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마승희-
dc.creator마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8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833-
dc.description.abstract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r the 1st graders by 8 different publishers are well constructed, faithfully based on both the conceptual and integrative approach which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7th curriculum") has been aiming at, by analyzing if the contents of the domain of comprehension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ar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domain of activity in the current textbooks. The theoretical part consists of the summary on the definition and relationship of the words, 'curriculum' and 'textbook' as well as the system of the content and the background of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Also included are the inquiry into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as the setting of Korea music curriculum and the conceptual and integrative approach as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goal of textbook analysis is to grasp the degree of connectedness between the domain of comprehension and that of activity in the 7th curriculum by analyzing 4 domains of activity - Gachang(singing), Gi-Ak(instrumental music), Chang-jak(composition) and Gam-sang(appreciation) - in each music textbook by 8 different publishers on the basis of 7 elements in the domain of comprehension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 rhythm, melody, harmony, form, tempo, dynamics, and timb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the textbook that best connects the domain of comprehension and that of activity is the one by Segwang music publishing. The textbook by Segwang music publishing deals with Jang-dan, scale, Shigimsae, the polyphony music,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melody, and tempo throughout all 4 domains of activity. To faithfully link comprehension and activity, it presents the factors such as meter, the scale of folk music, the homophony music, the chord, and dynamics in 3 domains of activity. Secondly, the next-best textbook in the connectedness of the domain of comprehension and that of activity is the one by Hyundai music publishing. It presents Jang-dan, scale, the scale of folk music, Shigimsae, the chord, tempo, and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istics and timbre of a musical piece through all 4 domains of activity as well as presenting the meter, the homophony music, and the change of voice and tone quality in accordance with sining techniques in 3 domains of activity. Thirdly, the inquiry into the other 6 textbooks shows that these books poorly connect the domain of comprehension and that of activity in the order down to Choenjae kyoeuk - Doosan - Kyohaksa- Taesung- Bakyoungsa and Daehan. And next, the result drawn from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musical factors presented in the domain of comprehension is as follows; Firstly, The comprehension factors most frequently linked with the domain of activity are scale, Jang-dan, Shigimsae, the homophony music, the scale of folk music, meter, tempo and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melody. In most of the textbooks, these 8 factors are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3~4 domains of activity to promote learners' conceptual and intergrative approach. Secondly, Most textbooks also present the polyphony music,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istics and timbre of a musical piece, and dynamics in relation to 2~3 domains of activity, by which enabling learners to acquire concepts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Thirdly, there are comprehension factors such as chord progressing, Cyclic form, folk instruments, change of sounds in accordance with volume · form · materials of a sound source and change of sound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musical performance which are only limitedly linked with the domain of activity. The activities relating to these factors are introduced only through the domain of appreciation, showing no noticeable connection with other domains of activity; the revision of the way in which these factors are presented, therefore, is fairly required. On the premise that Concept of music can be firmly set up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it is more required than ever that the textbooks under the 8th curriculum should be more carefully constructed so that theme songs and their domains of activity can be introduced in closer relation to domains of comprehension.;이 연구는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이해영역의 일곱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활동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음악교과서가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개념적 접근방법과 통합적 접근방법에 근거해 구성되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정의 및 관계와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개정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또한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배경이 되는 포괄적 음악교육과 그 교수-학습방법으로서 개념적 접근방법과 통합적 접근방법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론의 내용인 교과서분석은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이해영역의 일곱 가지 요소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1학년 8종 음악교과서의 활동영역(가창, 기악, 창작, 감상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이해영역과 교과서 활동영역간의 연계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이해영역과 교과서의 활동영역 간 연계가 가장 잘 이루어진 교과서는 세광음악출판사의 교과서였다. 세광음악출판사의 교과서는 ‘장단, 음계, 시김새, 다성음악, 가락의 발전과 변화, 빠르기’의 개념을 모든 활동영역을 통해 제시했으며, ‘박자, 민요음계, 화성음악, 화음, 셈여림’의 개념을 세 가지 활동영역을 통해 제시하였다. 둘째, 세광음악출판사 교과서 다음으로 이해-활동 영역간의 연계가 충실히 이루어진 교과서는 현대음악출판사의 교과서였다. 현대음악출판사의 교과서는 ‘장단, 음계, 민요음계, 시김새, 화음, 빠르기, 악곡의 성격과 음색의 관계’ 관련내용을 모든 활동영역과 연계해 제시하였으며, ‘박자, 화성음악, 여러 가지 창법에 따른 목소리와 음질의 변화’ 관련내용을 세 가지 활동영역과 연계해 제시하였다. 셋째, 그 밖의 교과서의 이해 - 활동영역 간 연계의 정도를 살펴보면 천재교육 - 두산 - 교학사 -태성 - 박영사 -대한교과서의 순으로 이해-활동영역간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해영역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영역과의 연계가 가장 빈번히 이루어진 이해영역의 요소에는 ‘음계, 장단, 시김새,화성음악, 민요음계, 박자, 빠르기, 가락의 발전과 변화’가 있었다. 이 요소들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3-4 종류의 활동영역과 연계시켜 관련내용을 제시함으로써 개념적 접근과 통합적 접근에 용이하게 구성되었다. 둘째, ‘다성음악, 악곡의 성격과 음색의 관계, 셈여림’도 대부분의 교과서가 관련내용을 2-3종류의 활동영역과 연계시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원활하게 하였다. 셋째, 활동영역과의 연계가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진 이해영역의 요소에는 ‘연음형식, 화음진행, 다악장형식, 민속악기, 다양한 음원의 크기 · 모양 · 재료에 따른 소리변화, 연주형태에 따른 소리의 변화(기악앙상블)’이 있었다. 이 요소들은 감상영역을 통해서만 제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다른 활동영역과의 연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개선이 요구된다. 음악적 개념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확실히 정립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할 때, 앞으로 제작될 제 8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는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이해 - 활동영역간 연계가 더욱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개념적 목표학습에 의한 통합적 지도의 발판으로서 교과서가 그 역할을 감당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정의 및 조직 = 4 B. 이해 - 활동 영역 통합 지도의 필요성 = 9 C. 포괄적 음악교육 = 10 D.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 18 Ⅲ. 고등학교 1학년 8종 음악교과서 분석 = 27 A. 교과서별 분석내용 = 27 B. 8종 교과서의 통합 분석 = 95 C. 전체 분석결과 = 113 Ⅳ. 결론 및 제언 = 115 참고문헌 = 118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72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 이해영역에 근거한 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분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r the 1st graders based on the domain of comprehension under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Ma, Seung Hee-
dc.format.pageⅸ,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