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 Download: 0

인공지능 기반 그림 심리검사 플랫폼 UI 디자인 및 구현 방향성 연구

Title
인공지능 기반 그림 심리검사 플랫폼 UI 디자인 및 구현 방향성 연구
Other Title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icture Psychological Inspection Platform UI Design and Implementation Direction Study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Keywords
인공지능, 객체탐지모델, 생성형 AI, sLM, 프롬프트, 그림심리검사, 그림심리검사 플랫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수진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Generative AI, which can generate new content or information based on existing data, has emerged, and creative content can be generated in various forms such as text, image, and voice, creating innovation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the 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alyze or understand emotions has now become the present reality, not the future imagination. Accordingly,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empirical direction of psychological research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steadily progressing, but research including the overall process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identifies the results in psychological tests and explains them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for us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efficiency by combining picture psychological tes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ir inner thoughts, and quantitativ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ubjects and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various aspects were derived that should be considered from both the examinee and the examinee when proposing a platform and the effectiveness of picture psychological tes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psycho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ethod for qualitative interaction between the examiner and the subject by improving the process of the commonly conducted picture psychological test as follows. It was proposed to automatically det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drawn by the subjects, derive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istic as a keyword, and provide interpretation using the Generative AI based on the most commonly used home-tree-person (HTP) test among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s. Based on the proposed contents, this study had users who conducted a quantitative survey and experts wh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advance actually conduct the test, and related user evaluation was conducted by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deriving the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to implement the service experience for experts and subjects obtained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ccess and use the user experience of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 are as follows. First, as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exper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could be derived more accurately if it was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n areas that experts might miss or produce results during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 Second, in addition to the HTP test covered in this study, the method performed on various projection tests can be used to collect data from other projection tests of the subject, enabling more accurate diagnosis and continuous care. Third,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that the counselor could work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pret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counselor without spending a lot of time interpreting it. With the above-mentioned possibilities, this paper was able to obtain a positive evaluation in terms of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 results.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any types of picture psychological tests, as well as various psychological tes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cooperate complementarily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that improves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subject.;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내용이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등장하면서,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인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그중에서도 인공지능이 감정을 분석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은 이제 미래의 상상이 아닌 현재의 현실로 자리 잡게되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심리 영역 연구의 필요성과 실증적인 방향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심리검사에서 인공지능이 결과를 파악 하고, 이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림 심리검사를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하여 그림을 해석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그림 심리검사에 참여하는 피검자와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정량적 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정량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그림 심리검사가 심리치료에 미치는 효과성과 플랫폼 제안 시 피검자 및 검사자 두 관점에서 모두 고려해야 할 다양한 측면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보편적으로 진행되는 그림 심리검사의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개선하여, 검사자와 피검자 간의 질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림 심리검사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HTP(Home-Tree-Person)검사를 중심으로 피검자들이 그린 그림의 특징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각 특징이 갖는 의미를 키워드로 도출한 후, 나온 키워드는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해석을 제공해주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설문조사를 진행한 사용자와 사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전문가에게 실제로 검사를 진행하게 하였고,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체험하도록 하여 관련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 심리검사의 사용자 경험을 인공지능을 활용해 플랫폼으로 접근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얻은 전문가와 피검자에 서비스 경험 구현을 위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성 평가를 전문가에게 진행함에 따라 그림 심리검사 진행 시 전문가가 놓칠 수 있는 부분이나 결과를 내는 부분에서 인공지능과 협업하여 진행한다면 더욱 정확하게 내용을 도출해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다룬 HTP검사 외에 다양한 투사검사에도 진행한 방식을 활용하여 피검자의 다른 투영검사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더 정확한 진단과 지속적인 케어가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상담사가 많은 시간을 들여 그림 심리검사를 해석하지 않아도 인공지능과 협업하여 상담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가능성들로 효율성 및 그림 심리검사 결과의 해석에 대한 신뢰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해당 연구결과를 통해 제안한 HTP 검사 외에 많은 그림 심리검사의 유형과 더 나아가 여러 심리검사와 인공지능이 상호보완적으로 협력하여 피검자의 심리적인 건강을 증진시키는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되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