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예술중학교 무용전공(과)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Title
예술중학교 무용전공(과)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App. and Development of Dance Major Curriculum in Fine Art Middle School
Authors
문영미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중학교의 무용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그에 따른 개선방향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예술중학교 전체 6개교(서울예원학교, 선화예술학교, 서울국립국악학교, 전주 예술중학교, 부산 브니엘 예술중학교, 서울국악예술학교)를 연구대상 학교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운영실태 파악을 위해 관련 자료를 교사와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운영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작성하여 연구대상 학교의 학생 300명과 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배부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학생 274부와 교사 52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응용프로그램인 SPSS 11.5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관식응답은 개선방향에 대한 종합분석 시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술중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첫째, 예술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예원학교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조기교육을 실시하고 애국 애족하는 참된 예술인 육성이며, 선화예술학교는 순수한 심성으로부터 훌륭한 예술인재 양성이고, 서울국악국립학교는 도덕적, 자주적, 창의적, 전통 예술 전문인 육성이다. 전주예술중학교는 애국 애족한 민주 시민으로서 예의바른 인간형성과 새롭게 전통을 계승하는 창의적인 예술인 육성이고, 부산 브니엘 예술중학교는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가운데 자신이 변화하고 참여하는 교육을 통하여 전문예술인을 양성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국악예술학교는 전통예술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창조적 발전을 도모하고 도덕적, 자주적, 창의적인 민족 예술 전문인을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위 6개 학교의 공통적인 교육목표는 예술전문인을 육성하는데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술중학교 교육과정내용을 살펴보면, 예원학교는 한국무용, 발레 실기수업 중심이며, 선화예술학교는 전공과 부전공으로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캐릭터댄스수업을 주요 과목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서울국악국립학교는 정재, 민속무용, 창작실습, 발레, 동작법, 무용이론수업을 시행한다. 전주예술중학교는 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수업을, 부산 브니엘 예술중학교는 전공, 부전공, 이론수업을 주요 과목으로 선정하여 시행하며, 마지막으로 서울국악예술중학교는 한국무용, 발레, 동작법, 타악실습, 창작실습을 주요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있다. 셋째, 전공이수시간은 1개교를 제외하고는 모두 공통적으로 1학년과 2ㆍ3학년으로 구분하여 이수시간을 차이가 있게 배정하고 있다. 1학년은 주당 5~10시간, 2ㆍ3학년은 주당 8~11시간을 배정하여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이 더 많은 시간을 배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방과 후 활동은 예원학교 1일, 서울국악국립학교ㆍ부산 브니엘 예술중학교ㆍ서울국악예술학교가 모두 주당 4시간, 선화예술학교는 주당 2시간, 그리고 전주예술중학교의 경우에는 3시간으로 6개교 모두 시간을 배정하고 있었다. 그밖에 교육 및 부대시설로는 6개교 모두 서로 다른 개수이긴 하지만 무용실・탈의실ㆍ샤워실을 갖추고 있었다. 예술중학교 무용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예술중학교 무용교육과정의 목표 인식에 대한 질문을 수행한 결과 ‘전인교육을 통한 예술인 육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의 76.9%(40명)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전공특기생을 위한 특기적성 중심교육’, ‘예술계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중심 교육 및 공연을 위한 실기위주 교육’은 각각 3.8%로 같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무용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는 무용실기와 무대공연에 대한 응답이 집중되었는데, 이 중 무용실기가 전체 응답자의 92.3%(48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무대공연은 7.7%(4명)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실기 수업 지도 중 가장 치중하는 분야로는 기초 실력향상이 46.2%(24명)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창의력 개발 19.2%(10명), 표현력 향상과 공간감과 리듬감의 형성 15.4%(8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교과목(커리큘럼)의 수에 대한 문항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5과목 이하라는 응답이 38.5%, 3과목 이하 30.8%, 7과목 이하 19.2%, 그리고 7과목 이상이라는 응답이 11.5%로 나타났으며, 전공별 수업 시수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고 표기한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의 61.5%(32명)로 현재 배정된 전공수업시수에 대해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예술중학교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질문은 현재 예술중학교의 실기 실 보유의 경우는 6개 학교 모두 2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2개 보유는 3개교, 3개 이상 보유 3 개교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 수업에 필요한 시청각자료, 무용도구, 소품 등과 같은 기자재 구비 정도를 묻는 항목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73.1%가 현재 불충분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충분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26.9%로 나타나 교육시설이 충분하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무용교육과정 중에서 가장 필요한 개선점은 ‘분야별로 향상되고 체계화된 교육과정의 개발’이라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의 6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술중학교 내의 교육시설 확충’에 대한 응답 19.2%, ‘공연 횟수를 증가시켜 실무경험 향상’시키고자 하는 응답 11.5%, ‘지도자의 자질개선’ 7.7% 순으로 나타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예술중학교 무용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학생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학습방법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예술제와 발표회와 같은 공연준비’라는 응답 35.0%(96명), 전공수업시간 34.3%(94명), 방과 후 교내 레슨 13.1%(36명), 콩쿨 참가 7.7%(21명), 학교 외 학원교습 5.5%(15명), 그리고 공연관람 4.4%(12명)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중학교 무용교육과정에서 한국무용에 대한 만족도 3.62, 발레에 대한 만족도 3.90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무용교육과정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현대 무용에 대한 만족도 3.26, 무용이론수업에 대한 만족도 3.42, 무용창작수업에 대한 만족도 3.50으로 각각 나타났다. 