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조선후기 서울 기생의 기업(妓業) 활동

Title
조선후기 서울 기생의 기업(妓業) 활동
Other Titles
The Business Activities of Seoul Kisae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조재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준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 서울에서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기생의 기업(妓業) 활동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현시대에 더욱 추상화되어 가는 기생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출발했으며, 이를 위해서 기생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조선후기를 그 시대적인 배경으로 한다. 조선후기의 사회.경제적인 성장은 문화.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주어 기생의 활동에 변화를 야기했기 때문에 조선후기 기생의 활동을 살펴보기 전에 사회경제의 변화 과정과 그 영향을 고찰하였다. 주로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다양한 관찬 기록과 개인 문집을 자료로 활용했고, 문헌 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구체적인 모습은 풍속화를 통해 재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는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여 서울이 상업도시로 변모하면서 도시 구성원의 계층과 직업은 다양하게 분화되었다. 그 중 경제적으로 성장한 상인층과 중인층, 그리고 경아전(京衙前)층은 도시의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여, 경제력을 바탕으로 서울의 향락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주도하였다. 둘째, 조선후기에 도시민의 취미와 여가 생활의 발전은 기악(妓樂)의 수요를 창출했다. 이 시기 국가에서 주어진 역할이 축소된 서울의 기생은 민간의 폭발적 수요에 응할 수 있게 되어 민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게 된다. 조선후기 기생의 영업 공간으로 새롭게 등장한 기방(妓房)에서 기생은 기예를 제공하고 술을 판매하고, 고객과 성적 관계를 맺었다. 셋째, 지방에서 올라온 기생들에게 의식주를 제공하면서 기생을 장악한 일부 중간계층이 금전적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기방을 열고 기방을 지배하였고, 기방을 찾는 주고객 역시 중간계층이었다. 그러나 기방에는 양반에서 천민에 이르기까지 조선사회의 전 계층의 남성들이 기생과 유흥을 즐기고자 출입하여 기생이 조선전기에 왕실과 사대부층을 상대했던 것과 달리 조선후기에는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기방 활동을 통해 기생은 많은 대중들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존재가 되었고, 도시민들은 기생을 직접적으로 상대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각 계층의 사람들은 기방에서 상품화된 기생의 성과 기예를 체험함으로써 기생의 성격을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기생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전반적으로 저하되었다. 본고는 기생의 성을 향유하는 방식이 유교와 신분 제도의 틀이 아닌 사회경제적인 구조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조선후기에 기방에 각 계층의 남성들이 출입하면서 기생과의 유흥이 대중화된 사실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how kisae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id their businesses for city residents in Seoul. Central to this issue is the character of kisaengs in mokern society : it is abstract and ambiguo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haracter of kisaeng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business of kisaeng became prosperous. So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n the late Joseon Dynasty largely affected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and in turn, it made changes in kisaengs' activities. So, I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economy and society and the effects prior to the examination of their activities. I focused on studying documents and used Joseonwangjosillok,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 variety of government-written records and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so that I was able to confirm their specific appearances with Korean traditional drawings, which these documents materials l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late Joseon Dynasty had seen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the transformation of Seoul into a commercial city brought about the diversification of the classes of its members and their jobs. Emerging as a new force in the city, the middle class who accumulated wealth and the low-ranking official class led the formation of a leisure environment in Seoul on the basis of their wealth. Second, the development of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city members created demand for the performance of kisaengs. Kisaengs in Seoul, who had less service duties given by the Dynasty, were able to meet the explosive demand from the public and carried out active activities. At kibangs, which were introduced as new business places for kisaengs, they offered music and dancing, sold alcohol, and made sexual relations with their customers. Finally, it is clear that some of the middle class took an important role in the business activities of kisaengs : they not only supported kisaengs from rural areas as giv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controlled. They opened and managed kibangs in order to earn money, and the primary customers using them were also people in the middle class. However, kibangs were places where all kinds of men of the Joseon Dynasty from low-class people to the nobility went to and enjoyed entertainment with them. Compared with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only royal people and the nobility who was called "Sadaebu"s could enjoy the service of kisae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y members were also able to get access to kisaengs. With the opening of many kibangs, common people were more easily able to get access to kisaengs, and in this process, the overall social estimation of kisaengs became low because all classes of people started to recognize what characters they have as people experience the service of kisaengs. This study is meant to have contemplated the way to enjoy sexual relations with kisaengs through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frame based on Confucianism and social position system. Moreover, this study is meant to have confirmed the fact that with all classes of men's visits to kibangs, entertainment with kisaengs becam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