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명동지역 상업적 인터페이스의 유형별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명동지역 상업적 인터페이스의 유형별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commercial interface of Myung-dong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영국 도시들을 대상으로 중심거리의 고유성을 분석한 결과, 획일화되어가는 복제도시(Clone Towns) 현상이 NEF(New Economics Foundation)에 의해 관찰되었다. 복제도시 현상은 중심상업거리에 각종 글로벌 또는 내셔널 체인점이 난립하여 지역의 고유성이 없어져 버리는 것을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의 42%가 이미 복제도시 현상을 보이며 26%는 복제화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현상은 영국에서만 일어나는 특이성이 아닌, 글로벌 브랜드와 내셔널 체인점의 지역 점유에 의해 전 세계의 도시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이것은 서울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현재 서울 도시 내 주요 상업건물들은 브랜드, 지가, 접근성 등의 경제적 요인들로 인해 변화되어왔으며, 지금도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으로 인해 도심의 중심 상업지구들은 그 특색을 상실한 획일적 모습을 띄고 있다. 이것은 도시의 세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필수불가결한 현상으로 상업지구의 발전과 맞물려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건물자체를 한정시킬 뿐 아니라, 블록 전체의 이미지, 나아가 도시전체의 이미지를 한정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필지의 특성과 상업 공간 안에서의 자체 특이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것을 드러내지 못하고 글로벌, 내셔널 브랜드의 점유에 의해 점차 획일화되어가고 있는 명동 상업지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현재의 명동은 글로벌 브랜드, 내셔널 브랜드에 의해 잠식된 복제화 현상이 일어난다고 보고, 복제화가 단순히 획일적인 현상으로 일어나는지, 아니면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일어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지금의 명동의 거대 상권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을 필지의 측면과 상업시설의 측면에서 살펴본 후, 위의 특징들을 대변할 수 있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특성들을 조사해보도록 한다. 현대의 명동은 더 이상 계획에 의한 변화가 아닌 경제적 요인에 영향으로 특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이를 파악하기 위해 명동의 도시조직 계획단계가 끝난 이후인 197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필지의 분필, 합필 과정을 모두 살펴보고, 필지에 자리하는 건축물과의 관계 파악에 주력하여 명동 상업 시설의 특성을 연구하도록 한다. 대상지의 규모, 유동인구, 공시지가, 브랜드 등 물리적, 경제적인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명동 상권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 각 대상지를 대표할만한 유형을 선출해 좀 더 구체적인 분석 및 유형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명동상권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규명하고 브랜드에 의해 잠식되어 감에도 불구하고 유지되고 있는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상기 현상들이 단일화에 대해 어느 정도 완충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현상은 브랜드에 의한 복제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획일화 과정도 그 지역적 특성들이 반영되어 그 단면을 드러낸다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내포하기 때문에 연구에 의의가 있다. 서울 중구 명동의 상업시설의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살펴본 본 연구를 바탕으로 상업지역이 글로벌 브랜드 혹은 내셔널 브랜드 등으로 잠식되어 본연의 특성을 드러내지 못하고 몰 개성화되는 문제를 완화시킬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commercial buildings in Seoul were changed by Global brand and other economical factor. On this account, buildings in the outer block lose their own characters. This phenomenon limits building's surface, image of block furthermore image of city. This study is about the main street of Myung-dong, and it propose the possibility of new interface of Myung-dong's characteristic commercial buildings by analyzing the main street of Myung-dong and applying features of commercial buildings of Myung-dong. Boundary of time is from the Myung-dong street consist of middle, high price and middle sized shops targeting from twenty to thirty when before the IMF period, to low, middle price and small shops targeting teenagers when after the IMF period. A subject of investigation of area are an entrance of Myung-dong, which is the point of Myung-dong's commercial right, and from Utozone to a main road which is connected the member for subway lin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field survey for the buildings of the main streets in Myung-dong area was done. They were analyzed as their built age, scale, function, story and their 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