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 화행 연구

Title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 화행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Persuasion Speech Act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uthors
김미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ersuasion which concern an advertisement and a public speech, or which focus on understanding a mental state based on Social Psychology, Human Relationship, and etc..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t sufficient studies that concern a communication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look into the Persuasion Speech Act regarding a communication ability. Especially, the study select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a intermediate language group. The study concerns the realization patterns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on Persuasion Speech Act. In this regard, the study investigate respective strategies that Korean native speakers,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ork out in persuasion situations and compare with each other group. The method of a investigation of the study is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hat is available for lots of data in a short time, easy to plan an investigation, and useful for simulation of a specific speech act, however, DCT is restricted on paper.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an illustrated DCT that makes respondents feel as if they are in real situation. The investigation was done twice - a preliminary from June 8, 2004 to June 11, 2004 and a principal from July 26, 2004 to September 3, 2004 after adjusting several points that had been revealed on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principal investigation includes three groups, Korean Native Speaker(KNS), Japanese Korean Learner(JKL), and Japanese Native Speaker(JNS) in order to look into which strategies are applied to persuasion according to group and other variables. Also, the study compares each other group focusing on JKL's Persuasion Speech Act and its realization patterns. The result of the principal investigation shows that three groups have a tendency in common to use high frequency strategies regardless of variables. In case of direct refusal to proposal or request, those who try to prevail with respondent usually use "Account for proposal or request" strategy and/or "Repeat & emphasis" strateg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indirect refusal, they use previous two strategies lesser and "Relief" strategy more. In other words, three groups focus on "Account for proposal or request", "Repeat & emphasis" and "Relief" strategy on Persuasion Speech Act and adjust them according to variables - direct/indirect refusal, proposal/request, and etc.. As for the selection and frequency of strategy, JKL is close to KNS or JNS according to situations - the principal investigation select 8 situations. And besides, JKL use less strategies than KNS and more than JNS in each situation. Also, as for the usage of strategy-pair, all situations are in common with frequency in KNS, JKL, JNS order. The value of this study is to concern Persuasion Speech Act, based on the perlocutionary act, which have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and to describe that closeness or position have no effects on Persuasion Speech Act contrary to existing studies. Moreover, the study present not only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Persuasion Speech Act, but also new list of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 of a investigation. In addition, comparing the Persuasion Speech Act of an intermediate language group, JKL with one of mother language group, JNS or KNS, the study present a primary data of a pragmatic approach to a persuasion instruction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eing influenced by various variables besides human relationship, speech act - proposal/request, response - direct/indirect refusal presented on the study, the Persuasion Speech Act may be realized or embod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variables which may have influence on persuasion and to look into how Persuasion Speech Act is realized accordingly. Also, it is necessary that further studies on Persuasion Speech Act fo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ith various mother language introduce educational data and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re developed based on studies.;본 연구는 지금까지 설득의 연구들이 대중적 설득의 차원에서 효과적인 광고 설득, 대중 연설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졌거나 사회심리학과 인간관계학과 같은 분야를 통해 설득이 이루어지는 심리적 기재를 밝히는 차원으로 연구되어 온 것과는 달리 화행론의 입장에서 일본어권 고급 학습자가 설득의 상호작용 상황에 서 사용하는 설득 전략들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그러한 전략의 사용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어 모어 화자와 어떤 차이점을 갖는지에 대하여 규명하여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능력의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기초적 연구 자료가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실험을 위한 도구로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연구자의 의도에 맞는 실험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특정한 화행의 실현 양상을 연구하는 데 용이한 DCT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DCT가 지면상에 실제 발화를 기록해야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필자가 선정한 상황에 대해 최대한 자연 발화 상황임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위해 삽화와 말풍선을 도입하여 새로운 형태의 DCT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모두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먼저 2004년 6월 8일~11일에 예비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예비 실험을 통해 발견된 몇 가지 문제점을 수정하여 본 실험을 설계하였다. 본실험은 2004년 7월 26일~9월 3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실험 피험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Korean Native Speaker; KNS)와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Japanese Korean Learner; JKL), 일본인 모어 화자(Japanese Native Speaker; JNS)로 선정하였고 세 집단의 설득 전략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중간언어집단인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설득 화행 실현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들을 통해 피험자 집단이 변인별에 따라 어떤 설득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는데 대체로 모든 변인에서 세 집단의 사용한 고빈도 전략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피설득자의 거절 반응이 직접적인 경우에는 요청이나 제안에 대한 이유나 필요를 설명하는 전략과 앞선 요청이나 제안을 다시 반복하거나 강조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피설득자의 거절 반응이 간접적인 경우에는 앞의 두 전략들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 상대방의 부담을 줄이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세 집단은 3개의 전략을 중심으로 설득을 하면서 상황 변인에 따라 3개의 전략을 가감하며 설득을 하였다. JKL은 KNS와 JNS의 중간적인 형태로 설득 전략을 사용하였는데 사용 전략의 종류와 빈도에 있어 상황에 따라 KNS와 가까운 양상을 보이거나 또는 JNS와 가까운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전략 사용 개수에 있어서는 KNS보다는 적고 JNS보다는 적게 전략을 설득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 연계 양상은 세 집단이 전략 쌍을 이루는 것이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전략 쌍의 사용 빈도는 KNS> JKL> JNS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화행 연구의 대상으로 미미하게 다루어져 온 발화효과행위로서의 설득화행을 연구의 주제로 삼았다. 설득 화행은 다양한 발화 효과를 만들어 내는 화행이기 때문에 특정한 효과를 만들어 내는데 사용되는 설득 전략들을 유형화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득 화행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찾고, 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변인들을 설정하여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설득 화행 양상을 연구하였다. 설득은 본 연구에서 필자가 선정한 인간관계나 화행과 같은 변인, 피설득자의 반응 외에도 다양한 변인에 영향을 받아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설득 화행이 실현될 때의 변인들이 새롭게 발견되고 그러한 변인으로 인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설득 전략을 어떻게 운용해 나가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