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이윤정-
dc.creator이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2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2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23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developmental improvement for the high quality Edu-care program by considering the operation realities of the Edu-care in the Seoul Public Kindergarten and compar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for Edu-care with those of the directors' - principal of the elementary schools. 122 directors and 402 teachers in the Public Kindergarten running the Edu-care program were surveyed. Three hundred seventy three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SPSS 12.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d χ²(Chi-square) test. The findings are followed : First, Regarding the operation realities of the Edu-car in the Seoul Public Kindergarten, the majority of Edu-care consist of 1 class, afternoon session in order to accomodate mixed-age children ; the majority run an education program and Edu-care program in the afternoon. Most of the Edu-care classess are consisted of 20 young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The Edu-care is run from 7:00 AM. th 8:00 PM. However the finding reveals shortening time from an half hour to three and an half hour in the morning or afternoon. Many of Edu-care program is managed by two Edu-care teacher. The program is focused on 'sense of emotional stability', 'basic living practice and cooperative attitude toward life', and 'substantiality of the individualization education'. When it comes to nutri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Edu-care program, most kindergartens supply lunch and snack(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with feeding facilities at the elementary school during semester. Regarding the health care of young children, teachers are in charge of the general health care. For the safety, most teachers teach children how to protect themselves, prepared equipment against emergency. But it still requires safety program such as parents safety program, fire drill, acquiring basic knowledge of safety, first aid and so on. For the facilities and finance, 58.7% of the surveyed kindergartens have a separate Edu-care rooms. But relatively, many kindergartens don't have them, and they also don't have the separate sleeping rooms. The most Edu-care budget is spent for the snack. The expenses of equipment and facilities are relatively less than other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directors, principle at the elementary schools are less interested in Edu-care curriculum and livelihood guidance. However they are interested in healthcare, safety, teaching materials, events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In other word, they are interested in managing as directors. There are slightly difference about the needs of Edu-care, class organization, teachers' assignment, teaching schedule, Edu-care manage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holidays between directors and teachers, but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nutrition and tu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blems and essential improvements which kindergarten teachers and directors perceived were higher wage, safety for night work and paid holiday for Edu-care teachers. In the financial investment, the most important thing by teachers is the working conditions. Secondly they pointed out a separate Edu-care room, various educational program and materials important. Directors pointed ou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education environment, various educational program and materials. Therefor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realities of the Edu-care. But they have the same opinion in problems and improvement on the Edu-care program.;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공립유치원 에듀케어의 운영실태를 고찰하고 에듀케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초등학교 학교장인 병설유치원의 원장들의 인식을 비교해봄으로써 에듀케어의 발전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앞으로 더욱 확대될 에듀케어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에듀케어의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2. 