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8 Download: 0

PBL(Problem-Based Learning)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Title
PBL(Problem-Based Learning)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Other Titles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PBL(Problem-Based Learning)
Authors
이향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희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모형 가운데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에 PBL의 도입 가능성과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과학과 PBL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재직하는 중학교 과학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터넷 설문과 질문지의 두 가지 형식으로 실시하였으며, PBL에 대해 모르는 교사들을 위한 PBL 안내지를 설문지와 함께 제공하였다. 설문은 총 26문항으로 PBL 관련 학습능력에 대한 인식, PBL에 대한 인식, PBL 도입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수업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Likert 척도 평균은 4.39의 점수로 나타났으며, 현재 과학과 교육과정이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것과 현재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인식에서의 평균은 각각, 3.00, 2.79의 점수로 나타났다. 즉, 과학교사들은 과학수업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함에도 현재 교육과정을 통해 제대로 길러지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4.31; 3.10; 2.76), 협동학습능력(3.92; 3.08; 3.02)에 대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교사의 45%가 PBL에 대해 알고 있었고 이 중 22%(전체의 9.9%)가 PBL 수업을 진행해 본 경험이 있었으며, 교사 연수(30%)를 통해서 가장 많이 알고 있었다. PBL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는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대해 평균 3.84의 점수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이 3.85, 협동학습능력 신장이 3.71의 점수로 모두 보통 이상의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BL 인지 여부에 따른 차이는 PBL을 알고 있는 교사의 기대가 모든 항목에 대해 높았으며, 이 중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대한 기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PBL 수업 여부에 따른 차이는,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대해서만 PBL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의 기대가 높았으며, 이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PBL 수업을 진행해 볼 의사는 평균 3.48의 점수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PBL 인지 여부에 따른 차이는, PBL을 알고 있는 교사가 더 많은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PBL 수업 여부에 따른 차이는, PBL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 많은 의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 PBL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인식은 PBL 수업 의사보다는 약간 낮은 3.29점의 점수로 나타났다. PBL 인지 여부에 따른 차이는PBL을 알고 있는 교사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PBL 수업 여부에 따른 차이 또한 PBL 수업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PBL을 도입할 경우 수업의 비중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원에 임의로 도입한다는 것이 4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BL 문제의 제공에 대해서는 학교 단위의 과학교사 그룹이 공동 제작(33.6%), 교과서에 수록(23.3%), 문제 은행을 통해서(23.3%)의 순으로 나타났다. PBL 도입의 장애요인은 수업 시간의 부족에 대한 평균이 4.05의 점수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부담(3.99), PBL 문제 개발(3.89), 채점 기준 마련(3.81), 학생들의 능력 부족(3.40)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모두 보통 이상의 응답으로 제시된 항목 모두를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과학교사들은 PBL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PBL을 알고 있거나, PBL 수업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PBL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이 새로운 학습모형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개방적인 사고에서 비롯되었다고 분석하더라도 PBL을 알고 있는 교사들, 특히 PBL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본 연구에 이어 PBL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연구나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 맞는 과학과 PBL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to discuss possibility and barriers of PBL curriculum in middle school science. 131 science teachers who are in middle schools i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were sampled as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 research.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26 questions and PBL pamphlet had two types: paper and internet. Questions categorized with three subjects: recognition related with student's learning ability, recognition about PBL instruction and curriculum, barriers to PB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Likert scale on the questions about importance of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science instruction was 4.39; about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present science curriculum was 3.00; about present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was 2.79. The result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4.31; 3.10; 2.76) and team participation ability(3.92; 3.08; 3.02) were similar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degree. 45%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know PBL and the most of them(30%) knew through the teacher's training program. 22%(9.9% of total) of teachers knowing PBL had an experience of PBL instruction . The teacher's expectations about PBL efficiency were 3.84 about problem-solving, 3.85 about self-directed learning, 3.71 about team participation ability in average of Likert scale. The expectations of teachers who know PBL were higher than who don't know PBL. Especially, expectation about developing of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p<0.05). Also,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on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teachers(p<0.05). The average Likert scale on intention of PBL instruction was 3.48 and teachers knowing PBL had more intention. Also, The intention of experienced teachers were higher than inexperienced teach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very meaningful statistically(p<0.01). Teacher's recognition about application of PBL on present science curriculum scored 3.29 of Likert scale. Teachers knowing or experienced PBL much agreed to PBL curriculum. The barriers to PBL curriculum that were recognized by teachers were amount of class time required for PBL instruction(4.05), amount of teacher time required for PBL instruction(3.99), designing problem(3.89), difficulty of PBL assessments(3.81) and lack of student's ability(3.4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PBL is positive and teachers knowing or experienced are more positive. More detail research on experienced teachers and science PBL curriculum require further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