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 Download: 0

역사문화환경 보전을 고려한 도시정비사업 개선 방안 연구

Title
역사문화환경 보전을 고려한 도시정비사업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rban Improvement Project Considering the Con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 Around Seoul Station. -
Authors
임수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Keywords
역사문화환경, 도시정비사업, 역사문화환경 보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미선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empirical case study data based on drawing implications and establish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by citing overseas cases that have led the manageme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n how to bring vitality into the city center along with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t the momen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dern city is changing from unconditional development to sustainability, it is necessary to find a balance point between the two conflicting logics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which are more confrontational than ever.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seek a direction that can change positively without losing its own identity by effectively protecting cities with historical layers. This approach goes beyond the view of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s objects of protection and uses them as a springboar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it can be seen as a newly revealed aspect of urbanization in modern society. Seoul, South Korea, where modern urbanization is relatively late, has also focu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the late 1990s, but the practical plans behind them have shown a two-sided appearance of staying in simple protection or development-oriented charact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within the redevelopment zone, specifically the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zone, and accordingly, the valu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t risk of loss or damage due to urbanization is widely recognized and the possibility of use is explored to find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a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zone located in Jung-gu, Seoul, showing a clear contrast between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interests of large-scale collective development. The area was first built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eoul Station, which operated as the center of railroad transportation during the period of national development after liberation, is located.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everal industries around it suffered from the rise and fall, and a multi-layered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ntinues to this day. The content scop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nservation logic and development logic surrounding the target site through the theoretical concept of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prior research and case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onserving and utiliz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has the economic advantage of securing a new competitiveness of the modern city of identity and individuality. Furthermore, it can serve as a buffer for the unification of the drying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the total demolition method and the social and economic harms that are difficult to recover. In addition, as we have seen in overseas cases, the us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has the potential to establish itself 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individuality of the city in terms of creativity.;국내외에서 역사문화환경의 보존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현대도시의 지향점이 무조건적인 개발에서 지속가능성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재, 그 어느 때보다 대립하는‘보존’과 ‘개발’이라는 두 가지 상반되는 논리 사이 균형 지점을 찾는 것이 필요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문화환경은 단순한 보호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을 넘어 경제가 발전하는 데의 발판으로써 이를 활용하려는 시각을 가지고, 역사적 층위를 가진 도시가 가진 유산과 그를 둘러싼 환경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고유 정체성을 잃지 않게 하면서 긍정적으로 시대의 수요에 부합하는 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서울 역시 최근에는 발전의 지향점을 지속가능성에 두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세워지고 실행되고 있는 세부계획들에서는 여전히 개별 건축물들의 원형 보존에 머무르거나 혹은 전면 철거로 대표되는 개발 지향적인 성격에 머무르는 양단성이 드러난다. 본 연구는 도시정비사업 시 역사문화환경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균형을 맞춘 보전의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는 시각으로, 개발 시에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기초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환경의 가치를 분석하고 미래 활용방안을 탐색하여 보존과 개발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보전의 개념의 시각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서울역 일대를 공간적 범위로 한정하였다. 대상지는 역사문화환경을 보존해야 한다는 논리와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는 논리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있는 지역이다. 일제강점기에 처음 건설되어 해방 이후 국토 개발 시기에는 철도 교통의 중심으로 작동했던 서울역이 위치한다. 또 그 주변으로 여러 산업이 흥망성쇠를 겪으며 다층적으로 형성된 역사문화환경이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전통산업의 쇠퇴로 슬럼화가 진행되었으며, 서울역 일대의 인프라를 현대화하고 주거 밀집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환경의 보전에 대해 이론적 개념을 고찰하고, 선행연구 및 사례를 분석하여 대상지를 둘러싼 보존논리와 개발논리 간의 간극을 좁히는 계획을 수립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사례들에서 도출한 시사점을 토대로 보전 방안을 제안했다. 본 연구가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역사문화환경의 보전은 다른 도시와 구분되는 해당 도시만의 역사적 정체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경쟁력 확보를 통해 경제적 이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 전면 철거 방식의 무분별한 개발행위가 가져올 역사적 건조물 멸실, 도시환경 단일화와 경관 훼손 등 회복이 어려운 사회적·문화적·경제적인 문제들을 감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해외의 사례들에서 살펴본 대로 역사문화환경의 보전기법은 창의성 측면에서 도시 개성을 확립하는 방안으로 보인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