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학년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Title
학년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Authors
신진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comparing third and fourth grade with fifth and sixth grade in elementry school, we are to know that how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affects to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and what the develop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is, as the grade goes up. These below are the hypothesis. Initially, it may have static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Secondly, as the grade goes up, there may be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Finally, there may be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concern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population statistics. A survey was done to the children in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at three schools in Seoul to be sure of the hypothesis above from May, fourth, 2005 to May, ninth, 2005.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applied to the questionnaire that was submitted from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se Firstly, there is static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In addition, there is static correlation between sub-field of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That means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the better the probability of children's adaption to the school is. Secondly, the result shows that the children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who don't reach the age of puberty have higher self-esteem than the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Especially,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as to the self-esteem of physical ability, appearance, scholar, personality, and family. Moreover, even though there is subtle difference to the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school lesson, and school rules of the children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Thirdl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s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population statistics, the only child has higher self-esteem than the child who has brothers or sisters. As th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nd the domestic circumstances are better, the children has higher self-esteem than those who are not. As to the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girls are faster to adapt to the school life than boys. In addition, the better the domestic circumstances and th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re, the faster the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children is. And the children who are living with both of their own parents have higher self-esteem and are faster to adapt to the school life than those who are under their lone mother or father and those who are under divorced family. The conclusion is that the self-esteem of children affects to the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them. We are able to find out the self-esteem and the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the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who reach the age of puberty become lower . Therefore, the parents or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hig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change of the children who are in puberty so as to foster their self-esteem. And basically, it can lead the children in the age of puberty to rapi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본 연구에서는 사춘기의 영향으로 아동기말 자아존중감이 저하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사춘기에 접어들지 않은 초등학교 3,4학년 아동과 사춘기에 접어든 5,6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을 비교함으로써 사춘기를 겪으면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이 어떠한 발달적 차이를 보이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수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위 연구가설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3, 4,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2005년 4월 4일부터 4월 9일까지 약 6일에 걸쳐 설문을 작성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들은 빈도분석, t검증, 상관분석, 일원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영역간의 관계에서도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위영역과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영역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적응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춘기에 접어들지 않은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5,6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신체 외모 자아존중감, 학업 및 전반적인 자아존중감, 성격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학교수업, 학교규칙 영역에서는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이 5,6학년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교우관계는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이 5,6학년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수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외동인 아동이 형제가 있는 아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부모님의 학력이 대졸이상인 경우 학교생활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가족관계에서 보면 편부모가정이나 이혼한 부부의 아동보다는 양쪽부모가 양육을 공동으로 부담하는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사춘기를 겪으면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둔 부모나 교사들은 아동들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사춘기로 인해 낮아질 수 있는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