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온음음계를 응용한 중학교 창작학습 지도안 개발

Title
온음음계를 응용한 중학교 창작학습 지도안 개발
Other Titles
A Study for Making a Creative Music Instruction us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Authors
현한나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자
Abstract
현대 사회는 빠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상을 요구하며, 무수한 정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어 그 가치를 분석해 내는 기술과 능력을 중요시 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은 창의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지만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창작 수업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으로 인해 창의성 교육에 효과적인 창작 수업이 여전히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교사들이 창작수업에 대하여 어렵게 생각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체계적인 지도방안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과서에 실려 있는 창작학습 내용 또한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제 7차 교육과정은 창의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참여를 요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능동적인 학습참여는 음악의 다른 어떤 활동보다 창작활동에서 강조되는 태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를 강조하는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을 적용하여 온음음계를 응용한 체계적인 창작 지도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먼저 창의성의 개념과 음악에서의 창의성 및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작학습의 중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으로 사용된 PBL교수-학습 모형의 이론적 토대인 구성주의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PBL의 여러 가지 모형들과 본 연구에 사용된 모형인 Barrows와 Myers의 모형의 진행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창작활동의 주요 소재로 사용된 온음음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사용 예를 알아보았다. 본론에서는 PBL의 여러 가지 모형 중에서 Barrows & Myers의 수업과정 단계를 토대로 온음음계를 이용한 창작지도 방안을 제시하였고, 실제 수업에 적용된 내용을 제시하였다. 수업은 2차시로 구성되었으며 문제를 제시하여 음계, 리듬, 가락 진행 등 여러 가지 음악적 개념에 단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수업단계로는 먼저 감상 및 학습 자료를 통하여 문제에 대한 접근을 하도록 하였고, 조를 구성하여 조별로 각 문제에 대한 접근 계획을 세우도록 하였다. 조별학습 외에 개별 학습 과제를 선정하도록 하여 그룹별 활동과 동시에 개별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조별학습을 통해 각 조별로 형성된 아이디어를 발표하여 전체가 공유하여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였고, 결과물이 완성되었을 때 연주해보고 평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여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이 포함된 포괄적인 음악수업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결과에 대한 평가는 교사에 의한 평가, 조별평가, 자기평가로 이루어진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창작 수업에서는 아무것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 교사에 의해 일정한 지시와 제한이 주어졌을 때 학생들은 방향을 설정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사고와 견해를 재구성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은 교사와 학생들이 창작 활동을 할 때 좀 더 쉽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학습의 단계를 PBL과정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음악적 개념을 직접 경험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이며, 적극적인 태도와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통해 음악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창작학습 지도방안이 음악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고 교사들의 창작 수업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The contemporary society requires not only creative human images regarding an spontaneity of reaction of rapid changes, but also the abilities for finding useful one from a number of information and analyzing valuable points. Although the educational goal of the 7th educational process, in the current of the times, has been revised with the emphasis on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still it has not been properly provided for students by anxiety and denial feeling in a music composition class. The main reasons are that teachers themselves think it difficult as well as do not recognize any systematic instructional methods which are easily accessible in teaching students and the content of creative lesson in a textbook is formed so that it does not provide students easiness of accessibility. The 7th educational process stresses a creativity and a self-centered attitude of study that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into a lesson, which is the most meaningful attitude above anything else in the creativity par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systematic teaching methodology with using whole-tone scale applied to a solu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In order for the establishment of a theoretical formation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a meaning of music creation are reviewd. teaching-study pattern PBL which is used as one of method of this study are studied. Reviewed were constructivism on the foundation of teaching-study pattern PBL, several patterns of PBL and its features. Finally, the whole-tone scale as a resource of music composition and it's some examples are introduced.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the whole-tone scale creative stages which was suggested by Barrows & Myers in PBL and shown the applied contents. This teaching-study methods comprise 2 time lessons and one problem which helps a gradual approximation that a musical concepts - scale, rhythm, melody progression and so on. The creative music stages applying to the PBL method can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irst stage helps an access of a problem through listening music on the whole-tone scale and providing study materials. At the next step students are grouped and asked to make a plan to solve the problem. In addition to group study, individual study are carried out by selecting a subject coherently. Finally, ideas from the group study are shared by a presentation and take some time for playing and assessing the completed creations. It should be a comprehensive class including singing, instrumentation, creation and appreciation. The assessments are divided into three ways, by teacher, by group member and by oneself. It is not recommendable for students to achieve creative music without any given materials in a school creative class. Therefore teachers are requested to show them certain limitation, to instruct what to follow and to assist the students to restructure their musical concept and views of their own. The methodology shown in this research shows the steps of study as a PBL process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able to closely act in the composition using the whole-tone scale.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will directly explore a overall study of musical concepts and accomplish the musical growth with active and positive attitudes. Lastly, the authors desire that the creative music lessons suggested in this study applying to the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will be helpful to students' learning and studying of active and creative music as well as teachers' advices of creative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