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무슬림 여성에 대한 선교적 이해

Title
무슬림 여성에 대한 선교적 이해
Other Titles
A Study on Evangelical Understanding of Muslim women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재옥
Abstract
선교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교 대상 지역의 사회에 대한 연구는 당연한 것이다. 선교 대상 지역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선교사들이 자문화 중심적인 사고방식으로 선교를 하게 될 경우, 그것은 선교의 문을 열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그 문을 닫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이슬람이 서양에서 본질적으로 잘못된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다고 한다. 재현이라고 하는 것은 재현하는 사람이 속한 언어, 문화, 제도 및 정치적 환경에 포함되기 마련이어서 ‘진실’외의 여러 사항과 얽혀지고 결합되어 왔다. 사이드가 말한 것처럼 서양학자들은 식민지 정책과 제국주의의 우월성을 합리화 하기위해 이슬람을 억압의 종교로만 언급해 왔고 아시아 그리스도인조차 자문화 중심적인 서구의 많은 저작들로 인해 무슬림 여성들을 인식하고 그들 문화를 비판해 왔다. 반면 이집트의 이슬람 학자 레일라 아흐메드(Leila Ahmed)는 이슬람 여성의 베일착용, 일부다처제, 여성의 격리 등이 지금까지 행해져 서구의 비난을 받고 있으며 이런 제도들이 이웃 문화들과의 접촉에 의해 생산되고 축적된 산물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서구가 비난하는 무슬림 여성들에게 행해진 실천들은 실제로는 보호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며 이슬람 문화에 대해 방어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주장 속에서 어느 관점을 가지고 무슬림 여성을 이해하느냐에 따라 선교의 방법과 태도가 달라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선교를 위해 무슬림 여성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요구되었고 각 시대마다 무슬림 여성의 현실적 위치와 역할이 시대적 상황과 제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관한 문제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무슬림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자힐리야 시대의 여성들이 정치, 사회, 가정의 영역에서 소외되어 왔고 이슬람의 출현으로 여성의 지위가 상승되었는지 아니면 자힐리야 시대에도 여성들에게 권한이 있었는지를 꾸란과 그 시대의 문학을 통해 알아 볼 것이다. 그리고 이슬람 초기에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상당부분 보장되었다는 주장을 무함마드 부인들의 활동과 꾸란을 통해 알아보고 이슬람 확장기에 가부장적 남성권력에 의해 낮아진 여성의 위치를 꾸란과 샤리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대 이슬람 국가 중 두 나라를 선택하여 서로 다른 무슬림 여성들의 상황을 알아봄으로 현제 무슬림 여성에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대한 여성 선교사의 역할에 대해 제언해 보고자 한다.;Because evangelization is targeting people, it is natural to study the society of areas to be evangelized. If missionaries preach based on their own culture without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target areas, their efforts may close the door of evangelization rather than opening it. Edward Said argued that Islam had been represented in fundamentally wrong ways in the Western world. Because representation is naturally subject to the language, culture, system and political environment to which the representing persons belong, it has involved many things other than ‘truth.’ As Said mentioned, Western scholars described Islam as a religion of suppression in order to rationalize colonialism and imperialism and, because of many Western centered writings, even Christians have recognized Muslim women and criticized their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ir own culture. On the other hand, Egyptian Muslim scholar Leila Ahmed maintained that Islam women have been being criticized by the West for their wearing of a veil, polygamy, isolation of women, etc. and these systems are the outcome of contact with neighboring cultures. In addition, taking a defensive attitude for Islam culture, he viewed that practices on Muslim women criticized by the West are actually measures for protecting them. In these conflicting contentions, the method and attitude of evangelization change according to what viewpoint we take in understanding Muslim women. As the objective understanding of Muslim women are required for effective evangelization,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Muslim women’s practical position and role have changed over time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 and system. We will study through Koran and literature in the corresponding age whether, as argued by Muslim scholars, women in the age of Jhiliyyah had been alienated in the areas of politics, society and home, whether their position was improved with the rise of Islam and whether women had rights in the age of Jhiliyyah as well. In addition, the contention that women’s position and role were considerably guaranteed in the early age of Islam will be examined based on the activities of Muhammad’s wives and Koran, and women’s position, which was lowered by patriarchal men’s power during the expanding age of Islam, will be studied through Koran and Sharia. What is more, we will enhanc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Muslim women by selecting two Muslim countries and investigating the different situations of Muslim women in the countries, and make suggestions on the role of women missionarie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