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금기 체계의 사례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Title
금기 체계의 사례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a Scheme of Korean Teaching Using Cases of Taboo Systems with Literary Works.
Authors
이희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외국어 학습자들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뿐만 아니라 그 나라 사람들의 문화를 알아야 한다.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 자기 문화권의 가치기준을 타문화에 적용하려고 하면 의사소통의 장애나 문화적 충격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의 이해가 언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는 계속 되어왔지만 실제로 언어와 연계되지 않은 채 문화 소개에만 그치는 경우가 많으며 체계적으로 목록화한 자료가 없어 교사들은 고민을 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특히 우리 민족의 정신 세계를 지배하는 고유한 민간의식, 관념 등을 가르치고자 할 때 더욱 느끼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의 문제부터 접근하고자 한다. 어떤 사회이든 그 사회의 구성원들간의 심층에는 공통된 민간 신앙이 깔려 있다. 그 중 금기 요소는 문명이 전통을 압도하면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그 전통성을 잃지 않고 여전히 그 민심에 잠재하면서 실생활을 좌우한다. 따라서 금기를 중심으로 우리 민족의 사고와 의식체계를 살펴보는 작업은 외국인들이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모든 금기 요소가 현대에도 유효한 것은 아니므로 현대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금기 요소를 목록화하는 작업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의 문제에서는 언어와 연계한 문화 수업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문화 교육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언어와 연계된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문학은 언어를 매개로 하는 가장 직접적인 표현이며, 다양한 간접 경험을 통해 한 나라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자료이다. 따라서 문학 텍스트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가르치고자 하는 문화 내용을 담고 있는 문학 텍스트를 찾는 작업이 우선이다. 아울러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해 분류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전제 하에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를 실시, 한국인들의 금기 체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금기 요소를 담고 있는 문학 작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문화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 문화 내용 중 금기를 신관, 자연관, 인간관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금기 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을 고찰하였다. 금기가 사회 문화적 산물이며, 우리 민족이 지니고 있는 정신세계의 일면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좋은 민속자료임에는 분명하지만 이러한 금기 요소들이 모두 현대에도 유효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현대에 유효하지도 않은 우리 조상들의 금기 사항을 문화적 요소로 가르친다는 것은 의미가 없는 일이다. 따라서 현대 한국인들의 정신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금기 요소들을 설문 조사하여 목록화 하였다. 이것은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교사들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기를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가르쳐야 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논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들의 금기어 이해가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학 작품에 나타난 금기 체계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서사 문학에 나타난 금기의 양상을 살펴 보았다. 설화, 고대소설, 현대소설 속에 나타난 금기 모티브의 본질을 살핌으로써 금기 체계가 문학에 있어서 감동의 원동력이 됨을 살펴 보았다. 또한 Ⅱ장의 설문 조사 결과로 나온 한국인의 금기어 실태를 바탕으로 그 금기 요소를 담고 있는 문학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이때, 문학 텍스트의 문학적 가치와 학습자의 언어 수준, 분량 등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유용한 자료가 되도록 목록화 하였다. 이러한 문학 작품을 활용한 금기 체계 지도 방안을 논하면서, 언어 교육에 있어 문학 작품의 활용에 대한 효용성을 살펴 보았고 학습자의 언어 수준과 교사의 역할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본고에서 목표로 하는 것이 문화 모델 단계임을 밝히고 문학 텍스트의 선정 조건을 함께 살펴 보았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문학을 활용한 문화 수업에 있어 초급 학습자에게는 다소 한계가 있으리라 생각하여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위의 논의들을 전개했으며, 실제 수업지도안은 한국 문화에 대한 수용 내지 동화 욕구를 가지고 있는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작성해 본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에 있어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문화 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 내용을 현대 한국인들에게 유효한 금기 체계로 선택하였고 또 그것을 언어와 연계하기 위해 문학 작품을 분류한 작업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좀더 효율적인 문화 수업을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문화 내용이 구체화 되어야 하고 아울러 문학 텍스트의 선정 조건에서부터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한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Foreign language learners must be familiar not only with the foreign language but also the people's culture for smooth communication. If they try to apply the value system of their own culture with understanding the foreign culture, they will naturally experience obstacles to communication and cultural shock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s of cultural understanding on language education. Discussions on cultural education have been continued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most of them have been limited to the introduction of culture without actual association with language. In addition, teachers find difficulties because there are few listed materials available. Such difficulties are even more serious when teaching popular consciousnesses and ideas that dominate Korean people's mental world. Thus the present study approached from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taught?' In every community, the depth of the community members' consciousness is laid with common folk beliefs. Among them, taboos lie hidden in people's mind and exert direct effects on their everyday life although civilization seems overwhelming traditions and displaying powerful influence. Thus, it is helpful for foreigners'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to examine Korean people's thoughts and consciousnesses centering on taboos. However, because not all taboos are valid today, first we must make a list of taboos that have actual influences on our life. With regard to the question of "how to teach,?" we discuss centering on culture class linked to language. What is most important in cultural education is to induce learners to participate active in class linked to language. In this sense, literature is the most direct expression through the medium of language, and an effective teaching material for various indirect experiences in the culture of a country. Thus we have to find literary texts including cultural contents to be taught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learners' language level.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aboos among Korean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Korean adult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propose literary works containing Korean taboos and to prepare a base of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Chapter II of this paper identified taboos found in Korean culture, classifying them into Korean people's view of God, view of nature and view of man, and examined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reflected in the taboos. Taboos are the outcomes of social culture and excellent folk materials showing an aspect of Korean people's mental world but not all taboos are valid in the present age. Furthermore, it is meaningless to each our ancestors' taboos, which are not valid today, as cultural elements. Thus, this study listed taboos found through the survey to exert influences on contemporary Koreans' mental world. This can be an objective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concerning 'What should be taught?' In addition, we discussed specific reasons why taboos should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foreign learners' understanding of taboo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communication. Chapter III analyzed cases of taboo system appearing in literary works and examined the patterns of taboos in narrative literature. By reviewing the nature of taboo motives appearing in old stories, ancient novels and contemporary novels, we tried to explain that taboo system can be a driving force of impression in literature. In addi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es of terms tabooed by Korean people foun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in Chapter II, we selected literature texts containing taboos. The selected literary texts were listed with their literary value, the corresponding learners' language levels and quantity so that they can be useful material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hrough discussing how to teach taboo systems with literary works, we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literary works in language education, and examined learners' language level, teachers' roles, etc. In addition, this chapter clarified tha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modeling of culture and suggested criteria for selecting literary texts. Lastly, Chapter IV prepared an actual teaching plan for advanced learners. Assuming that culture class using literature is too difficult for beginners,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the actual teaching plan was focused on advanced learners who have a desire to accommodate and assimilate Korean culture. The present study sought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ulture class with the object of improving Korean languag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lected cultural contents for foreign learners among Korean taboos valid to contemporary Korean people and listed literary texts in order to link the selected taboos to Korean language. However, for more efficient culture class, cultural contents should be defined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Furthermore, there should be in depth research on criteria for selecting literary text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language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