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정소아-
dc.creator정소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19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60-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 학습자 언어 변이에 대한 연구는 그 주제가 다양하지 못하였고 특히 변이 원인을 밝히는 데 있어서 단편적인 원인 분석을 결과로 내 놓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언어 변이의 원인이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작용의 결과물이라는 데에 주목하고 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언어 변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는 일본어권 고급 학습자를 선택하였으며, 분석 대상이 되는 언어 항목으로는 대용어를 선정하였다. 이 주제의 논의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접 고안하여 만든 유형별 과제를 실험 도구로 삼아 학습자들의 실제 구어 자료를 구축하고 그것을 통해 학습자들의 대용어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과제 유형에 따라 대용어 사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편적인 요인이 홀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이고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한 결과 나타나는 것이 학습자 언어의 변이인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학습자 언어 변이의 원인을 단편적으로 이해하는데 그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언어의 과제 변이 연구를 단순히 과제 유형의 변화에서만 원인을 찾지 않고 형태 - 기능적 분석의 시각도 적용하여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학습자 언어의 변이 모습을 밝히고자 이를 연구의 주제로 삼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 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학습자 언어 변이, 특히 과제 변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들 연구에서는 주로 변이의 원인을 단편적으로만 살펴보았고 특히 대용어의 변이에 대해서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시피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대용어 사용 변이에 대해 과제 유형의 변화 요인과 언어 형태의 기능 요인이라는 두 가지 복합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였다. Ⅱ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적 바탕이 되는 대용어의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국어 연구에서의 대용어 분류 정리를 살펴보았다. Ⅲ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우선 피험자를 자유로운 발화가 가능한 고급 학습자로 선정하였고 다양한 대용어 중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맞는 대용어를 정리하여 분석 대상 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학습자의 구어 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고안한 여러 유형의 과제에 대해 소개하였다. Ⅳ 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수집된 학습자의 대용어 사용 자료를 분석 통계 처리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과제 유형에 따라, 그리고 대용어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학습자의 대용어 사용 변이 양상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크게 문어적 과제인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구어적 과제인 구두 인터뷰 과제에서의 대용어 사용의 차이를 보았는데 그 정확률이 구두 인터뷰 과제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과제 변이 연구들이 Labov의 문체 전환(style-shifting) 개념에 바탕을 두고 도출한 일반적인 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문맥 안에서 역할하는 대용어의 응집적 기능이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 구두 인터뷰 과제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별되는데 각각의 과제 사이에서 대용어 사용의 양과 정확률의 변이 또한 살펴보았다. 대용어 사용 양은 이야기 꾸미기 과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과제 자체가 학습자에게 주는 의사소통적 압력이 높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고 정확률의 경우 인터뷰 과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인터뷰 과제 자체가 문맥의 응집성을 요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과제를 구성하는 질문들의 내용이 학습자 자신에게 관련된 것이고 자주 대면했을 익숙한 내용의 질문들이기 때문에 더욱 올바르게 대용어를 생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먼저 학습자 언어의 원인을 보는 데에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과제 유형 변화와 대용어의 기능이라는 두 가지 원인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자 언어의 변이를 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일반적으로 과제 변이 연구에서 예상되어 온 결론을 뒤집는 새로운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실험 도구에서도 의의를 둘 수 있는데 다른 연구들이 이미 구축되어 있는 학습자 말뭉치 자료 등을 연구에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맞게 자체적으로 실험 도구를 구성하여 학습자의 실제적인 구어 자료를 충분히 구축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고 게다가 피험자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일본어권 학습자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자료나 결과가 실제적인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도움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 또한 의미가 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가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변이를 파악하는 데 일조할 것을 기대한다.;On the field of a study of variation in learners language, it has not been diverse in its topics and especially most of them only focused on a single reason that affects to learners lanugage variation. However in this study, with an acknowledgement that learners language is a complex result affecred by an effect of diverse reasons, it will study about a task-indued variation of learners language. A target group of this study is a Japanese Korean learner who studies in a high level class in each korean language institute. Also this study selected several substitutions as a target to study from many kinds of substitutions in the korean lauguage. Moreover for a research, this study made its own research tools to induce learners to produce natural oral speech and with that data it analized the aspects of the learners' use of substitutions according to various kinds of tasks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results from that research. The factor that affects the variation in learners language does not work by itself. Learners language varies by dynamic interaction of diverse factors. However most studies about learners language so far has only been dealing with a single factor in frag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it will take