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selection of the fundamental vocabulary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uthors
이수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영빈
Abstract
It is commonly admitted that further importance should be placed on the knowledge on vocabulary. At the same time, it is commensurately crucial to study of vocabulary from textbooks as the primary source of language education. However, so far the studies concerning on vocabulary have focused on the limited perspective, which purpose is merely to enumerate what are repetitive words among such textbooks. In order to delve the characteristic on vocabulary with the analytical view, this thesis will devote itself to the suggestion of the list on the educational vocabulary, which is useful in practical learning. This thesis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shows the limitation of the established studies on vocabulary among the textbooks and the necessity of a new analytical list, introducing the purpose and methodological guide of this thesis. Chapter 2 presents the concept of the fundamental vocabulary and the criteria of its selection. It has been the main problem that the three definitions―the basic vocabulary, the fundamental vocabulary and the fundamental vocabulary with the educational purpose―have been used confusedly. By overhauling the previous criteria to select such vocabulary and suggesting the standardized view on the frequency and the productive capacity among textbooks, this chapter attempts to offer the more definitive concept. This concept is also clarified through the amount of vocabulary on the word list, which is related to the rate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a language Chapter 3 focuses on the methods to analyze and to classify the vocabulary on the textbooks. The explanation of the other lists to be compared and analyzed tells whether the list of this thesis is appropriate. In this point, this chapter examines Word List by Semantic Principles (1964) as a standpoint to classify vocabulary and other previous lists providing various criteria to compare such vocabulary. In chapter 4, first of all this thesis categorizes an established word list and the words from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part of speech and semantic field with the guide of Word List by Semantic Principles. Secondly, it shows the rate of the three parts on vocabulary among the textbooks: the common vocabulary that pervades overall textbooks, the overlapped vocabulary that appears repetitively in the limited sources, and the exclusive vocabulary that is found on a particular textbook. Thirdly, the examination on the common vocabulary and the exclusive vocabulary reveals the frequency and the productivity of each vocabulary on the basis of KAIST corpus. At last, the comparison among the established lists on vocabulary provides the way to determine whether the common vocabulary can be regarded as a tentative list of vocabulary. Despite few but ignorable differences, this chapter finds out that the vocabularies from the established word list and the three textbooks share th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generally. Furthermore, the frequency and the productivity of a certain part of the uncommon vocabulary are occasionally but considerably high as well as those of the common vocabulary, although it is undisputable that the latter go beyond the former generally. The common vocabulary does not contain any problem structurally, in looking into its repetition with other lists on word and its level. From such analysis, this chapter concludes that the common vocabulary can be useful as a tentative list on vocabulary if some part of the semantic field is reinforced. Chapter 5 reanalyzes synthetically the conclusion of each chapter and illuminates the significances of this thesis. The first significance lies on the fact that this thesis testifies the reliability of the vocabularies from the established list and the textbooks, and suggests newly a list to qualify the fundamental vocabulary. The clarification of textual vocabulary through the systematic verification of vocabulary from the textbooks