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중학교 1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의 한국민요 내용 분석

Title
중학교 1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의 한국민요 내용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eacher's Guide Book on the Content of Korean Folk Song for 7th Grade Curriculum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민요교육은 학교 전통음악 교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일선 현장에서 가르칠 때 어려움을 겪는 부분 중 하나로, 이에 대한 보충자료로서 교사용 지도서를 사용한다. 교사용 지도서는 민요에서 가르쳐야 할 개념에 대한 풍부한 보충자료를 제시하고, 개념과 통합된 활동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지도내용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에 따르면 수업에 활용 할 수 있는 자료의 제시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므로 교사용 지도서가 제 역할을 담당하기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행 중학교 1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민요 내용들을 분석함으로써 내실있는 민요수업을 위한 풍부한 보충자료로서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교사용 지도서 9종에 수록된 민요를 5개 지역권으로 나누어 빈도수가 높고 대표성을 가진 민요를 선정하였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민요 지도내용을 기준으로 현행 9종 음악교사용 지도서들에 나타난 연구대상의 지도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민요의 학습내용으로 지도해야 할 개념들로 민요음계, 시김새, 장단, 형식, 창법, 지역별 음악적 특징 등으로 상세화 하여 제시하고 있었으며, 지도서에서는 이 개념들이 지도목표로 제시되어 있었고, 각 개념의 내용은 지도전개에서 활동과 통합하여 제시되었다. 그러나 내용의 제시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요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보충자료로서 자료제시가 부족하거나 지도목표와 지도전개에 제시된 내용이 일관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시김새에 대한 내용 제시에서 남도민요를 제외한 다른 지방 민요의 시김새에 대한 자료 제시는 명확하지 않고, 불충분 하였으며 또한 자세, 호흡, 발음에 대한 자료는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내용상의 오류가 있는 부분이 일부 있었으며, 표기의 오류나 잘못 기재된 글자도 있었다. 셋째, 민요의 반주악보로 피아노 반주만 제시하거나, 반주악보 자체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장단의 기본장단과 변형장단을 익히도록 제시하고 있으나 반주악보에 기본장단만 제시한 경우가 있었다. 넷째, 지도서에 제시된 민요악보는 통일성이 부족 하였다. 같은 민요곡이 지도서 마다 다른 조성으로 채보되어 제시된 경우가 있었고, 장단을 다르게 제시한 경우도 있었다. 다섯째, 참고자료로 적절한 자료가 제시되지 않거나, 연계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상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서 민요 부분을 살펴보았다. 교사용 지도서는 전문가들이 교육과정에 맞춰 출판하였으며, 정부에 의해 인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요 지도내용의 설명 중 지도에 충분한 참고자료로서 부족한 부분이 있었고, 내용상의 오류도 발견되었다. 앞으로 전개될 제8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사용 지도서 편찬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참고하여 내실있는 민요수업을 위해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참고자료로서 교사용 지도서가 편찬되기를 바란다.;In the Korean music education scene, music teachers at present day ar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Naturally, the teaching of Korean Folk Song which comprises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lso suffers from the lack of resources and creative methodologies. When faced with the tasks of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any subject, teachers frequently consult the Teacher's Guide Book. Therefore, the Teacher's Guide Book must to be a resourceful and effective tool which includes both the conceptional framework, practical teaching methodologies, and other contents to aid the lesson planning of the instructor.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Teacher's Guide Book for 7th grade music curriculum, there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eacher's Guide Book as well as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using the Teacher's Guide Book.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from the 9 Teacher's Guide Books, Korean Folk Songs found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eir 5 native reg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s the most represented Korean Folk Songs while the lesson guidelines given by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served as the comparative reference to the Teacher's Guide Books on such Korean Folk Songs for their methods, contents, and consistency. The overall result point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re was a general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lesson guideline from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9 Teacher's Guide Books, in terms of conceptional framework and teaching instructions. However, there were also some aspects of shortcoming: First, there were found some insufficient theoretical explanation on the Teacher's Guide Books. Whil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d upon the components of attune - scale of Korean Folk Music as well as "Si-Gim-Sae". With the exception of Nam-Do Folk Music, there was relative weakness in teach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Gim-Sae". In addition, almost no material touched upon the proper posture, breathing techniques, and announciation when singing Korean Folk Songs. Second, the Teacher's Guide Books neglected the variations of tempo by only demonstrating the most basic type despit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trongly encourages the teaching of tempo variations. Third, from some of the Teacher's Guide Books, entirely incorrect information and/or typos were found in their contents, subsequently, mis-leading the students. Fourth, there seemed to be inconsistency and/or discrepency in terms of the actual music printed among the different Teacher's Guide Books, thereby confusing the students learning the same folk songs. Fifth, there were found some occasions in which the supplementary materials and the examples used did not correspond accordingly to the learning goal, reducing the affectiveness of teaching. In sum, even with the educational expertise and government cert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9 Teacher's Guide Books did have elements of imperfection in their materials to teach the 7th grade students Korean Folk Music. The major types of deficiencies were: 1. Lack of clear academic and theoretical explanation & 2. Entirely incorrect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by conducting such a study as this, the educati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ould not only be more and more accurate and effective in the contents but also serve as the useful tip in creating supplementary materials for the upcoming 8th National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