에 만족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교원평가제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교원평가제가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된다면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고 교사의 자부심과 위상도 지금 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는 제도 전반에 걸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많은 교사들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교사들도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보다 큰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who have already used the Teacher’s Evaluation System,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n their perceptions on the current Teacher’s Evaluation System. Total samples were three hundred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two hundred H high school and fifty J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sixty-eigh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Eventually, out of those, the responses from two hundred ninety nine students and sixty teach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adapted and developed, referred to the studies of Jeon Hwa-Joo(2002) and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5). Also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2.0(ver.). The main results are as the follows: First, although in the total teachers' response, the positive and negative rate on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was similar,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chools under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perceived it more positive than others. Second, all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wed interest in the expans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lso the rate of the attention was different by the teachers' sex and position, but not by career and whether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was enforced. Third, the effect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on the preparation and course of physical class differed by whether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was enforced or not, but not by teachers' sex, position, and career. Fourth, students had the view that the main purpose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and teacher's ability. And the perception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x and grade. Fifth, generally students perceived the enforcement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s positive, and the perception was different by their sex, but not by their grade. Sixth, over the half of students showed the positive satisfac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x, not by the grade. From the results, teachers who have already used the Teacher’s Evaluation System perceived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more positively. therefore, when teachers who have not used Teacher’s Evaluation System get through desired and fair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y will recognize the positive function of the system.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teachers have more attention to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than expected. From the student's aspect, they responded higher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o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meaning they are satisfied with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system. It it believed that i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is established and appli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can make public education more reliable and proud by the students, pupils parents, and teachers. To do so, for the education-related governments should attract teachers' sympathy by resolving and improving the general problems in the evaluation system, while, for the teachers, they have to feel necessary for doing their own efforts to have the pride as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원평가의 목적 및 기능 = 5 1. 교원평가의 목적 = 5 2. 교원평가의 기능 = 7 B. 교원평가제 실시 안 = 10 1. 교원평가제의 추진 배경 = 10 2. 교원평가제의 추진 과정 = 12 3. 교원평가제의 추진 내용 = 16 C. 교원평가제의 구체적 실시 내용 = 22 1. 기본 방향 = 22 2. 대상 별 평가 영역 및 내용 = 22 3. 평가 결과 처리 및 활용 = 26 D. 한국의 교원 평가와 외국의 교원 평가 예 = 30 1. 한국의 교원평가 = 30 2. 외국의 교원평가 = 34 Ⅲ. 연구 방법 = 41 A. 연구 대상 = 41 B. 연구 도구 = 43 C. 자료 수집 및 절차 = 46 D. 자료의 분석 방법 = 47 Ⅳ. 연구 결과 = 48 A. 교원평가제에 대한 체육교사들의 인식 = 48 B. 교원평가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79 Ⅴ. 논의 = 99 Ⅵ. 결론 및 제언 = 102 참고 문헌 = 105 부록 = 109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05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원 평가제에 대한 체육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hysica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Teacher Evaluation System-
dc.creator.othernameOh, Ye-Jin-
dc.format.pagex, 125-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