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NGO 출신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에 관한 연구

Title
NGO 출신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of the assemblymen who have worked for NGOs
Authors
선우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GO 또는 NGO 출신 인사들의 정치참여는 도덕성과 개혁성을 갖춘 인물의 정치진출, 정경유착의 정치권에 새로운 방향 제시, 다양한 시민들의 욕구의 대변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나 시민운동의 정체성 혼란, 기존 정치권으로 동화, 시민사회 인재의 고갈, NGO의 기회주의적 도구화라는 점에서 부정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논란과 관련하여 NGO 출신 인사들이 얼마나 정치에 참여하고 있고, 의정활동에서 어떤 평가를 받으며, 궁극적으로 정치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연구하여 NGO 출신들의 정치참여가 어떠한 방향으로 논의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15대부터 17대까지의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NGO 경력을 조사하여 NGO 출신 국회의원과 정당별, 출신 단체별 국회의원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의정활동평가는 NGO 출신과 비NGO 출신 의원 및 NGO 출신 의원들 간, 비례대표/지역구, 상임위별, 성별, 출신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NGO 출신 의원들의 의정활동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내리고 이를 근거로 향후 NGO 출신 국회의원들의 정치참여가 어떠한 방향으로 논의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NGO 출신 국회의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특히 시민사회일반, 여성, 장애인, 환경 분야에서 활동하던 시민운동가들이 국회에 많이 진입하였다. 의정평가 분석결과 NGO 출신 의원들은 비NGO 출신보다 점수를 더 높게 받음으로써 의정활동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5대 p<0.01, 16대 p<0.05). 건교, 교육, 보복, 정무, 행자위 등의 상임위에서 NGO 출신이 더 평가가 좋았고, 성별로는 여성이 일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평가가 좋은 분야는 15대, 16대의 여성, 법․행정․정치, 인권, 소비자생활 분야에서 17대 사회복지, 건강보건의료, 장애인, 환경 분야로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NGO 출신들의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에 대한 종합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NGO 출신 국회의원들은 비NGO 출신 국회의원들보다 의정활동에서 더 좋은 평가를 받음으로써 정치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의 정치참여는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여러 분야의 의원들의 의정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출신단체가 편중되고 있는 문제점이 개선되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충원되어야 한다. 셋째, NGO의 정치참여는 시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 증대와 정치인의 의정활동에 대한 중요성 인식으로 전반적으로 정치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NGO는 정치참여 활동과 별개로 시민사회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수용하면서 시민사회 구조 내에서 더욱 영향력을 증대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There are the pros and cons of the participation of those who have worked f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in politics. Since NGOs people are considered moral and advocates of reform, they could show a new way of politics such as the virtual separation of economy and politics. And people with NGOs backgrounds could represent various needs of people. However, when NGOs people participate in politics, the identity of the civil movement would be confused and they could become assimilated to professional politicians. Besides, the participation of NGOs people in politics causes a dearth of talent in civil society and makes NGOs opportunistic organiza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how many people with NGOs backgrounds participating in politics, their evaluation and effects on the existing political climate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idea of their participation in political affai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mbers of the Korea National Assembly of the 15th, 16th and 17th, who have taken part in NGOs; their careers, parties and the election types. And this study analyzes the assemblymen's evaluation of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by their NGO careers, elected types, sex, committees and backgrounds. The ratio of the assemblymen who have worked for NGOs is continuously growing and their career especially relates with Civil activities, Women, Handicapped people and Environment.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a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The evaluation of people with NGOs backgrounds of the 15th and the 16th parliamentary activities is higher than the Non-NGO assemblymen. In the committee of Women, Human rights, Construction, Education, Health and Gene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is the evaluation of those who have worked for NGOs higher than the Non-NGO assemblymen's evaluation and the female assemblymen have a good evaluation. In 15th and 16th, the NGO activists whose backgrounds related with women, law, human rights, consumer living have a good evaluation and in 17th, their backgrounds are diverse to social welfare, health, handicapped person, and environment. This study's conclusions of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of the assemblymen who worked for NGOs are as follows; First, they have a good evaluation of their parliamentary activities and their participation takes good effect on the existing political climate. Therefore their participation is encouraged. Second, actually their performances are highly estimated but their backgrounds are not diverse. So the NGO activists' background should be diversified. Third, NGOs' participations in politics seem to be a positive effect on the existing political climate, because citizen's concern for politics is enhanced and politicians become aware of importance of parliamentary activities. Finally, NGOs should take part in politics and they need to hear critical voices and to make effort to increase their influencing power for the social as well 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