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이신령-
dc.creator이신령-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94-
dc.description.abstractSecondary schools' interest in inclus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build up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social environments in linking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inclusion into secondary school inclusion successfully. But, most of all, teachers' and peers' understanding and concerns for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must be preceded. Especially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teachers and peers are significant factors in practicing social skills - that is the goal in secondary school inclusion. Perception level of teachers and peers on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is helpful information in supporting school adaptation of student with disability. Since the perception level provides information that reveals expectation level of other members in inclusion environment on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owever, we don't have information about teachers' and peers' perception on social skill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inclusio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ng social skills' importance level in sub-areas of SSRS(Social Skills Rating System) and inquiring priority of importance that teachers and peers percept for adaptation to secondary school. As well as finding out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eers through comparison of importance level of sub-areas, and perceptional difference from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quired 144 teachers and 426 peers in inclusion classes of middle schools in Seoul about level of importance of social skil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per sub-areas as well as for priorities among them. t-test was done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erception level and the difference of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t factors in teachers' and peers' environments varia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peers perceived 30skills were important, teachers did 27skills. Both group agree these skills(responding appropriately to physical aggression from peers, complyng with the teacher's directions, asking help in need) are very important among 31skills and these skills(appropriately telling the teacher when the student thinks the teacher has treated him or her unfairly, producing correct schoolwork, attending school activity, finishing class assignments within specified time limits) are not important one. Teachers rated the 3sub-categories this order: self-control, assertion, cooperation, and peers rated self-control, cooperation, assertion. In cooperation area, two 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of social skills. Second, in assertion and cooperation area,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social skill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s existence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ird, peer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social skills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s existence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th,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social skills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ast instruction experience existence in inclusion class. Fifth, student' perception of importance of social skills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experience existence on disability-Awareness program, the past experience existence on inclusion class).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nd peers are different in perception on importance of each social skills but social skills perceived high and low in importance are almost similar between teachers and peers. Self-control skills were perceived the most important by teachers as well as peers. This suggest middle school inclusion prioritizes self-control skills in categorizing social skills needed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eers' perception level on importance of the social skills needed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as revealed higher than teachers' in the whole. Especially in cooperation area, perception level on import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ers and teachers. This suggest perceptional differences exist in rating student's social skill between the members of inclusion class. Therefore, teachers need to consider features of the members in intermediating social skills for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Teacher's evalu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udents' problem behavior. By the way, the low evaluation about the students may limit their participation opportunity in their class. So, Prevent them from the limitation, Individual support is required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현재 우리나라 중등교육현장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동안 이룩한 초등통합교육의 성과를 이어 중등교육에서도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행정적ㆍ재정적ㆍ사회적 여건 조성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통합된 장애학생과 함께 생활하는 교사와 또래학생의 이해와 관심이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중등통합교육의 목표인 사회성 기술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해서는 장애학생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주체가 되는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의 인식과 태도는 통합을 위한 중요한 변인이 된다. 또한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대한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의 인식수준은 통합환경 구성원들이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대해 기대하는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정보로 정신지체 학생의 학교적응을 지원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이다. 