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다인병실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Title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다인병실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Model of a Multi-Bed Room in Geriatric Wards in General Hospitals
Authors
설우인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가족부양기능의 감소 등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장기요양병상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현재 과잉 공급되고 있는 종합병원의 일반병상을 장기요양병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다양한 분야에서 검토되고 있으며 실제 종합병원 내 일반병동 일부를 노인병동으로 기능전환하거나 노인병동을 포함한 종합병원을 신축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은 최근 새롭게 활성화되고 있는 건축유형으로 이에 대한 설계지침을 제시한 법률 및 정책, 문헌 및 연구자료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건축계획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대상으로 다인병실환경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향후 사례에 있어 기본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다인병실 공간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다인병실환경에 대한 분석은 제도적ㆍ환경적ㆍ사용자 차원의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다인병실 공간모형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과정은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에 대한 법률 및 지원정책을 확인하고 노인병동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다인병실환경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종합병원 노인병동 다인병실의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인병실 내부환경 및 운영체계에 대한 만족도와 기능공간별 이용현황 및 사용자요구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다인병실 공간모형은 다인병실 내부공간모형과 거주단위모형으로 구분된다. 다인병실 내부공간모형은 기본공간모형과 확장공간모형으로 분류되며 확장공간모형은 노인환자의 임상적ㆍ기능적 차이에 따라 자립생활형, 부분보조형, 완전보조형 노인환자를 위한 확장공간모형으로 다시 분류된다. 거주단위모형은 복도형에 따라 일반복도형, 확대복도형, 이중복도형, 순환복도형, 그룹형 거주단위모형으로 분류된다.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다인병실 공간모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성, 무장애성, 거주성, 안전성, 지원성 등 이론적 계획요소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국내 종합병원 병동부문의 건축계획상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국내 적용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거주단위의 개념을 새롭게 도입함으로써 노인환자의 신체적ㆍ정신적 범위를 반영한 공간을 조성하고 노인병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공간구성 및 공간경험이 획일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병원건축 개념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성 및 융통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에 대한 통합적인 설계지침을 제시한 연구사례가 많지 않은 시점에서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 입원환자의 거주환경을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공간이자 병동내부 기능공간 배치계획의 중심이 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는 다인병실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공간모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인병실 공간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한계점을 보완하는 연구와 함께 다인병실환경 이외의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There are increased demands for geriatric wards in general hospitals as an alternative to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a multi-bed room environment, which influences the residential conditions of inpatients and the arrangement of functional spaces, and suggesting the spatial models of a multi-bed room in geriatric wards in general hospitals. The spatial models of a multi-bed room, both inner and outer spatial models, are proposed in the analyzing process of examining laws and policies, investigating building conditions, and conducting the survey of users. Inner spatial models consist of a standard spatial model and three types of modified spatial models according to functional and symptomatic differences among inpatients. Outer spatial models are divided into five types of residential unit models according to the shapes of hallways. The followings are the features of the spatial models of a multi-bed room. First, the spatial models of a multi-bed room include essential design factors such as functionality, barrier-free environment, residentiality, safety, support for services. Second, they are suitable for the particularities of architectural plans in general hospitals in Korea. Third, they reflect homelike surroundings through applying the concept of residential unit to general hospitals. Finally, they offer diversity and flexibility with regard to spatial experience.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verify spatial models of a multi-bed room in this study and to suggest design guidelines for other functional spaces in geriatric wards in general hospit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