환경과 실기실 시설에 대한 항목의 만족도 2.77로 나타났으며, 무용 전공과목 수에 대한 만족도 2.84, 학교 내 방과 후 활동에 대한 만족도 3.14, 전체적인 만족도 3.30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중학교 발전방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묻는 설문의 응답으로는, ‘다양한 전공수업개발’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의 31.4%(86명), ‘예술중학교 내의 교육시설 확충’ 26.6%(73명)을 차지하고 있으며 ‘예술제·발표회와 같은 공연 회수의 증가’ 24.5%(67명)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자의 자질향상’이 필요하다는 응답 10.2%, 그리고 ‘전공실기 시간의 증대’ 7.3%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술중학교 무용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개선방향을 위해서는 단계적 무용교육기관 설립과 교육시설 및 환경의 개선, 무용전공 교과 이수시간에 비중을 두어 다양한 교과를 편성하고 창의적인 교육내용으로 학생들이 경험 및 학습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 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dancing education course operation current situation on Korean Arts Middle Schools. And we have and the purpose to offer the impr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chools. The object selects 6 everywhere art schools(Yeon School, Sunhwa Arts School, Seoul Traditional Arts Middle School, Jeonju Fine Arts School, Pusan Peniel Middle School of the Art, Seoul Gukak School) and investigates an Arts Middle School dancing education course operation current situation. We were and the low so that we made out with a Self-administration method making up question method for students and teachers. We analyzed the 274 copies among a total 300 copies which is distributed widely which loses the for students and we used a total 52 copies which loses the teacher ultimately at the analysis. The conclusion about an Arts Middle School dancing education course operation is as follows to the foundation of this research of the result. The first, we have Arts Middle School of 7 totals at the everywhere. The school which the dancing curriculum have been founded is here 6 Arts Middle schools The second, Arts Middle School education course content is as follows. The Yeon School major subjects are traditional dance, ballet, and lesson times are 6(1st grade), 8(2nd and 3rd grade) hours per a week. The Sunhwa Arts School accomplishes the stage dancing the ballet Korea dancing and a character dance class with the major to second major. And lesson times are 8(1st grade), 8(2nd and 3rd grade) hours per a week. Seoul Traditional Arts Middle School education course content are traditional dance, ballet, moving methods. And lesson times are 10(1st grade), 11(2nd and 3rd grade) hours per a week. Jeonju Fine Arts School education course content are ballet, Korean traditional dance, modern dancing class. And lesson times are 5(all grades) hours per a week. Pusan Peniel Arts Middle School education course content are major, sub-major and theory class. And lesson times are 10(2nd grade), 7(1st and 3rd grade) hours per a week. Seoul Traditional Arts Middle School education course content are Korean traditional dance, ballet, moving method, creation training. And lesson times are 9(all grades) hours per a week. The third, each afterward activity times of school are 4 hours per a day-Yeon School, Seoul Gukak School, Pusan Peniel Middle School of the Art, Seoul Traditional Arts Middle School, 2 hours per a day-Sunhwa Arts School, 3 hours per a day-Jeonju Fine Arts School. Yeon School and Sunhwa Arts School has 3 dancing and dressing room, 2 shower stall. Seoul Gukak School have 2 dancing and dressing room, 1 shower stall. Jeonju Fine Arts School and Seoul Traditional Arts Middle School has 2 dancing and dressing room, 1 shower stall. Pusan Peniel Middle School of the Art have 4 dancing and dressing room, 1 shower stall. A opinion investigation about an Arts School dancing education course operation is as follows. The first, we are appearing among them so that we are most high to the by about the question of 'The upbringing through the predecessor education which is the art.' a 76.9 %. The second, the field to be puting the key point replied most in a dancing education course that we were the stage public performance with the dancing practical training. And dancing practice portion is 92.3% appeared. The third, the field to lay the stress is most 'A basis ability enhance.' in a dancing class. Most many importance is big among a total making up question to the by a 46.2%. The forth, we look into the response result about the dancing major curriculum appeared 38.5%(under 5 classes), 30.8%(under 3 classes), 19.2%(under 7 classes), and 11.5%(over 7 classes). The fifth, we executed the frequency analysis about a major class time. The responders appeared 'We are enough.' to 38.5% and the responder to mark 'We are not enough.' to mark 61.5%. The sixth, the result to analyze the Arts Middle School equipment and question about the environment is as follows. This the thing to be sour has 34.6%(2 dancing room), 26.8%(3 dancing room), and 19.2%(4 and 5 dancing room). The answer measures and is as follows at the question about the on hand which we are necessary for a dancing class. We replied among the responder that a 73.1% responder are equipment insufficient of equipment. And responders answered 26.9% increases is enough equipment. The seventh, the most necessary response about the improvement subject is as follows among a dancing education course. The requirement of a 61.5% is 'A systematic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occupies most big rate. The eighth, the most necessary response result about the requisite is as follows for a dancing education development. 50.9% of the responders replied that needed a system backup which is the systematic supporting. According to this research result, Art School dancing major education course needs the improvement. We need the foundation of a dancing education organization. We ne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equipment and environment. We put the importance in a dancing major course of study completion time and need and various curriculum organization. Through this, we need the operation with a program development which can enlarge the study experience of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