그럼에도 현재 우리나라에는 중학교 사회성 기술에 대한 통합환경 구성원들의 인식에 대한 정보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일반중학교 통합학급의 구성원인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이 인식하는 일반중학교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 기술과 하위영역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중등통합환경의 정신지체 학생에게 중요한 사회성 기술을 지원하는 이들에게 중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교사와 또래학생 집단에 따른 사회성 기술의 하위영역별 중요도 인식 결과 비교를 통하여 구성원간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개별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성 기술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통하여 사회성 기술 지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내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 144명과 또래학생 426명을 대상으로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Gresham & Elliot, 1990)를 기초로 수정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두 집단이 평정한 사회성 기술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SSRS문항을 번안하여, 특수교육관련 전문가와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용어와 문항을 수정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개별 사회성 기술의 중요도 우선순위와 하위영역별 우선순위를 조사하기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두 집단의 인식결과를 비교하고 집단배경변인에 따른 인식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또래학생은 총 31개의 사회적 기술 중 30개의 기술을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사는 27개 사회성 기술을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31개의 사회성 기술 중에서 타인의 신체적 공격에 적절하게 방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도움 요청하기, 교사의 지시따르기 등이 일반교사와 학생 모두에게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고, 중요하지 않은 기술로는 부적절한 규칙에 대해 의문제기하기, 수업외 학교 활동(동아리활동) 참여하기, 학업과제 적절하기 수행하기, 학업과제 및 시험과제 제한시간 내 수행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일반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사회성 기술의 하위영역의 우선순위는 자기통제영역, 주장영역, 협동영역 순이었고, 또래학생집단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하위영역별 우선순위는 자기통제영역, 협동영역, 주장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의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 인식 결과의 차이는 협동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일반교사가 인식한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 중요도 인식결과는 세 하위영역중 협동영역과 주장영역에서 정신지체학생의 문제행동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또래학생이 평정한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 중요도 인식결과는 세 하위영역 모두에서 정신지체학생의 문제행동 유무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일반교사가 인식한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는 일반교사의 이전 통합학급 지도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또래학생이 인식한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는 또래학생의 배경변인(장애이해교육 경험 유무, 이전 통합학급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서울지역 일반중학교 통합학급 구성원인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이 정신지체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개별 사회성 기술의 중요도는 차이가 있으나, 우선순위 상위와 하위 사회성 기술들은 대체로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성 기술의 하위영역에서는 두 집단에서 모두 자기통제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학교 통합환경에서 필요한 중요한 사회성 기술은 자기통제 영역과 관련된 기술을 중심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목록화하는 것이 의미있다고 본다. 또한 또래학생집단의 중요도가 전체적으로 일반교사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협동영역에서 일반교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중요도 인식정도가 나타났다. 이는 통합학급 구성원 간에도 정신지체 학생을 대하는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 중재시 교사는 구성원의 특징을 고려하여 지원여부를 결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신지체학생의 문제행동 유무에 따라 일반교사의 평정결과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런데 문제행동이 있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낮은 평가는 교사의 기대수준과 관련되어 학생의 수업 참여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환경에서 정신지체학생이 문제행동으로 인해 차별적인 기대와 평정을 받지 않도록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개별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정의 = 7 II. 이론적 배경 = 8 A. 정신지체 학생의 중학교 통합교육 = 8 1. 정신지체 학생의 중학교 통합교육의 어려움 = 8 2. 정신지체 학생의 중학교 통합교육에서 사회성 기술의 중요성 = 10 B. 중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의 인식의 중요성 = 11 1. 중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일반교사 인식의 중요성 = 11 2. 중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또래학생 인식의 중요성 = 13 C.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대한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의 인식관련 선행연구 = 15 1.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 = 15 2.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대한 또래학생의 인식 = 17 III.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연구도구 = 24 C.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7 D. 자료처리 방법 = 30 IV. 연구결과 = 31 A.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이 인식한 일반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 기술 중요도 = 31 1.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이 인식한 사회성 기술 각각의 중요도 = 31 2.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이 인식한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 차이 = 35 B.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행동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가 인식한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 차이 = 36 C.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행동 유무에 따른 또래학생이 인식한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 차이 = 36 D. 일반교사 이전 통합학급 지도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가 인식한 사회성 기술 하위 영역별 중요도 차이 = 37 E. 또래학생 배경 변인에 따른 또래학생이 인식한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 차이 = 38 1. 또래학생의 장애이해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 차이 = 38 2. 또래학생의 이전 통합학급 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 중요도 차이 = 39 V. 논의 및 제언 = 40 A. 논의 = 40 B. 연구의 제한점 = 44 C. 제언 = 45 참고문헌 = 46 부록 = 56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913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반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 기술에 대한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의 중요도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and peer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social skills required for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to adapt the general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Lee, Shin-Ryung-
dc.format.pagexi, 8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