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유아 환경교육의 실태 분석

Title
유아 환경교육의 실태 분석
Other Titles
Early age's Environmental Education Reality Analysis - Focused on Kindergartens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s in Seoul -
Authors
신옥란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희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과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중에 나타난 환경 교육내용과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교육내용 현황을 조사하고, 환경교육 교수-학습자료 구비 현황 등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유아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앞으로 유아 환경교육을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바람직한 유아기 환경 교육자료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위치한 105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환경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중 환경교육 내용 현황, 환경교육 교수-학습자료 구비현황, 환경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를 설문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환경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 현황은 다음과 같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문제 상태의 심각성 인식은 94.2%가 심각하다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모든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었다. 환경교육 관련 연수 참여의사는 100%가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제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20.0%에 불과해 연수기회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연수받은 교사들이 연수 내용을 활용해 본 교사는 71.4%였다. 활용해 보지 않은 교사의 경우 28.6%로 나타났으며, 이유는 자료제작의 어려움, 교육자료 부족, 기존프로그램과 연계부족 등의 의견이 있었다. 둘째,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환경교육 내용과 유아 환경교육 내용 현황은 다음과 같고, 이 결과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라 통계적으로 부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속에 환경교육 내용이 있다는 사실에 관해서는 알고 있다가 65.7%이고, 모르고 있다31.4%로 나타났으며, 알고 있는 내용은 주로 환경오염이나 재해에 대비하기(32.7%), 환경보전에 관심가지기(25.0%))였고, 유치원 93.3%가 실제 활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린이집교사는 62.5%만이 실제 활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속의 알고 있는 환경교육 내용과 실제 활용면 모두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82.9%) 환경교육이 실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잘하고 있다고 한 교사는 14.3%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환경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환경교육의 방법 및 활동형태를 보면 ‘연관되는 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 언급하는 경우(48.9%)’,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연간 계획을 수립하여 하나의 단원으로 정해 진행한다(24.4%)’로 나타났다. 환경교육 실시, 방법 및 활동형태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활동형태는 ‘이야기 나누기(45.8%)’, ‘견학 및 탐사(10.7%)’, ‘실험(10.7%)’을 통하여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주로 실시하는 환경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 ‘쓰레기 분리해서 버리기(33.0%)’, ‘자원 재활용하기(22.9%)’가 많이 다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환경교육 교수-학습자료 구비 현황 및 요구도 다음과 같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라 통계적으로 부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교사의 자료 활용 중 가장 효과적인 자료로는 ‘영상자료(30%)’, ‘실험자료(17.5%)’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많이 구비하고 있는 자료는 ‘동화자료(14.0%)’, ‘쓰레기 분리수거통(12.8%)’인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로는 ‘영상자료(30.9%)’, ‘실험자료(17.3%)’로 나타나 영상자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보유하고 있는 환경교육 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충분하지 않다(40.0%)’로 인식하고 있으며, ‘충분하다14.3%’에 불과해 교육 현장에서 교육 자료가 충분하지 않거나 보통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환경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교육현장에서의 적용방법에 대한 교육연수 부족(23.3%)’, ‘교사와 부모의 환경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 부족(22.2%)’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환경교육을 위한 가장 시급한 지원은 ‘연수 등의 기회를 통한 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재교육(36.4%)’, ‘환경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20.0%)’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볼 때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환경교육에 대하여 교사연수를 통한 재교육 및 교수-학습 자료가 부족한 것이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지원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In this research, we researched th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of kindergarten and teachers and the ongoing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s present situation that are presented in the sixth kindergarten educational curriculum. Also, we researched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study material conditions and compared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by one another. By comparing and researching, we make kindergartens be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furthermore we eventually have purpose on improving the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providing basic data to improve the program. From one hundred five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in Seoul, we choose current one hundred five teacher to ask and collect statistic their understanding of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understanding of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the sixth kindergarten educational curriculum's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situ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 teaching materials condi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s problem and need. The result follows. Firstly, teacher's understanding of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are follow. The difference between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are none. The 94.2% of from both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teachers said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serious. The 100% of them also answered that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 question, whether going to the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every one would wanted to go, but only 20.0% of them have gone the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which showed there is not many chances of going to the teacher's course. From those who have gone to the teacher's course, 71.4% of them have used in actual teach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course. The other 28.6% of them, who did not used what they have learned, explained not using what they have learned by a hardness of making materials, an insufficient data, and a lack of connection from the existing program. Secondly, the sixth kindergarten educational curriculum's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ollow,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Those who know that the sixth kindergarten educational curriculum contai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re 65.7% and those who do not is 31.4%. What they know are preparing for environmental pollution or disaster(32.7%) and paying attention to preserving environment(25.0%). 93.3% of regular kindergartens has used it, but only 62.5% of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s has used it.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differed quite a lot from both what they know about the sixth kindergarten educational curriculum'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s usage. Most of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do environmental education (82.9%). However, there are only 14.3% of teachers who are considered doing well which infer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has not been done systematically. The ways of teaching and practicing are 'mention it partly from related chapters (48.9%)' and 'along with existing program, separate the chapter in year bases (24.4%)'. Statistically, from the way of teaching and practicing environmental education,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showed relevant difference. The ways of practic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both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teachers use are 'talking (45.8%)', 'observing and exploring study (10.7%)', and 'experiment (10.7%)'. What most of both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do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re that 'separate garbage collection (33.0%)' and 'recycle resources (22.9%)'. Thirdly,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fessional material conditions are follow. From this data, there are some relevant differences. Both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s the most effective materials are 'video media (30%)' and 'experimental instrument (17.5%)'. The most they buy are 'picture books (14.0%)' and 'separate garbage collection baskets (12.8%)'. What they need are 'video media (30.9%)' and experimental instrument (17.5%)'; they prefer video media the most. The 40.0% of teachers from kindergarten and government-supported kindergarten said 'there is not enough environmental educational materials', and only 14.3% said 'there is enough materials.' This result showed that a lot of kindergartens has not many environmental educational materials prepared or just about enough. kindergartens and government supported kindergarten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Two reasons, 'lack of adapting teaching to children because of not enough teaching course (23.3%)' and 'teachers' and parents' lack of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necessity', are presented as reasons for po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ost urgent things to improve environmental education are 're-educate the teacher's course (36.4%)' and 'professional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0.0%)'. Therefore, the lack of teacher's course and professional materials presented as problems, and the support for those is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