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2 Download: 0

항암화학용법으로 인한 빈혈 치료에서 Epoetin alfa와 Darbepoetin alfa의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Title
항암화학용법으로 인한 빈혈 치료에서 Epoetin alfa와 Darbepoetin alfa의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of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for Chemotherapy-Induced Anemia in Korean Patients
Authors
문진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臨床保健科學大學院
Degree
Master
Abstract
빈혈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이로 인하여 치료가 지연될 뿐 아니라 피로, 현기, 식욕부진, 호흡곤란, 심혈관계 문제 등의 증상을 동반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치료의 필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빈혈의 치료 방법으로 1990년대까지는 수혈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으나 recombinant hematopoietic growth factor (epoetin alfa, darbepoetin alfa)의 개발 이후 이들 약제가 hemoglobin 농도를 상승시켜 수혈의 필요성을 줄이고 빈혈의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Epoetin alfa는 신장에서 분비되는 내인성 growth factor로 적혈구의 생성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므로 빈혈의 치료제로서 지난 십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Epoetin alfa는 혈중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일주일에 두세 번 주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darbepoetin alfa는 epoetin alfa보다 3배 더 긴 혈중 반감기를 가지므로 주사 투여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용법으로 인한 빈혈 치료에서 epoetin alfa와 darbepoetin alfa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hemoglobin 변화를 통해 두 약물의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두 군에서의 수혈 요구량 및 hemoglobin 반응율과 암종별 효과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04년 1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국립암센터에서 epoetin alfa 또는 darbepoetin alfa를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80명, 75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은 항암화학용법으로 인한 빈혈(hemoglobin ≤ 11 g/dL) 환자 중 폐암과 유방암 환자로 한정하였다. 두 약물 모두 피하 주사로 투여되었으며, 가장 흔하게 사용된 초기 용량은 epoetin alfa는 10,000 U씩 주 3회(88.7%), darbepoetin alfa는 100 ㎍씩 주 1회(86.7%)였다. 용량은 hemoglobin의 반응에 따라 조절되었으며 전체 환자 중 epoetin alfa는 30.1%(증가 1.3%, 감소 28.8%), darbepoetin alfa는 20.0%(증가 20.0%)에서 용량 및 스케줄이 변경되어 투여되었다. 대상 환자 중 치료기간 동안 적혈구 수혈을 받은 환자의 비율은 epoetin 군은 33.8%, darbepoetin 군은 26.7%로 epoetin 군에서 좀 더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모든 용량에서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epoetin 군과 darbepoetin 군의 기저 hemoglobin의 평균 농도는 각각 9.38 g/dL, 9.44 g/dL 이었다. Hemoglobin의 평균 변화량은 epoetin 군은 4주 후 0.40 g/dL, 6주 후 0.80 g/dL, 8주 후에는 1.26 g/dL 이었고 darbepoetin 군은 4주 후 0.29 g/dL, 6주 후 0.54 g/dL, 8주 후에는 0.47 g/dL 이었다. Hemoglobin 반응율은 epoetin 군은 4주 후 22.5%, 6주 후 42.5%, 8주 후에는 60.0% 이었고 darbepoetin 군은 4주 후 21.3%, 6주 후 34.7%, 8주 후에는 34.7% 이었다. Epoetin 군의 hemoglobin 변화량 및 반응율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치료 4주 후와 6주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8주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흔하게 사용된 용량(epoetin alfa 10,000 U 주 3회, darbepoetin alfa 100 ㎍ 주 1회)에서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저 hemoglobin의 평균 농도는 각각 9.31 g/dL, 9.42 g/dL 이었다. Hemoglobin의 평균 변화량은 epoetin 군은 4주 후 0.24 g/dL, 6주 후 0.37 g/dL, 8주 후에는 0.95 g/dL 이었고 darbepoetin 군은 4주 후 0.39 g/dL, 6주 후 0.62 g/dL, 8주 후에는 0.54 g/dL 이었다. Hemoglobin 반응율은 epoetin 군은 4주 후 16.7%, 6주 후 25.0%, 8주 후에는 47.9% 이었고 darbepoetin 군은 4주 후 24.1%, 6주 후 36.2%, 8주 후에는 36.2% 이었다. 두 군의 hemoglobin 변화량 및 반응율을 비교한 결과 4주 후와 6주 후에는 darbepoetin 군이 더 큰 것으로 보이고 8주 후에는 epoetin 군이 더 큰 것으로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암종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유방암과 폐암 환자 모두에서 epoetin alfa가 darbepoetin alfa보다 더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epoetin alfa는 10,000 U씩 주 3회, darbepoetin alfa는 100 ㎍씩 주 1회 피하 주사하는 방법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었으며, hemoglobin 상승에 대한 효과는 모든 용량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는 epoetin alfa가 더 우월하게 나타났으나 흔하게 사용된 용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Background. Anemia is a common complication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are growth factors that stimulate red blood cell(RBC) formation and approved and widely adopted for the management of chemotherapy-induced anemia (CIA)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patterns of use and effectiveness of therapy with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for CIA in Korean pati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charts at National Cancer Center in Korea for consecutive patients who received the first dose of either epoetin alfa or darbepoetin alfa between November 1, 2004, and September 30, 2005. Eligible patients were adults (≥18 years) with diagnoses of lung cancer or breast cancer and anemia (hemoglobin ≤ 11 g/dl) who were receiving concurrent chemotherapy and had at least 8 weeks of visits from November 2004. Results. Most (88.7%) of the 80 epoetin alfa-treated patients had received an initial dose of 10,000 units three times weekly, and most (86.7%) of the 75 epoetin alfa-treated patients had received an initial dose of 100 ㎍ once weekly and dosage was escalated for 30.1% of epoetin alfa-treated patients and 20.0% of darbepoetin alfa-treated patients after initial dose. The incidence of transfusion was slightly higher in all epoetin alfa-treated patients(33.8%) than all darbepoetin alfa-treated patients(26.7%). The mean hemoglobin concentration at baseline and at 4, 6, 8 weeks of treatment was calculated for the imputed approach. At all dosages, hemoglobin increased from baseline(9.38 vs. 9.44 g/dL) in the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groups at 4 weeks (9.78 vs. 9.72 g/dL), 6 weeks (10.20 vs. 9.96 g/dL), and 8 weeks (10.65 vs. 9.94 g/dL, p<0.05). Hemoglobin response (≥ 1 g/dL increase) was more common with epoetin alfa than darbepoetin alfa at 4 weeks (22.5% vs. 21.3%), 6 weeks (42.5% vs. 34.7%), 8 weeks (60.0% vs. 34.7%, p<0.05). At common dosages, hemoglobin increased from baseline(9.31 vs. 9.42 g/dL) in the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groups at 4 weeks (9.55 vs. 9.79 g/dL), 6 weeks (9.70 vs. 10.02 g/dL), and 8 weeks (10.29 vs. 9.99 g/dL). Hemoglobin response (≥ 1 g/dL increase) was less common with epoetin alfa than darbepoetin alfa at 4 weeks (16.7% vs. 24.1%), 6 weeks (25.0% vs. 36.2%). and more common at 8 weeks (47.9% vs. 36.2%). Conclusion. The most common dosage of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for CIA in Korean patients were 10,000 units three times weekly and 100 ㎍ once weekly, respectively. At all dosages, epoetin alfa was superior to darbepoetin alfa for the treatment of CIA in the clinical practice setting. At common dosages, the two agents appear to have similar clinical effect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