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19 Download: 0

일상의 Chaos와 Fractal Pattern에 의한 Tessellation의 구현

Title
일상의 Chaos와 Fractal Pattern에 의한 Tessellation의 구현
Other Titles
The Representation of Tessellation through Chaos and Fractal Pattern in Daily Life
Authors
홍영란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사진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기
Abstract
21세기 예술은 기존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정보와 통신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기술의 혁신이 우리의 삶과 지식의 전반에 영향을 끼치게 됨에 따라 과학과 예술, 그리고 인간과 사회 과학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 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에 의해 자연과학은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들은 자연스러우며,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집합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적 입장에서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연구하고, 이론에서 볼 수 있는 조형원리를 사진의 조형적 모습으로 나타내며 이는 테셀레이션의 모습으로 나타낸다. 이론을 작업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카오스와 프랙탈의 조형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초기 촬영작업에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테셀레이션의 모습을 시도한다. 일상의 카오스와, 프랙탈 패턴을 예술의 표현방법으로 응용하는 것은 과학과 예술이 만나는 상상의 영역이다. 이는 기존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분야이다. 특히 사진에서의 접근은 새로운 시도라고 보았을 때에 무한한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과학과 예술의 접목과 시도의 응용 가능성에 있다. 그리고 과학과 예술 사조를 수용하고, 타 학문과의 교류를 통해 풍부해질 수 있는 사진의 분야에 자연과학적 패러다임인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적용해 사진의 표현영역을 넓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 2장에서는 미학적 가치로서의 카오스이론을 그 의미와 특징, 그리고 불확정성의 카오스로 나타낸다. 제 3장에서는 프랙탈 조형원리의 구조를 분석하고, 디자인의 구성적 특성을 도출해 내며, 이를 프랙탈 패턴으로 형상화한다. 제 4장에서는 테셀레이션의 시·지각적 측면을 나타내기 위해 그 원리와 표현작품들을 나타낸다. 제 5장에서는 구체적인 응용으로 일상의 카오스와 프랙탈 패턴을 테셀레이션에 의해 구현시킨다. 제 6장에서는 앞서 전개된 연구, 분석 등의 과정들을 종합하여 정의하는 단계로, 그 가능성과 앞으로 모색하고 발전시켜야 할 영역과 방법을 제시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한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과학과 예술의 접목이라는 면에서, 카오스와 프랙탈을 적용한 본 연구의 작업 방식의 접근 방법과 시도는 디자인적인 사진에 대한 적용 가능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테셀레이션으로의 구현 방식은 카오스와 프랙탈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PC를 이용한 디지털 디자인은 기술이 지니는 본질적인 특징을 예술의 영역에 도입한다는 면에서, 작가의 표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컴퓨터 그래픽은 이미지 창조와 변형, 복사 등의 기능적 특징을 시각적으로 표현 할 수 있으며, 카오스와 프랙탈에 의한 테셀레이션 창출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메탈프린트 방식의 출력은 작품의 특수성과 개성을 표현하는 데에 충분한 대안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러 예술 장르에서 비규격화, 비표준화, 그리고 개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과학과 예술의 접목이라는 이념 하에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은 다양하고 활발하게 진행되어 갈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일상의 카오스와 프랙탈 패턴 표현의 계속적인 필요성에 대한 노력이며, 본 논문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의 무한한 아이디어의 보고로 다른 발전된 작업의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Art of the 21^(st) century takes on a new aspect due to the changeover of existing paradigm. The innovation of new technology, which is represented as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has an overall effect on our life and knowledge, thus we have to think about science and art, and human being and social science at the same time. New aspects have been found from natural science thanks to chaos and fractal theory appeared late in the 20^(th) century.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is represented as natural and geometrical aesthetic. In this study,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was researched in the aspect of natural science, and formative arts theory was represented as the formative aspect of photo, which was shown as the form of tessellation. Based on the formative theory of chaos and fractal pattern, theory was applied to work. In addition, tessellation of various forms was represented by using digital media for photographing in its first stages. To apply chaos and fractal pattern in daily life to the representing method of art is the area of imagination so that science can be together with art, and this application has never been found from earlier works.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is a new trial in the field of photo, so it has an endless potential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join of science and art and its applied possibility for tria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representing area of photo by accepting the trend of science and art and by applying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paradigm of natural science, to the area of photo that can be fertile through exchange between other sciences. For the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 procedure. The 1^(st) chapter dealt with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From the 2^(nd) chapter, the meaning and feature of chaos theory were explained in aesthetic value and the chaos of uncertainty was treated. From the 3^(rd) chapter, the structure of fractal formative theory was analyzed and the structural feature of design was drawn, which they were shaped as fractal pattern. From the 4^(th) chapter, the theory and works of tessellation were introduced to show its visual and perceptual aspect. From the 5^(th) chapter, as the concrete application of chaos and fractal pattern in daily life, it was represented by tessellation. From the 6^(th) chapter, to generalize the course of research and analysis progressed earlier, the possibility of chaos and fractal pattern was suggested together with problem what and how it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rough the above study, I came to conclusion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join of science and art, the approaching method and trial of photographing applying chaos and fractal in this study showed a way so that could be applied to design photo. Secondly, it was found that representing method of tessellation was suitable as means to represent chaos and fractal. Thirdly, digital design using PC brought the essential feature of technology into the area of art, so it showed a new possibility for artist’s representation. From this viewpoint, such functional feature as the creation, deformation, and copy of image could be represented in the visual aspect by computer graphic. Furthermore, the computer graphic was effective on the creation of tessellation by chaos and fractal. Fourthly, metal print typed output could be a sufficient way to show work’s particularity and individuality. At present, artists of various genres have a great interest in denormalization, un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so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will be applied in various and positive under the philosophy of the join of science and art. In this study, it’s suggested that chaos and fractal pattern in daily life should be constantly represented because it will be appli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Therefore, I hope that more developed works can be created with various ideas in many areas through the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