is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which makes a classification of such vocabulary depending on the part of speech and the semantic field. This work answers to the followings: on which range is textual vocabulary on the point of the part of speech and the semantic field, and whether the vocabulary selected by the textbooks i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the productivity. From these significances I believe that this thesis can provide more reliable list to determine any vocabulary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모든 문법 지식을 익히더라도 어휘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부족할 경우 학습자가 원하는 만큼의 의사소통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 만큼 어휘에 대한 지식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휘에 대한 연구 또한 다양하며 다각도에서 이루어져야 하나 국내의 연구는 어휘의 교육 방안 등에 치중되어 있어 어휘 그 자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제한된 양의 어휘를 학습할 수밖에 없는 학습자에게 객관적이고 타당한 기준으로 선정된 어휘를 제공해야 하므로 교재와 어휘목록의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재 어휘의 구성을 분석하여 현 교재의 어휘에는 어떠한 어휘가 수록되어 있는지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어휘가 될 수 있는 어휘목록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재와 어휘목록의 어휘 선정에는 어떠한 기준이 필요한지 고찰해보고 선정한 어휘목록의 일부분을 이 기준으로 검토하여 어휘목록으로서의 적합성을 밝혔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 중 교재 어휘와 관련된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기존에 발표된 어휘목록을 어휘의 수집과 선정 방법, 선정된 어휘의 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기본어휘의 개념, 선정 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기초어휘/기본어휘/교육용 기본어휘의 개념을 살펴보고 여러 선정 기준을 검토하여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빈도와 생산력이라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나의 어휘목록은 어느 정도의 어휘를 포함해야 하는지 커버율과 관련하여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교재 어휘를 분석하고 분류하는 방법과 이를 비교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하였다. 어휘를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분류어휘표』(1964)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사용 이유를 밝혔다. 또한 본고에서 제시할 어휘목록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한 김광해(2001), 신민철(2000), 조남호 외(2003)의 어휘목록과 「일본어교육을 위한 기본어휘조사(日本語?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에 수록된 「기본어 60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기본어휘 후보 목록 5000」과 교재에 수록된 어휘를 『분류어휘표』(1964)를 기준으로 품사별, 의미분야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교재에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공통어휘와 일부에만 중복되는 중복어휘, 각 교재에 고유하게 나타나는 비공통어휘가 어떤 비율로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공통어휘와 비공통어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KAIST 코퍼스를 이용하여 빈도와 생산력을 기준으로 공통어휘와 비공통어휘의 성격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공통 어휘가 하나의 어휘목록으로 제시할 수 있는지의 가치를 검토해 보기 위해 기존에 발표된 어휘목록으로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한국어 기본어휘 후보 목록 5000」과 세 종 교재의 어휘는 전반적인 구성이 비슷하였으며 공통어휘와 비공통어휘도 그러하였다. 또한 빈도와 생산력에서는 공통어휘가 비공통어휘를 크게 웃돌았으나 일부 비공통어휘는 공통어휘 만큼 높은 빈도와 생산력을 보였고, 이러한 어휘를 공통어휘에 보강해보았다. 또한 공통어휘는 구성 면에서나 다른 어휘목록과의 중복, 혹은 등급 고찰을 통해서 보아 큰 문제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의미분야의 어휘를 보강한다면 하나의 어휘목록으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Ⅴ장에서는 이상에서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재분석해보았다. 서울대 어휘의 경우 어휘수도 적당하며, 비공통어휘의 수와 빈도, 생산력 면에서도 뚜렷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연대 교재의 어휘는 전체 어휘가 다른 교재보다 적게 나타났으나 일부 의미분야에서는 비공통어휘가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공통어휘의 빈도와 생산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교재의 비공통어휘보다 교재 어휘로서 적절하였다. 전체 어휘수가 가장 많았던 이대 교재에서는 비공통어휘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이 어휘들의 빈도와 생산력은 연대나 서울대에 비해 조금 뒤쳐지는 것으로 나타나 비공통어휘를 어느 정도 제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통어휘는 기존의 어휘목록과의 비교를 통해 (.3) 인간활동 정신 혹은 행위의 어휘는 일부를 조정하고, (.4) 생산물 및 도구, (.5) 자연-자연물 및 자연현상의 어휘를 보강하면 부족하나마 하나의 기본어어휘 목록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세 종의 교재 어휘와 기존의 어휘목록을 이용하여 선정한 공통어휘를 빈도와 생산력을 바탕으로 그 성격을 밝히고 안정성을 시험해본 후, 기존의 여러 어휘목록과의 비교를 통해 신뢰성을 검토하여 그 목록을 하나의 가능성 있는 기본어휘로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기본어휘후보와 교재의 어휘를 품사별, 의미분야별로 분류하여 교재 어휘가 어떤 품사와 의미분야에 어느 정도 분포하여 있는지, 교재에 선정된 어휘가 빈도와 생산력이라는 기준에서 얼마나 타당하게 선정되었는지를 밝혀 교재 어휘의 성격을 드러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