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이승희-
dc.creator이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61-
dc.description.abstract문학 작품에는 그 언어 사회의 문화적 상징이 녹아 있다. 문학 작품을 읽어나갈 때 그 속에 담겨 있는 문화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 여부는 작품 전체 이해와 결부된다. 그러므로 문학 교육을 통해 언어, 언어 사용, 문화 이 모두를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은 언어를 매개체로 한 문화로서 언어 교육에 있어 그 의미와 역할이 크다. 이러한 점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 차시의 읽기 수업에서 충분히 다룰 수 있는 짧은 분량이면서 한국 문화가 그대로 녹아있는 이야기를 대상으로 그 읽기 교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읽기 과정에 작용하는 요인을 크게 텍스트 측면과 독자 측면으로 나눌 때 텍스트 요인으로는 텍스트의 구조나 내용 등을 들 수 있고, 독자 요인으로는 독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배경 지식, 텍스트를 읽는 독자의 목적, 전략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전통 이야기를 접할 때 독자로서 가지고 있어야 할 기존의 배경 지식이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는 텍스트 구조, 즉 이야기 구조라는 텍스트 요인 측면을 강화시켜 내용적인 배경 지식의 부족에서 오는 간극을 메우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고 그것을 실제로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대해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이야기라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의 개념을 밝히고 이야기 구조와 이야기 구조를 생성하는 통사적 규칙이면서 의미 해석 법칙이기도 한 이야기 문법, 그리고 형식 스키마로서의 이야기 스키마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고에서는 스타인과 글렌(Stein and Glenn)의 이야기 문법에 의거해 이야기를 분석했는데 스타인과 글렌(Stein and Glenn)의 이야기 문법은 이야기가 배경, 계기가 되는 사건, 내적 반응, 시도, 결과, 반응의 6범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Ⅲ장에서는 이야기 구조의 종류를 나누고 각 종류에 속하는 이야기를 실제로 이야기 문법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몇 개의 단어나 문장으로만 이루어진 실험용 글이 아닌 실제의 이야기는 단 한 개가 아닌 여러 개의 일화가 모여서 하나의 이야기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때 일화들이 연결되면서 어떠한 관계로 연결되는지에 따라 스타인과 글렌(Stein and Glenn)은 then 구조, because 구조, and 구조로 각 구조를 나누어 명명했다. 본고에서는 스타인과 글렌(Stein and Glenn)의 이야기 구조에 따른 순차(then) 구조, 인과(because) 구조 외에 복합 구조를 첨가하여 이야기 구조를 나누었다. 그리고 학습자가 이야기 구조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이야기 형식 스키마 활성화 전략에 대해서도 알아 보았다. 구체적인 전략으로는 이야기 구조에 따른 질문 전략, 이야기 구조 도해 조직자 전략, 요약하기 전략 등이 사용되었다. Ⅳ장에서는 교실 현장에서 이야기 구조를 이용한 이야기 읽기 교수 방안을 적용해 보았다. 실험은 서울의 모 사설 한국어 교육 기관의 초급 후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 비교 집단 각 16명씩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이야기 구조를 이용한 이야기 읽기 교수 방안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그렇게 하지 않은 비교 집단 보다 전반적인 이야기 이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것은 순차(then) 구조, 인과(because) 구조, 복합 구조의 각 이야기 구조별 이해 능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이야기 구조 중 계기가 되는 사건, 그에 대한 주인공의 내적 반응, 그에 따른 주인공의 시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것은 이야기 구조를 이용한 이야기 읽기 교수가 학습자로 하여금 이야기를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총체적인 회상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Ⅵ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연구 성과들을 요약,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에 연구할 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Literature includes its own cultural symbols. In the way of reading,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cultural factors in the literature. Therefore, languages, uses of language and cultures can be taught integrally by instruction of literature. Hence, literature plays a role as a cultural medium of language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This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reading skills using stories which are short enough to be handled in a reading class but has Korean cultural aspects in i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rocess of reading are divided into Text and Reader. While text factors are structures and contexts, reader factors are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purpose and strategies of reading. In case of foreign Korean learners, it is common not to have backgrounds fully. Thus,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ing the concrete methods of filling the basic cultural gap with reinforced structures of text and examined those effects. Chapter Ⅰ presents the purpose and the category of this study. Chapter Ⅱ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story, the story grammar which consists of structures and syntatic rules as well as analysis of meaning and formal schema as story schema. Based on the story grammar of Stein and Glenn, this study categorized the story to setting, initiating event, internal response, attempt, consequence, and reactions. Chapter Ⅲ classifies sorts of story structures and analyzes real 3-4 stori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The meaning of real stories is not a experimental text which is composed of several words or sentences but a text which is made up of various episodes. Stein and Glenn named these real stories THEN structure, BECAUSE structure and AND structure referred to the type of connections. This study modified Stein and Glenn's THEN and BECAUSE structures and added COMPLEX structure. In addition, the strategy of activating schema is used for learners to acquire the story structure efficiently. As the specific strategies, questions, graphic organizers, summaries are used. In Chapter Ⅳ, the method of story reading education are applied to the actual class.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private Korean education institute in Seoul. The objects were the upper beginners and consisted of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which are separately 16 people. In Chapter Ⅴ, the results of experiment are analyzed. The experimental group who learned the method of story reading education had better understanding than the comparative group who didn't. It is same with THEN, BECAUSE and COMPLEX structure. Moreover, the difference from initiating event, internal response and attempt between two group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scores than the other. This meant the teaching method of using story structure is helpful to improve learners' level of recall and comprehension on story reading. Finally, Chapter Ⅵ summarizes previously discussed achievements and proposes importance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y topic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1 B. 선행 연구 검토 = 5 Ⅱ. 이론적 배경 = 11 A. 이야기의 개념 = 11 B. 이야기 문법 = 15 1. 루멜하트(Rumelhart)의 이야기 문법 = 17 2. 스타인과 글렌(Stein and Glenn)의 이야기 문법 = 20 3. 이야기 구조 내의 연결 관계 = 23 C. 이야기의 이해와 스키마 = 24 1. 텍스트의 이해와 스키마 = 24 2. 이야기의 이해와 형식 스키마 = 28 Ⅲ. 이야기 구조를 이용한 이야기 교수 방안 = 40 A. 이야기 구조에 따른 이야기 분석 = 42 1. 순차(then) 구조 = 43 2. 인과(because) 구조 = 46 3. 복합 구조 = 50 B. 이야기 구조와 이야기 형식 스키마 활성화 전략 = 54 1. 단일 일화 단계 = 55 2. 순차(then) 구조 = 57 3. 인과(because) 구조 = 62 4. 복합 구조 = 65 Ⅳ. 이야기 교수 방안 적용의 실제 = 70 A. 피험자 = 70 B. 실험 절차와 도구 = 71 Ⅴ. 이야기 구조 학습 경험 유무에 따른 학습자의 이야기 이해 = 75 A. 집단별 평균 분석 = 75 B. 이야기 구조별 이야기 이해도 = 80 1. 순차(then) 구조 = 80 2. 인과(because) 구조 = 86 3. 복합 구조 = 92 Ⅵ. 결론 = 100 참고문헌 = 103 부록 = 107 ABSTRACT =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298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어 교육에서의 이야기 읽기 교수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Story Reading-
dc.creator.othernameLee, Seung-hee-
dc.format.pageix, 13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