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움직임과 다각적 변형에 의한 인테리어 제품

Title
움직임과 다각적 변형에 의한 인테리어 제품
Other Titles
Fabric Design of the Element of Movement and Multilateral Transformation
Authors
신경하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순
Abstract
In the modern society, where it is named machine age, new science era and discovery era, the artists' urge to recreate away from the traditional style, adhering to aesthetical values, are intensified. Especially, as the 19th century architect, Louis Sullivan's (1856~1924) phrase "Form follows function", the relationship of 'value of beauty' (functionality, appropriateness, valuable, objectivity) is emerging as more important issue, design stands on the center of the culture in 21st century and modern design also is permeated into all aspects of everyday life which resulted in stressing the importance of functionality with visual aesthetics. The act of planning and conceiving ideas for better life could be said as 'design' in wider sense. Therefore, design is a crystal of formative science and art, integration of emotion and rationality and media that reflects all the social and cultural things in everyday life. Design actively participates within the flow of modern and since it points to creation of new ideas in terms of variation of form and expression, it could be defined as a formative art with unlimited potential. Therefore, to people, who is in contact with design, it will induce intellectual interest and at the same time bears an importance of artistic value. In the age that pursues various transformations in various cultures, the 'transformation' is used as an important expression in expressing the aesthetic conception of this era and, in reflection to this, because of the psychological nature of human, feeling more comfortable within the 'mobile' than 'solitude' system, the modern people wants the presentation of more relaxed and stable new space through mobile elements within the living space. In this study, to reflect this trend, I intended to look into new fabric design pattern by integrating art and design using "Movement and Transformation" expressed in multilateral ways according to the angle of vision. For this, the transformation of pieces according to the viewer's movement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paintings of Yaacov Agam (1928~), one of the kinetic artists based on the element of movement, were analyzed and reinterpreted in modern sense and designed on the basis of 3 dimensional, multilateral and transformational expr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is to create the piece by reinterpreting in modern sense to give more active life by using part cutting and pleating techniques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of 3 dimensional, multilateral and transformational structure. Moreover, by suggesting pointing technique, color pencil painting, stripes, different sizes of dot pattern and each dot creating one pattern, I have introduced new patterns through various transformations within the pie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maximizing the effect of integrating the kinetic art, bearing the expressive movements, into fabric pattern design and with this method, the integration of art and design was tried in terms of fabric design to prove art and design is not evolving in separation and coexistence and rather they work together in recreating artistic cultural space when it is unified as one formative and valuable artistic un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 First, as it is seen in Agam's painting, the image movement according to 3 dimensional structure in my pieces could be presented as visual illusion. By integrating this into the design, various visual effect could be induced according to user's movement and creative design could be established to show the sufficient potential of new experiments in fabric design. Second, if the 3 dimensional structure expressed by cutting and pleating is lighted, a new aesthetical image of light and shade is created and the coincidental formative aesthetics of light could be discovered. Third, through the 3 dimensional design which values the vision of the customers, the artistic value in coexistence of space and time could be realized. Through this research, fabric design, technology and the functionality, practicality and beauty of the future was discovered. In addition, it will give a chance to maintain and develop cultural traditions in connection with integration of aesthetics into fabric design.;기계 문명의 시대, 새 과학의 시대, 발견의 시대라고 불리우는 현대사회에서의 예술가들은 과거의 미적가치만을 고수하던 전통적인 양식에서 탈바꿈하려는 몸짓이 강렬해졌다. 특히 19세기 시카고의 건축가인 루이 설리반(Louis Sullivan, 1856~1924)의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Form follows function”는 말처럼 ‘미(美)와 유용성’(기능성, 적합성, 유용성, 목적성)의 관계가 점차 중요한 명제로 부각되듯이, 디지털 시대인 21세기는 문화의 한 중심에서 디자인이 자리하고 있으며 현대 디자인 역시 모든 일상생활 속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심미성과 함께 기능성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안락한 일상을 위한 인간이 계획하고 고안하는 행위를 넓은 의미의 ‘디자인’ 이라 한다. 따라서 디자인은 조형적인 과학과 예술의 결합체이자, 감성과 이성의 접목이며, 사회․문화적 현상 등 일상의 모든 것을 반영하는 매개체이다. 디자인은 현대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다변적이면서 양식과 표현 방식에 있어서도 새로운 아이디어 창조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무한한 잠재성을 지닌 조형예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을 접하는 사람들에게도 지적 흥미를 유발시키며 또한 예술적 가치의 중요성을 지닌다. 인간은 ‘정적’인 구조일 때 보다 ‘동적’인 구조에서 더 편안함을 느끼는 심리적 현상 때문에, 현대인들은 생활공간 내에서 움직이는 요소들을 통해 좀 더 편안하고 안정적인 새로운 공간 연출을 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이러한 트랜드(Trend)를 반영하여,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는『움직임 요소(Movement)』와 『변형현상(Transformation)』을 이용하여 예술과 디자인을 접목시킴으로서 섬유디자인 새로운 패턴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움직임 요소를 기본으로 발전한 예술분야인 키네틱 아트 작가 중 야코프 아감((Yaacov Agam, 1928~)의 회화에서 나타난 조형적 특성인 관람자의 움직임에 따라 작품의 변형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입체적․다각적․변형적 표현을 토대로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의 디자인 특징은 입체적․다각적․변형적 구조의 시각적 효과를 부각시키기 위해 작품을「부분 컷팅(cutting)」과「주름(pleats)」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좀 더 활동적이고 생명력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점묘, 색연필화, 스트라이프, 크기가 다른 원, 각각의 원들이 하나의 문양을 만드는 패턴 등을 제시함으로서 본 연구자의 작품 내에서도 다양한 변형을 통해 새로운 패턴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움직임의 표현을 지닌 키네틱 아트를 섬유 패턴 디자인에 접목시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써 섬유디자인에 있어서 예술과 디자인의 결합을 시도하여, 예술과 디자인의 분야가 분리․양립되어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된 하나의 조형적이고 예술적 가치로서 합일을 이룬다면 예술적인 문화생활 공간을 재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아감의 회화에서 보여 지는 것과 같이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 입체적 구조에 의해 이미지의 움직임이 시각적 환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디자인에 도입하여 사용자들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으며 창의적인 디자인을 구축함으로써 섬유디자인의 새로운 시도가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컷팅과 주름으로 입체적 구조를 표현한 제품에 빛을 비추면 빛과 음영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미학적 이미지가 생성되며, 이를 통하여 빛에 의한 우연성의 조형미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의 시선을 중요한 가치로 삼는 입체적 형태의 디자인을 통해 공간과 시간이 공존하는 예술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섬유디자인과 그 기술, 그리고 미래에 얻을 수 있는 가능성과 실용성, 그리고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미(美)와 결합된 섬유디자인은 문화적 전통이 유지되고 또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