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6 Download: 0

꽃을 응용한 도자 조형 연구

Title
꽃을 응용한 도자 조형 연구
Authors
김세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람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조화로운 질서를 발견하고, 그 속에서 끊임없이 자아를 탐구하면서 얻어지는 감동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해왔다. 자연은 우리에게 삶의 기반을 마련해 주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예술적 영감과 창작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자연의 수많은 표현 대상 중 아름다움과 화려함으로 상징되는 것 가운데 꽃은 구속되어져 있지 않은 생명력과 함께 자유분방함 속에서도 신비로운 질서와 조화를 지닌 존재이며, 인간의 일상 속에서 기쁨과 여유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물질 문명화 되면서 점차 삭막해져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아름답고 연약해 보이지만 동시에 강인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어 우리에게 펴안함과 활력을 주는 자연 속의 꽃을 소재로 하여 그 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우리의 정신과 생활을 풍요롭게 해주는 조형적인 작품으로써 뿐만 아니라 생활에 널리 사용 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려고 한다.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풍요로운 생활 속의 현대인들에게 대량생산으로 인한 획일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각기 고유한 개성의 취향을 반영하고, 타인과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만족시키며, 소규모로 제작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도자 조형작품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자는 다양한 형태를 지닌 꽃이라는 소재를 응용하여, 꽃의 곡선적인 아름다움과 생명력, 편안함을 주관적으로 조형화하여, 우리 주위에서 좀 더 가까이 접할 수 있고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작업을 함으로써 미의 탐구 및 창조라는 예술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고, 꽃을 대신하여 혹은 그보다 더 큰 즐거움과 정신적 위안, 활력소가 될 수 있는 꽃을 응용한 도자 조형 작품을 만드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자연이 인간의 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예술과 연관되는지와 자연과 조형예술의 상호관계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고, 곷과 조형성에 꽃의 일반적인 고찰로 꽃의 상징성 및 구조와 특성, 꽃의 이미지와 조형과의 관계를 알아본 후 꽃을 조형화한 작품들을 연구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 꽃들의 여러 가지 형태를 새롭고 주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다양하면서도 부드러운 곡선 표현에 중점을 두어 꽃의 생명력을 이미지화 혀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꽃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운 질감과 우아한 선의 이미지를 흙의 부드러운 물성을 이용하여 얇게 제작한 판이나 핀칭, 혹은 이장주입성형방법으로 나온 형태를 구부려 자연스러운 곡선을 표현해보고자 한다. 태토는 백색토가 뛰어난 백색 자기질 점토(silk white clay, ultra super white clay)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투명유를 기본으로 안료<작품 2, 4>와 탄산동을 섞은 투명유<작품 2,3,9,10>과 자주색유<작품6, 7, 10>, 흑유<작품 6, 8, 9>, 흑청색유<작품 7, 10>, 청록색유<작품 7, 9, 10> 등을 시유하였다. 1차 소성은 0.21m3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 850℃로 8시간 동안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21m3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1250℃로 12시간 산화염에 소성하였다. 작품<4, 6, 7, 10>은 2차 소성으로 0.035m3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 1250℃로 12시간 30분 동안 환원염 소성하였다. 또한 자주색유로 시유한 <작품 6, 7, 10>은 같은 가마로 최고온도 1260℃로 환원염을 소성하였다. <작품 3, 6, 8>은 3차 소성을 하였는데 수금으로 장식한 후 800℃로 7시간 동안 소성하여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꽃은 풍부한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지닌 소재로서 연구자의 상상력과 조형의식을 표현하는데 무한한 가능성을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제작 과정을 통하여 점토는 자아를 표출함에 있어서 소박하고 진실 된 언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창조적인 조형작업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었다.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 안에서 항상 접할 수 있는 것은 눈으로 봐서 즐거움과 동시에 마음으로도 행복감과 정신적 위안을 줄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이처럼 도자 작품은 생활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우리와 밀접하게 교류함으로서 더욱더 아름다워지며, 보는 것에 그치는 감상용이 아니라, 경험하고 느끼는 생활에서 묻어나는 것이며, 이러한 아름다움과 생활을 결부시키는 것이 진정한 도예임을 인식하여 앞으로도 도자 조형작품이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서 더욱 친근한 존재가 되고 높은 가치를 부여 받을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원한다.;Nature is the foundation of human life and through it we are awakened by a sense of beauty that inspires people to create. For this reason, human beings discover peaceful discipline within nature and thus they harmonize with it. Infinite creativity is explored to express overwhelmed emotions found in nature through art. For this particular study in ceramics, beauty and elaborateness found in nature is expressed by focusing on floral motifs. In those attempts, the nature providing stories and inspiration, has been an object to be expressed with prolonged endeavors of artists beyond a spirit of the time and a medium of expression. In particular, flowers the masterpiece of the nature, has been the existence featuring mysterious beauty as it is called one of the best work don by the God. The social development and the abundance of material in our current period has standardized mass production only to put more emphasis on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contemporary tendency by concentrating on individual character so that there is a market for more unique ceramic objects, reflecting on the distinct features of an individual with a handcrafted quality. The study concentrates on peacefulness, freeness, comfort and organic beauty found in the curves of different flowers. In large, the study is an attempt to observe aesthetical beauty in nature to be translated into art. For this, the study has researched on the effect of nature in art in association with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form. The biological aspects of flowers have also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o understand the different functions. In addition to this, ceramic works based on the same theme have been observed for reference material, followed by a research on ceramic object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in clay, a subjective observation on flowers was created. Particularly concentrating on the curves found in flowers to produce a design that has life. The softness and organic curves of flower petals were expressed by incorporating the slab-building and pinching techniques in ceramics. In addition to using the slip-casting methods where forms made from plaster molds were later altered. For these designs white porcelain clay bodies (silky white and ultra-super white) were used. A transparent glaze was used as the basic glaze. The work <2, 4> color stains were added to the transparent glaze. Others such as a cinnabar , copper carbonate and black glazes were also applied depending on the style of work. The work<3, 6, 8> have gold leaf decorations also. The biscuit firings were conducted in a 0.21 m³ electric kiln. The temperature for this was 850 °c and the firing was for eight hours. The second glaze firing was conducted in the same electric kiln with a temperature of 1250 °c, for twelve hours. This was an oxidation firing. Some of the works were also fired in a 0.035 m³electric kiln to reach a temperature of 1250 °c in twelve hours and thirty minutes in a reduced condition. Works applied with the cinnabar glaze were also put in a reduction firing and they were taken up to 1260 °c. There were also works that were fired three times. These have gold leaf decorations and they were fired to 800 °c in seven hours. The study has shown that flowers possess a diversity is beauty and because it is a living theme, it provided amply source of inspiration and infinite possibilities in art. Furthermore it has widened the imaginative scope and has also proven that clay is a material that retains its own disciplin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is tendency. In our living environment, we are constantly searching for things that please the eye simultaneously as calming the mind through content and satisfaction. So ceramic objects should not solely concentrate on visual effect but they should also include elements that can allow individuals to experience. This is the task of a crafts person and the study hopes for more future developments in this field to establish a base for ceramic obj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