에듀케어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교사와 원장이 인식하는 에듀케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공립유치원 원장 122명과 교사 402명(운영실태 122부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73부(운영실태 68부, 교장용 68부, 교사용 23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에듀케어의 운영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도구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에듀케어 및 종일반에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교사용-운영실태, 교사용-인식, 원장용-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운영실태를 알아보는 질문지는 4개의 영역에 3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원장용-인식은 4개의 영역 34문항으로 되어있으며, 교사용-인식은 3개 영역에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와 원장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공립유치원 에듀케어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에듀케어 학급은 대부분 1학급으로서 오전 수업은 반일 반에서 하고, 오후에 에듀케어를 원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반을 재편성하고 운영하고 있었으며, 원아의 수는 대부분 20명이었고, 맞벌이부부의 자녀를 위주로 운영하고 있었다. 에듀케어 운영시간은 평일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하는 곳이 대부분이었으나, 오전 또는 오후 시간을 30분에서 3시간 30분까지 단축하여 운영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듀케어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은 대부분 에듀케어 교사가 함께 협의하여 계획하였고, 협의회는 한주에 1~2회 하는 곳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운영에 가장 비중을 두는 항목은 ‘정서적 안정감과 편안한 분위기’, ‘기본생활습관 및 협동적 생활태도’, ‘개별화 교육의 충실’의 순이었다. 동 사항을 중심으로 실제로 주로 하고 있는 활동은 자유선택활동, 요리활동, 음률ㆍ조형ㆍ신체활동의 순이었다. 오전수업과의 연계를 위한 노력을 보면, 오전의 활동을 오후 교사에게 구두로 전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직장생활로 바쁜 학부모들과의 의사소통은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등ㆍ하원시 면담, 가정통신문 및 전화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에듀케어의 영양관리 측면에서는 점심심사와 오전ㆍ오후 간식을 실시하는 곳이 대부분이었고, 학기 중에는 초등학교의 급식시설을 모두 이용하고 있었다. 방학 중에는 학교 급식실을 이용하지 않고 조리사 또는 일용직원을 채용하여 유치원에서 준비하는 곳이 대다수였다. 건강과 안전 측면에서는 에듀케어반 유아의 전반적인 건강관리는 에듀케어 담당교사가 맡아 하고 있었다. 유아의 안전관리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 스스로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비상재해 대비시설을 구비해 놓았으며, 가까운 병원이나 응급처치 기관의 전화번호를 상비하고 있었으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의 실시, 정기적인 안전훈련의 실시, 안전사고에 대한 기초지식 습득 및 응급처치 실시 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듀케어의 시설 및 재정 측면에서는 조사대상의 58.7%가 전용교실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많은 교실에서 별도 에듀케어 교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유치원들이 반일반 교실 하나를 에듀케어반으로 겸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운영의 효율성과 건강한 환경조성을 위해서라도 개선이 시급하다. 또한 독립된 수면실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건강이 좋지 못하거나 휴식이 필요한 유아가 조용하고 편안히 쉴 수 있는 독립된 수면공간을 마련하는 일도 필요하다. 에듀케어 학급 운영을 위한 예산 중 가장 지출비율이 높은 부분은 간식비였고, 비품비 및 시설유지ㆍ보수비는 비교적 많이 지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듀케어 운영에 대한 원장의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공립병설유치원의 원장은 에듀케어 교육과정의 내용이나 유아의 생활지도 면에서는 관심도가 비교적 적었으나, 원아의 건강 및 안전관리, 에듀케어를 위한 교구ㆍ교재 및 학습자료 제작과 확보, 유치원의 각종 행사, 교사들의 근무여건 개선에는 대체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즉, 세부적인 운영사항 보다는 기관장으로서 업무를 총괄하고 관리ㆍ감독하는 입장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원장 대상 에듀케어 연수에 참석하지 못한 원장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듀케어 운영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 측면에서는 에듀케어의 필요성, 학급구성ㆍ교사배치 및 운영시간, 초등학교 휴업일의 에듀케어 운영, 유아수에 대한 인식,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영양 및 교육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사와 원장이 인식하는 에듀케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교사와 원장 모두 에듀케어 교사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해 보수의 상향조정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야간근무에 대한 안전 대책 확보, 휴가실시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재정적 우선 투자부분에 대해서 교사는 에듀케어 교사의 처우개선, 전용교실의 확보 및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자료의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원장은 유치원의 시설ㆍ설비 등 교육환경개선도 중요하다고 하였다. 에듀케어의 확대실시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교사는 에듀케어반을 독립된 별도 학급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과 행․재정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 종일반 교사의 정원확보의 순으로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반면, 원장은 행ㆍ재정적 지원의 확대를 우선적으로 지적하였으며, 종일반 교사의 정원 확보 및 독립된 학급으로 운영 순으로 지적하였다. 즉, 에듀케어의 전반적인 운영사항에 있어서는 교사와 원장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서는 교사와 원장이 대부분 인식을 같이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에듀케어의 도입 배경 및 추진경과 = 6 B. 에듀케어의 개념과 성격 = 8 C. 에듀케어의 프로그램의 특성 = 11 D. 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의 효과 = 17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2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5 Ⅳ. 연구결과 = 26 A. 에듀케어의 운영실태 = 26 B. 에듀케어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 = 47 C. 교사와 원장이 인식하는 에듀케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58 Ⅴ. 논의 및 결론 = 69 A. 논의 = 69 B. 결론 및 제언 = 80 참고문헌 = 85 부록 = 88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30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서울특별시 공립유치원 에듀케어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Operation Realities and Improvement of the Edu-care in the Seoul Public Kindergartens-
dc.creator.othernameLee, Yun Jeong-
dc.format.pagexii, 112-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