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9 Download: 0

이슬람 다와와 기독교 선교의 평화적 공존에 관한 연구

Title
이슬람 다와와 기독교 선교의 평화적 공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Islamic Dawa and Christian Mission Towards a Peaceful Coexistence
Authors
이경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ike Christianity, Islam has become an international religion with 13 hundred million people by taking a missionary responsibility to the world. By looking at the rapid speed of Islamic growth, it is important for Christianity to study about ‘dawa’, which is an Islamic missionary campaign, to rise to such alarming grow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just for deciding which is superior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ic missionary, but for finding a inter-mutual relationship between two by observing Islamic missionary method and tendency. The first and foremost work is about finding Quran’s ancient meaning and contemporary meaning in relation to Islamic missionary’s ‘dawa’. Islam’s dawa with its meaning of "calling" and "invitation" emphasizes to all the Muslims the bringing the humanity under the god’s righteous way. Quran clearly states that there should be no enforcing of religion and that Muslimsshould protect other religions (especially Judaism and Christianity) with ‘Dimi’ policies. It says that Muslims must respect the scriptures of Judaism and Christianity as the Jewish and Christians are the people of the Bible. However, after the Muslim community became clear of its political community purpose for Islam’s independence and practice, dawa needed an institution and military combined missionary policies and started to force on other religions. There is another large paradigm of dawa, which is quite contrary to the policies stated above, as it purely emphasizes an individual’s divine nature through non-political, non-violent, and non-institutional methods. It naturally led missionary campaigns and this called Sufism. With the turn of modern Islam society, which needed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changes, Sufism had great influence on the spirituality of Islamic reformists who emphasize individuals’ spiritual awakening and practice. In the West, religion and politics and culture have been divided with scientific developmentand civilization, but Islam tries to carry out politics, administration,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ll under Allah and from this respect, dawa came to take the form of Islamic reconstructionalism. Starting of missionary campaign with the purpose of uniting religion and politics can be noticed as the modern dawa movement’s special character. Western Muslims sees non-Islam countries as ‘daral-harb’ (infidel’s house) and has missionary visions of making these countries to ‘daral-islam’ (Islam’s house) with mosque-centered dawa movements and international Muslim community movements. When trying to find contemporary Islam dawa’s movement through their activities, the most effective way is to study northern America’s paramosque system. This system is that anyone can join in the Muslim brotherhood regardless of his race, culture, and country and forcefully suggests non-Islamic people to join in to their community called ‘umma’. Contemporary Muslims’ movement emphasizes absolute obedience to Allah under Islamic countries’ institutional support by standing up against to the West’s confused values and indiscriminative tolerance, and it is trying to unite different cultures and races to the Islamic value system. Like this, Muslims have interpreted and expanded the meaning of dawa in different context following different situationsthroughout the history, and by this, they have invited the humanity to their Muslim community. When compared to Christian missionary’s meaning, Islamic missionary dawa’s meaning has som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 competitive and exclusive relation between dawa and Christianity missionary has been a big obstacle in the inter-mutual missionary aspect. Through the research on dawa, this paper tried to break away from the superior and hostil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missionary. The way the Church should respond to the Islamic missionary campaign and keep mutual relations is to respect the original meaning and practices of dawa, both Christianity and Islam peacefully prove their principles, actively carry out meetings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to carry out inter-mutual understanding through talks.;기독교와 마찬가지로 이슬람은 세상을 향한 증거의 사명을 띠고 선교적 책임을 다해 온 결과 전 세계 13억 명에 달하는 세계적 종교가 되었다. 현재도 이슬람이 빠른 속도로 성장해나가고 있음을 볼 때 이슬람 선교 활동 '다와'(dawa)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기독교 선교의 대응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단지 기독교 선교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열을 가리기 위함이 아니며 이슬람 선교의 방법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상호 협력적인 기독교 선교와의 관계를 모색해보고자 함이다. 가장 우선적인 작업은 이슬람 선교 '다와'에 대한 꾸란의 고전적 의미 그리고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슬람의 '다와'(dawa)는 '부르심', '초대'라는 뜻으로 모든 무슬림들로 하여금 인류를 하나님의 바른 길로 초대하는 의무를 강조한다. 꾸란에서는 분명히 종교에는 강요가 없다고 밝히고 있으며 무슬림들은 '디미' 정책을 통해 타종교(특히 유대교와 기독교)를 보호하고 성서의 사람들이라 하여 유대교와 기독교에 관하여는 경전을 인정하고 존중하였다. 그러나 무슬림 공동체가 이슬람의 독립과 실천을 위한 정치적 공동체의 성격을 분명히 하면서부터 다와는 제도와 군사력을 동원한 통합적인 선교 정책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타종교에 대해 강요를 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제도를 통한 위로부터의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비정치적 비폭력적 비제도적 방법으로 순수히 개인의 영성을 강조하고 자연적으로 선교활동을 이끌어간 또 하나의 거대한 다와의 패러다임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수피즘이다. 수피즘(Sufism)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필요로 하는 근현대 이슬람 사회로 넘어오면서 개인의 영적인 깨달음과 실천을 강조하는 이슬람 개혁주의자들의 영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서구사회에서는 과학의 진보와 문명의 발전으로 종교가 정치, 문화와 분리되었지만 이슬람은 정치, 행정,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알라의 가르침을 따라 실천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다와는 이슬람 부흥주의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즉 종교와 정치가 하나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이슬람 선교 정책을 펴나가기 시작한 것이 근현대 다와 활동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서구 무슬림은 비이슬람 국가 상황을 '다르알-합'(daral-harb, 불신자의 집)으로 규정하고 전통적인 모스크 중심의 다와 활동과 세계 무슬림 단체 활동을 통하여 '다르알-이슬람'(daral-islam, 이슬람의 집)으로 속하게 하고자 하는 선교적 비전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활동을 통하여 현대 이슬람 다와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활동이 바로 북미지역의 파라모스크 제도이다. 이 제도는 비록 인종과 문화와 국가가 다르더라도 무슬림 공동체 안으로 들어오면 누구든지 무슬림 형제가 될 수 있으며 비무슬림에 대해 강력하게 그들의 공동체 움마(umma)로 들어올 것을 권한다. 현대 무슬림들의 활동은 이슬람국가의 정책적인 지원 아래 서구 사회의 혼돈된 가치관의 체계와 무비판적 관용에 맞서 알라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을 강조하며 다양한 문화와 인종적 갈래를 이슬람의 가치 체계 안으로 통일시키고자 한다. 이처럼 무슬림들은 역사적으로 그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와의 의미를 해석하고 확대시켜 무슬림공동체의 통합적인 체제 안으로 모든 인류를 초청해왔다. 이슬람 선교 다와는 기독교 선교의 의미와 방법적인 측면에서 비교해볼 때 공통점과 차이점 둘 다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와와 기독교 선교가 이제까지 경쟁적이고 배타적인 관계였던 점은 상호 선교적 접근에 있어서 커다란 어려움으로 작용해왔다. 본 논문은 다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기독교 선교의 우월적이고 적의적인 시각을 탈피하고자 하였으며 다와의 본래의 의미와 실천들을 존중하고 기독교와 이슬람이 평화적으로 자신의 진리를 증거하며, 문화적 교류를 통한 만남을 적극 실천하고, 또한 대화를 통한 상호 이해를 실천하는 것이 다와와 기독교 선교의 협력의 모습이며 이슬람 선교 활동인 다와에 대한 기독교 선교의 대응이라고 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