a multi-dimentional approch to look at the task-induced variation in learners laguage, which is a combination of two sights, a task factor and a function of the linguistic form. This study is constituted as stated next. Chapter Ⅰ consists of a description of the goal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also explanation of prior studies about task-induced variation in learners language. These prior studies only focused on a single factor that effects language variation and almost none of them studied about substitution. On that account this study put a focus on substitution variation in the use of learners langauge with a multi-dimentional approch with two sights of a task factor and a function of substitution. Chapter Ⅱ examines a concept of substitution function which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this study. It also contains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ubstitution in a field of a traditional korean langauge study. Chapter Ⅲ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to make subjects produce natural oral speech. Subjects for the research are studying in high-level classes at each korean language institute so that they can possibly speak about any topic freely. It also has a selection of substitution as target linguistic forms for this study, which were choosed among many kinds of substitutions in korean language, and introdued various kinds of tasks, designed newly only for the goal and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 Ⅳ, utilizing statistically analysed data from the main experiment, it shows an aspect of variation in substition use of learners based on an approach with sight of a task factor and a function of substitution. As a results, variation in substition use from learners shows big difference between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results and oral interview task results. The accuracy rate is higher in oral interview task results than the results from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This is in contrast to the general expectation which has been achieved by other studies about task-induced variation based on Labov's style-shifting theory. This unexpected result induced from this study is caused by the function of substitution working as a tool for discourse coherence. Besides, oral interview task consists of three types of tasks and each type has different results in amount of substitution use and its accuracy rate. The amount of substitution use is highest in the story telling task and the reason is that the task itself gives to learners a 'communicative pressure' and that encouraged the use of substitutions. The accuracy rate appeared highest in the interview task and it is not only because the interview task itself asks for the coherence in discourse but also because topics of the interview task was about learners themselves and it seems that they were accustomed to answering those kinds of questions. As a result of this, they could produce substitutions as right in usage as they could. To conclu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veral aspects as stated next. First, unlike the prior researches about task-induced variation which only conducted a single factor effect in fragments, this study approached muti-dimentionally with two kinds of sights that are task factor and function of substitution. Therefore as a result of this, this study discoverd new results about dynamic variation in learners language which is in contrast to general results expected by studies so far in task-induced variation study field. Secondl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signed its own research tools according to the goal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tself. With these tools, from the research, it obtained considerable data in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Especiall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consisted of Japanese learners who are the largest group in korean language learners. Regarding these merits, this study is helpful for further study about learners language varia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also would be helpful to discover diverse and dynamic variation in learners langu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선행연구 = 4 Ⅱ. 이론적 배경 = 10 A. 과제 유인 변이 = 10 B. 대용어의 기능과 분류 = 24 1. 대용어의 기능 = 24 2. 대용어의 분류 = 28 가. 대용 범위에 따른 분류 = 28 나. 대용어의 성분에 따른 분류 = 31 Ⅲ. 연구방법 = 35 A. 피험자 선정 = 36 B. 분석 대상 대용어 = 37 1. 선정 기준 = 38 2. 선정 결과 = 39 C. 자료 수집 방법 = 49 1. 실험 도구 = 49 가. 문법성 판단 테스트(grammarticality judgement test) = 49 나.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 = 50 다. 절차적 말하기 = 51 라. 인터뷰 = 52 2. 예비 실험 = 52 가. 1차 예비 실험 = 53 나. 2차 예비 실험 = 53 3. 본실험 = 55 D. 자료 분석 방법 = 56 1. 유효화 기준 = 56 2. 통계 처리 방법 = 57 Ⅳ. 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대용어 사용 변이 = 59 A.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구두 인터뷰 과제 = 59 1.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구두 인터뷰 과제 변이 차이 = 59 2. 구두 인터뷰 안에서 과제 유형별 변이 차이 = 66 가. 과제 유형에 따라 도출된 학습자 담화의 특징 = 67 나. 과제 유형별 대용어 사용양 비교 = 74 다. 과제 유형별 대용어 사용의 정답률 비교 = 77 Ⅴ. 결론 = 86 참고 문헌 = 90 부록 = 94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86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언어의 변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ask-induced Variation in Learners Language-
dc.creator.othernameChung, So A-
dc.format.pageⅶ,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